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병합함


바닥 기준 5x5

바닥의 가치는 건물의 가치로 취급됨


미관 1 바닥

대리석 석재 100개 추가 -> 기지가치 90

바닥제작 -> 189

증가한 가치 -> 99(1.1배)

대리석100개로 타일을 만들면 그 바닥의 가치는 대리석 210개 수준


다른 석재 타일도 동일한 결과

즉, 타일 1칸당 가치는 7.56


미관2 

연마된 화강암바닥

5x5기준 가치량 200증가 -> 기지가치 200


다른 바닥도 동일한 결과

타일 1칸탕 가치 8



미관2 양탄자

천 175개 필요, 기지가치 263

양탄자 바닥 제작시 가치 335

가치 72 증가

타일 1칸당 가치 13.4




결론


미관1짜리 석재타일바닥과 미관2짜리 연마된 바닥의 가치차이는 1칸당 0.44이다. 은 0.5개차이남. 연마된 바닥이 훨씬좋다.

미관2짜리 양탄자는 미관1 석재타일바닥의 약 1.8배정도 가치가 더 높다.

미관2짜리 양탄자와 연마된 바닥을 비교하면 연마된 바닥이 훨씬 좋다.



나무바닥의 경우 가치는 98.

1칸당 가치가 3.92

철제타일은 가치가 405

1칸당 가치 16.2

향균타일은 가치가 587

1칸당 가치 23.48

은제타일은 미관5에 가치 1822

1칸당 72.88. 높다고 생각되지만 1칸에 은 70 이 재료이므로 증가량이 매우 낮은편.

금제타일은 미관12에 가치17625

1칸당 가치 705. 금 70의 가치는 은 700이므로 증가량이 가장 낮은편




총정리


미관1 석재타일 : 1칸당 가치 7.56, 증가량 3.96 (1.1배 증가)

미관2 연마된바닥 : 1칸당 가치 8, 증가량 8 (거친 바닥은 가치0)

미관2 양탄자 : 1칸당 가치 13.4, 증가량 2.9 (약 0.28배 증가)


미관0 나무바닥 : 1칸당 가치 3.92, 증가량 : 0.32 (약 0.1배 증가)

미관1 철제타일 : 1칸당 가치 16.2, 증가량 : 3.2 (약 0.25배 증가)

미관0 향균타일 : 1칸당 가치 23.48, 증가량 : 5.48 (약 0.3배 증가)

미관5 은제타일 : 1칸당 가치 72.88, 증가량 : 2.88 (약 0.04배 증가)

미관12 금제타일 : 1칸당 가치 705, 증가량 : 5 (약 0.0007배 증가)




아무도 내 질문에 답해주질 않아서 내가 정리함. 궁금한놈이 아쉬운법이지...


-


댓글질문보고 추가조사해서 올림


일단 민들레까는건 기지가치에 들어가지 않음.

그리고 바닥깔고 그위에 벽지으면 그 타일의 가치는 바닥가치+벽가치로 합쳐져서 나옴. 즉, 벽을 깐다고 바닥가치가 사라지는게 아니라 합쳐져서 판정됨


연마된 바닥 위로 바닥을 새로 까는 경우 연마된 바닥의 가치는 사라지고 위에 올라간 바닥의 가치만 나옴.

하지만 바닥제거를 할 경우 연마된 바닥은 남아있음.




결론


벽을 만들 경우 바닥을 제거하고 만드는게 더 좋다. (벽 아래의 바닥가치가 기치가치에 포함됨)

민들레처럼 재배물로 바닥을 까는 경우에는 가치판정이 안된다.

연마된 바닥 위에 새로 바닥을 까는 경우 연마된 바닥의 가치는 사라진다. (위에 깔린 바닥가치로 기치가치에 추가됨)

바닥을 제거할경우 연마된 바닥이 다시 나온다.

연마된 바닥위에 벽을 만들꺼면 차라리 콘크리트바닥을 깔고 만들어라. (콘크리트바닥은 가치가 2.3정도 나오는듯? 포장타일은 4.8정도)



그리고 내가 뭔모드를 깔았는지는 모르겠는데 자갈바닥이 있더라. 모드 다지우니 없어지기는 했지만.

자갈바닥은 석재타일바닥하고 같은 재료를 소비하는데 가치가 더 낮음. 미관은 똑같은 1이고. 혹시 있으면 참고하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