1. 한국경제의 펀더멘탈이 10년전과 비교했을때 엄청 좋아졌다

간혹 2010년대 예측치 보고 지금 이탈리아 gdp 영원히 못잡나, 프랑스 영국 1인당 gdp 언제 비슷해짐 유럽이랑 차이가 계속벌어지네

라고 하는데

그런 예측이 한창 돌았던 2014년 유로 달러가 1120원이고 지금 1400원대임

보기에는 별로 차이가 줄어들지 않은것 같지만 만약 2010년도 초 환율로 돌아갈 경우 이탈리아는 전체도 1인당도 추월하고 프랑스랑 1인당이 비슷해지는 수준임

경제예측의 경우 환율을 현재 기준으로 고정하고 계산하는것이 일반적이기에 결국 예측은 틀리지 않았다는거임

뭐 솔직히 먼 이국 국가들 gdp추월하는게 무슨 의미인가 싶지만 그냥 말하자면 원이 내년부터 다시 좋아진다는데 그러면 영프랑 비빌지 또 모르는거라고 생각함.


2. 일본은 여전히 굳건하게 침체

아니 일본이 독일에게 추월당했는데 무슨 말이냐 할텐데

그건 상상이상의 엔저때문에 그런거고

일본경제가 다방면에서 위협받았음에도 원가로 계산하면 후퇴하지 않았음

이 극단적인 엔저가 일시적이라는걸 생각하면 여전히 세계 경제3위는 일본이 지키고 있다고 생각함

다만 여전히 성장을 안하고 있는게 문제고, 일본국민들 입장에선 좀 대충격일것 같음 세계3대 경제대국이란 말이 이제 안통하니깐


3. 유럽의 멸망

유로가 매우 고환율인데도 10년전이랑 비교해서 미동도 없음

어떠한 신산업의 발견도 없고 국제적 영향력은 이루 말할수 없이 추락한 상황

진정한 잃어버린 30년은 유럽이 보여주고 있는듯함

그나마 독일혼자서 선방하는중임. 


4. 중국의 중박

피크차이나는 좀 시기상조고 위안이 꽤 하락한걸 생각하면 나쁘진 않음

근데 확실히 경제가 침체되었다는게 수치로 눈에 보임


5.인도의 스캠

뭐 인도가 대박이다 하는데 1년에 1조달러씩 성장하던 중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

도대체 뭐가 인도가 대박이라는건지 전혀 모르겠음

당연히 고성장인데 아직 너무 낮음.


6. 세계 경제의 전반적 침체

내가 경제에 대해서 문외한이라 뭐 세계경제위기는 모르겠지만

포스트 코로나이고 사람들의 이동도 확연히 늘었는데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음

전반적으로 중산층의 규모가 예전같지 않아서 포스트 코로나인데도 확연한 경제확장이 안보임


7.무의미해진 g7

원래 2000년대까지만해도 미국을 10이라 하면 일본이 5 독일이 3 영프가 2.5 캐나다 이탈리아가 1.5

라서 g7이라는게 말이 됐는데

지금 보면 미국과 그 제후국들이라 해도 될정도로 격차가 극심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