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삼국지 위서 동이전 

대충 이게 무슨 소리인고 하니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고리국에서 동명이라는 아이가 태어남

그런데 이 아이가 태어난 배경이 범상치 않은 게 어머니가 달걀 같은 것이 비추면서 임신해서 낳은 아이임

그래서 고리국의 왕이 얘가 천자의 아이인가 싶어서 돼지우리, 마굿간에 버렸는데 

동물들이 애를 돌봐주면서 살음

결국 동명은 컸고 고리국의 왕이 얘를 의심해서 동명은 런을 침

이렇게 런을 치니 당연히 고리국의 병사들이 동명을 쫓음

그러던 중 동명이 큰 강을 만났는데 자라와 거북이들이 다리를 만들어줘서 그대로 런을 침

그러나 동명이 건너니까 자라와 거북이들이 해산해서 다리가 사라졌고 고리국의 병사들은 동명을 그대로 놓치게 됨

그렇게 해서 동명은 다른 땅으로 와서 정착해서 나라를 새우니 그것이 바로 

부여

고구려와 백제의 시조이자 동이족의 대표 국가 1 

동명왕은 부여의 시조로서 여겨짐

그리고 이후 이 동명왕과 비슷한 주몽이라는 이가 동명왕과 비슷한 루트를 찍고 비슷한 설화와 함께 졸본으로 가서 새우니

고구려임

그래서 대충 현재 역사학계에서는 동명왕의 설화와 동명성왕 즉 주몽의 설화가 비슷한 거 보니 동명왕이 원조고 이후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의 부여에 대한 정통성 계승과 롤모델 차원에서 동명왕의 설화를 다수 차용한 것으로 추정함

참고로 현재 동북공정에서 주 타겟은 고구려에서 부여로 넘어갔는데 부여는 연구가 덜되어 있다는 점이 있기 때문

그에 반해서 고구려는 연구 된 거 유머글로 보면 알겠지만...

중국: 시발 망할 고구려 미친 새끼들... ㅠㅠ

란 말이 나올 정도로 반유목민 타입이 강하게 배어 있는 전투민족 겸 낀빠이 장인 겸 약탈 국가였음

그에 반해서 부여에 대한 기록은 꽤나 우호적인데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따르면 부여의 왕이 죽으면 장례로 옥갑이란 걸 사용했는데 이 옥갑을 한의 황제가 부여에게 하사했다는 구절이 나옴

참고로 여기서 옥갑은 갑옷이자 수의인데 작은 큐빅 수준의 옥으로 엮어낸 갑옷이자 수의임

즉 이걸 하사 받아서 장례에 사용한다 = 한 입장에서 부여를 조공책봉 관계에서 제후국으로 대접했다는 것 

이라고 볼 수 있음

참고로 이후 부여는 어찌어찌 살아있다가 결국 고구려에게 완전히 병합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