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사실 거주민이 집주인에게 큰 돈을 빌려주는 대신, 그 돈에 대한 담보 및 이자 대용으로 집주인의 집에서 거주하는 제도거든요


우리나라에서 이런 제도가 가능했던 이유는


대한민국이 빠르게 경제발전을 이룩하고 현금을 들고 있는게 자산가들에게 유리했다보니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현물인 부동산을 처분하지 않으면서도 단시간에 많은 현금을 마련하는 방법이었던 거죠


그리고 전세를 사는 사람 입장에서도 일단은 본인에게 가해지는 손해는 없다보니 (나중에 원금 그대로 돈을 돌려받으니까요) 


서로 윈윈 하는 방법이었던거에요


하지만 이러한 전세 제도는 금리가 낮아지면 이상한 방향에서 문제를 만드는데


전세값이 올라가면서, 전세값이 집값이랑 유사한 수준까지 올라와버린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 뭐냐하면


1억원 어치의 집 한채를 보유하고 있는 자산가 A씨가 있다고 가정을 해볼게요


A씨는 자신의 집을 B씨에게 전세를 주면서 8천만원을 받게 되었어요


그리고 이 8천만원과 자신의 수중의 현금, 주택 담보 대출을 통해서 1억 5천만원을 마련한 A씨는 이번엔 옆에 있는 1억 5천만원짜리 집을 구매합니다


그리고 이 1억 5천만원짜리 집을 1억에 전세를 내주고 다시 주택 담보 대출을 받기를 반복하면


사실상 1억원의 집 한채에서 시작해서 수십~수백채의 집을 가진 초거대 자본가가 되는거에요


심지어는 집값 상승률이 담보 대출 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이득밖에 없어지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