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상태에서는 연소게이지, 불게이지, 풀게이지가 공존할 수 있으며

무언가의 게이지가 소모되면 연소가 종료됨

연소상태는 주변에 주기적으로 1U의 불부착을 하며, 연소게이지는 2U

연소상태에서 불관련 반응은 불게이지와 연소게이지를 동시에 소모함


이렇게 알려진 정보를 토대로 실험을 걸쳐 연소게이지는 1~2사이의 U값을 갖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는데

재차 여러 실험을 걸친 결과, 심히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여 글을 남김


1. 연소게이지의 존재성

 불1U + 풀1U 로 발생한 연소상태에 번개1U, 얼음2U, 바람2U, 번개2U를 반응시키면, 불1U를 전부 소모함

 이후에도 연소는 지속되며(8틱) 풀을 전부 소모함

 => 무언가 풀을 소모하며 연소를 지속시키는 존재가 있음

 => 동시에 그 무언가는 불1U를 넘는 값을 가짐


2. 연소게이지는 2U이하

 불1U + 풀1U 로 발생한 연소상태에 바위4U, 번개2U, 물1U를 반응시키면, 불게이지와 연소게이지 2U를 소모함

 이후 연소가 즉시 종료되며, 풀원소가 잔여함

 => 연소상태를 유지하는 주요인이 연소게이지라면 2U를 넘을 수 없게됨


아무 문제가 없어보였으나 다음 영상들을 보면 혼란이 올 것임

연소상태에서 불게이지와 연소게이지를 1U씩 혹은 0.5U씩 연속적으로 소모하는 반응을 일으킨 자료임


먼저 번개의 경우


각청


각청ee (번개1U, 2U로, 불1U, 2U, 총 3U를 소모함)

1돌 계뢰로 인해 번개타격 2번이 더들어갔지만 ICD에 걸림

따로 촉진반응으로 확인한 결과, 1돌 계뢰와 e참격은 동일계열ICD를 갖는 것으로 보임

또한 1돌 계뢰에 먼저 촉진이 터지고, e참격에 촉진이 안터짐

영상에서도 e참격 타격 이전에 불이 사라짐

1돌 계뢰는 1U로 보이고 결과적으로 번개 1U 2번, 불1U씩 총 2U소모함

이후 풀잔여


다른 케릭의 경우

야에e와 동시에 평타 1U 1U

피슬e 직후 단죄의 뇌영 1U 1U(거의 동시에 이루어져 과부하 표시와 데미지는 1번만 들어감 과부하ICD제한)

사라q 첫타 후 번개자갈 1U 1U(이후 1U 1U를 더 부착하여 남는 풀과 활성 이후 촉진반응)

별다른 문제없이 과부하 2번으로 풀이 잔여함

영상첨부 시 너무 길어지므로 넘김



이제 바람을 보면


벤티


벤티e 2번(바람2U 2번, 불1U씩 총 2U 소모)

확산은 확산 이펙트가 뜨므로 판별가능하고, 연소틱 사이에 2223수치가 확산에 의한 불데미지임

이후 풀잔여


진e 2번 2U 2U, 헤이조e 2번 2U 2U 역시 동일한 결과




소e 2번(바람2U 2번, 불1U씩 총 2U소모)

확산이펙트도 보이고, 확산틱은 1284임

불잔여???????

소e가 1U라 해도 불게이지는 남지않음

불게이지가 갱신이나 복구가 된 것인가

소 1돌이신 분...e 3방...궁금하긴한데...



마지막으로 얼음을 보자


아야카


아야카e 2번(얼음2U 2번, 불1U씩 총 2U소모함)

역시 데미지수치를 봐야하는데 7487 7487 동일하므로 2번의 융해가 일어남

결과 풀잔여

케이아e로 실험 시 동일한 결과를 얻음



중운


중운e 2번 이후 평타(얼음2U 2번, 얼음1U 1번, 총 2.5U소모를 예상)

e종료로 빙검추적이 발동 재차 얼음1U가 반응에 참여함..........

