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1,2) 캐릭터 포지션 용어 확정해줘라 - 원신 아카데미아 채널 (arca.live)


 

많이들 호응해줘서 고마움


챈럼들 의견 최대한 수렴하고 나름대로 합리적으로 정리해봤음.


1. 대분류/소분류로 나누는 대신 포지션 중복이 가능하게 하고 캐릭별/조합별 대표 포지션을 정한다.


2. 메인딜러와 필드딜러 등의 명확한 정의 필요


3. 힐러/버퍼 등의 복수 포지션을 소화 가능한 캐릭터의 가치를 고려




 일반적으로 '메인딜러'라는 용어가 사용되곤 있지만 다들 알다시피 이게 오해의 소지가 있는 단어긴 함. 아래에서 명확하게 다시 정의해보고 해당 정의에 맞는 경우에만 메인딜러라는 용어를 쓰고, 그 외에는 해당 용어를 쓰지 않기로 함. 임의의 파티에는 메인딜러가 없을 수도 있음.


 원신에서 보통 서포터군으로 분류되는 캐릭터의 역할이 힐러 버퍼 등 여럿으로 나뉠 수 있는데, 신학이나 카즈하의 경우 매우 강력한 버퍼지만 힐러의 기능이 없어 버퍼로 분류 가능하지만 베넷이나 종려, 코코미(천암드슬)의 경우 버퍼와 힐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 이런 경우를 봤을 때, 대분류에 힐러와 버퍼를 동시에 놓는것은 그다지 좋지 않으며 서브딜러와 물싸개의 역할을 하는 행추에 비해 강력한 버퍼성능까지 지닌 야란도 서포터 성질을 가질 수 있으므로 대분류 소분류를 없애고 모든 종류의 포지션을 동등하게 놓되, 캐릭터별로 가질 수 있는 포지션을 병기하고 그 중 일반적인 사용에 따른 대표 포지션을 한두가지 명시하는게 좋다고 생각되었음.


 우선 포지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함



필드딜러: 필드 체류시간이 길며 평강공을 수행하는 딜러

*어쨌든 필드에 나와서 평타칠 캐릭은 필요하니 모든 파티에 하나쯤은 들어가게 됨

ex) 증발호두, 감전코코미


메인딜러: 필드딜러 중 dps비중이 높으며 해당 파티의 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

*메인딜러는 파티의 필수요소가 아님

ex) 증발호두, 라이덴팟의 라이덴(유라이덴은 X)


서브딜러: 필드딜러와 달리 eq를 쓰고 퇴장하는 캐릭터 중, 자신의 딜량 자체가 중요하며 파티 전체딜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경우

ex) 야란, 행추, 향릉, 알베도


발사대: 필드에 나와 평강공을 사용해 다른 서브딜러의 평타반응기를 발동하거나, 섭딜 스킬들이 유지되는 동안 버티기 위한 캐릭터

ex) 감전코코미, 감전설탕


(예외)딜러: 위 3가지 '딜러' 분류에 속하기 애매하면서도 서포터는 아닌 캐릭터. 예시 제보바람. 내가 이짝은 잘 모르겠음;


서포터: 파티에서 명확한 '딜러'역할을 하지 않는 대신, 원소싸개, 힐러, 쉴드, 버퍼 중 한 가지 이상의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한 캐릭터

ex) 베넷, 카즈하


원소싸개: 특정 원소를 지속적으로 부착시키는 특성을 가진 캐릭터

ex) 행추, 코코미, 향릉, 라이덴


힐러: 다른 캐릭터의 HP를 대량으로 회복시키는 특성을 가진 캐릭터

ex) 코코미, 진, 베넷, 호박걸이


쉴드: 보호막 특성을 가진 캐릭터

ex) 종려, 디오나


버퍼: 다른 캐릭터의 딜링스킬과 관계있는 스탯을 증폭시키는 특성을 가졌거나 그러한 장비를 장착한 캐릭터. 내성깎도 결과적으로는 딜량증가에 기여하므로 버퍼에 포함.

ex) 베넷, 카즈하, 설탕, 종탄걸이


배터리: 다른 캐릭터의 원소통을 직접 채워주거나, 원충을 올려주거나, 원소구슬 자체를 대량으로 뽑아서 결과적으로 파티의 원소폭발 사이클을 원활하게 굴러가도록 해주는 캐릭터

ex) 라이덴, 제례디오나, 번행자, 페보걸이


몹몰이: 몹을 끌어당겨 모으는 특성을 가진 캐릭터

ex) 카즈하, 벤티


인챈트: 타 캐릭터의 공격속성을 전환시킬 수 있는 캐릭터

ex) 베넷(6돌), 중운


그 외: 경직저항, 피해감소 등

ex) 행추, 북두




 캐릭터의 포지션을 정하는건 그 캐릭터를 보고 정하는게 아니라 어느 파티에 소속되는지를 먼저 보고, 그 파티에서의 포지션을 지정하는 쪽으로 가는게 맞는거 같음. 그리고 그 파티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역할이 대표 포지션이 되는거고 동시에 수행가능한 포지션이 많을 수록 이른바 '덱 압축'이 되는거임. 그 중에서도 딜러/힐러/쉴드/버프/원소싸개의 5가지 중 여러 가지를 동시에 가진 캐릭터가 뛰어난 덱압축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을 것임.


이 분류법에 따라 다시 한 번 주요 캐릭터들의 포지션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음.


증발호두팟

호두 [메인딜러] 필드딜러, 발사대

야란 [서브딜러] 물싸개, 피증버퍼, 공격원마버퍼(종탄) [원소싸개/서브딜러/버퍼 덱압축]

행추 [서브딜러] 물싸개, 힐러, 경직저항

종려 [서포터] 쉴드, 내성깎


빙결아야카팟

아야카 [메인딜러] 필드딜러

신학 [서포터] 계수추가버퍼, 피증버퍼, 내성깎, 얼음싸개

카즈하 [서포터] 피증버퍼, 내성깎, 몹몰이, 공격버퍼(서약)

코코미 [서포터] 힐러, 공격버퍼(천암드슬), 서브딜러(호박조개), 물싸개 [원소싸개/힐러/버퍼 덱압축]


감전코코미팟

코코미 [필드딜러] 발사대, 물싸개 [필드딜러/원소싸개/힐러 덱압축]

북두 [서브딜러] 번개싸개, 쉴드(1돌), 내성깎(6돌)

피슬 [서브딜러] 번개싸개

카즈하 [서포터] 피증버퍼, 내성깎, 몹몰이, 공격버퍼(서약)


라이덴팟

라이덴 [필드딜러] 번개싸개, 발사대, 배터리

행추 [서브딜러] 물싸개, 힐러, 경직저항

향릉 [서브딜러] 불싸개

베넷 [서포터] 힐러, 버퍼

*라이덴의 경우 명함이면 메인딜이라고 하기 어렵다 어쩌고저쩌고 말이 너무 많아서 필드딜러로 표기. 2돌 이상이면 메인딜러라는 말에 이견이 없으리라 생각함.


여기에 추가로 서포터의 힐러/버퍼 중 어느 한 쪽이 크게 두드러진다면 주 포지션을 [서포터/버퍼] 이런식으로 놔도 될듯.

예를 들면 카즈하나 신학이 [서포터/버퍼]가 될거고, 치치같은 애들이 [서포터/힐러] 이런식이 될거임.



그 외에는 뭐 필드딜러랑 발사대가 사실상 거의 똑같은 역할이라 이걸 따로 둘지 말지 생각해보면 될거같고


어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