아무튼 데미지 수치로 따져보면

첫e 융해, 두번째e 무반응, e종료뎀 융해, 평타 융해(평타6렙 101%, e11렙 327%, 약 3배)

두번째e는 왜 융해가 안터졌을까 또다른 ICD존재하는가(현 ICD 표에 중운e는 원소부착쿨이 없음)

결국 얼음2U 1번, 얼음1U 2번, 총2U를 소모하게 되었으나 영상을 잘보자

두번째e 전에 연소가 이미 종료되었고, 이후 남은 불게이지에 융해가 터진 것

불게이지가 갱신된 상황이 또 생김

첫e에 불게이지는 0이 되어야 정상

이는 중운e가 1U더라도 불게이지를 총 1.5U 소모하므로, 갱신없이는 불가능


일단 따로 확인 결과 중운e는 연속 사용으로 융해가 안터짐



로자리아


로자리아eq(얼음1U 4번, 불0.5U씩 총 2U소모)

로자리아는 e7q7로 계수는 순서대로 87 204 156 228 비율을 따져보면 일치(q뎀이 조금 더 큰 것은 왕실2임)

4번의 융해 이후 불이 잔여함

남는 불은 0.25U 미만인지 궁 장판 타격에 융해를 일으키고 사라짐

역시 불게이지가 다시 갱신된 상황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하나 더 내렸음


3. 연소상태중에 연소게이지는 갱신되거나 복구가 되는가

 불1U + 풀1U 로 발생한 연소상태에 얼음2U를 반응시켜 불1U를 소모하고, 풀을 공급하여 연소를 지속함

 지속된 연소 이후 불이 잔여함

 => 얼음2U로 소모한 불게이지의 복구가 일어남

 => 연소게이지도 갱신 혹은 복구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생김



감우


감우 강공e강공(얼음1U 5번, 불0.5U씩 총 2.5U소모함)

데미지는 순서대로 9929 31231 12929 16053 33201 전부 융해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음

감우e는 강공 1타 계수와 비슷하며, 강공2타는 1타의 약 1.7배(1타 이후 1돌 내성깍, 2타는 아모스 피증을 더 받음)

지속적인 풀부착에도 연소가 유지가 안됨 2.5U 소모에 연소종료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대치로 뽑아낸 연소게이지의 경우 현 실험결과로는 2.5U임(갱신이 없고 소모만 일어날 경우)

하지만 2U를 한 번에 소모하는 반응에 의해 연소는 종료되므로 2U이하일 수밖에 없는데

이는 결국 연소게이지는 소모 이후 다시 2U로 갱신되거나, 점차 복구된다 생각할 수 있음

다시 2U로의 즉시 갱신은 연속 1U소모로 연소가 종료되므로 아니라 볼 수 있음

그럼 소모 이후의 점진적 복구인데, 이게 빠를 지 느릴 지 알 수가 없음


만일 복구가 0.01U정도로 느리고, 연소게이지는 2U라면 1U 1U 반응에서

1U소모 이후 1.01U, 다시 1U소모 이후 0.02U로 연소가 즉시 종료될 수 없음

불게이지 1U도 안남는 상황에서 연소를 유지할 원인은 연소게이지


그럼 이제 연소게이지는 애매하게 1.5U로 생각해보자

1.5U로의 즉시 갱신의 경우 감우 2.5U소모반응은

0.5U 0.5U소모 이후 0.5U에서 갱신이 일어나 다시 1.5U가 되었고, 0.5U 0.5U 0.5U씩 마저 반응했다는 것

이는 1U소모반응에서 텀을 꽤 두어도 연소가 종료되는 점에서 아니라 볼 수 있음

그러다면 복구가 0.5U정도로 빠르고, 연소게이지는 1.5U라면 1U 1U 반응에서

1U소모 이후 0.5U에서 1U복구, 다시 1U소모로 0 연소의 종료가 이루어짐

감우 2.5U소모반응의 경우 0.5U 0.5U소모로 0.5U에서 1U로 복구

이후 0.5U소모로 0.5U에서 0.5~1U사이로 복구, 마저 0.5U 0.5U 반응

그러나 이건 연소게이지의 경우고, 불게이지의 복구는 설명하지못함

또한 불게이지는 1U가 맞는지부터 의심스러워지는 상태

연소게이지와 마찬가지로 0.5~1U 사이에서 갱신 혹은 복구가 된다해도 문제가 없음



그럼 마지막으로 아주 우연히 찍힌 영상을 하나 남기며 글을 끝내겠음

다시 해보려해도 불가능했음






추가

연소상태를 지속할 시, 8틱을 주기로 불부착1U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근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