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 변경점


1. 임신기간과 새끼 개체 수 반영. 임신기간이 짧고 새끼 수가 많을 수록 1일 섭취량 감소에 영향을 줌.

2. 두가지 사육 방법에 대해 따로 효율을 구함. 완사육 반사육 개념은 후술.

3. 그 외 사소한 변경.


기존 연구에서 언급했던 한계점을 개선함.




푸른 막대는 반사육 효율이고 초록 막대는 완사육 효율임. 위의 표는 두 효율중 최적 효율을 기준으로 정리 한 표.


여기서 완사육은 성체가 된 개체를 도축하는 사육이고, 반사육은 성장기가 된 개체를 도축하는 사육임.

새끼 기간이 성장기 기간에 비해 짧은 경우 반사육 도축 효율이 더 높게 나타남.


완사육은 성체가 되거나 성체가 된 후 한번 출산 한 가축을 도축하는 사육이기 때문에

우유나 털을 얻을 수 있는 가축에게서 부가적인 이득이 있다는 장점이 있음. 물론 이건 도축 효율이기 때문에 반영하지 않았음.


완사육은 두가지 관리법이 가능한데

한가지는 주기적으로 새끼를 출산하는 씨암컷, 씨수컷을 유지한 채 새끼들을 키우는 방법이고,

다른 한가지는 성체 수컷 수를 조절하면서 출산 한번 이상 한 돼지들과 나이 든 수컷을 도축하는 방식임.

두가지 방법 모두 효율은 똑같음. 각자 장단점이 있는 관리법임.


반사육은 완사육 첫번째 관리법으로 사육해야만 관리가 되는 사육임.

대체로 반사육이 이득인 동물들은 애초에 우유나 털을 얻는 가축이 아니기 때문에 반사육은 완전히 도축을 통한 이득을 기대하는 방식임.

마찬가지로 씨암컷 씨수컷을 유지하면서 하는 사육.


씨가축을 이용한 관리법은 성비를 임의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짐.

반대의 경우에는 출생성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고기 생산량의 변동이 큼.

대신 씨가축이 어느정도 이상의 나이를 먹으면 임신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동물은 가끔씩 세대를 교체해줘야 함.




여기 까지 완사육 반사육에 대한 설명이었고, 기존 자료와의 변경점을 알려주도록 하겠음.



1. 1을 넘는 도축 효율은 이제 없음


여우의 임신기간동안의 사료 섭취량이 반영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 생각함.

다른 종도 똑같이 임신기간이 반영되었으므로 아직까진 여우가 제일 도축 효율이 높다.

전반적으로 도축 효율은 기존 가축의 경우 20퍼센트, 포식자의 경우 30~50퍼센트 정도의 양상을 보임.

기존 자료보다 효율이 많이 떨어졌음.



2. 가축 중에선 실제로 돼지가 도축 효율이 제일 좋음


이게 더 현실적이라고는 생각함ㅋㅋ

우유만드는 소가 도축효율마저 좋은건 아무래도 이상하지. 대신 돼지는 반사육을 해야 효율이 좋음. 반사육 방법은 위에 설명함.



3. 토끼가 의외로 엄청난 효율을 보임


xml분석할때 토끼가 좀 상향됐다 싶었는데 이정도일 줄은 몰랐음.

기존 자료에선 완사육 기준이었기 때문에 도축 효율이 낮게 나왔는데 반사육 공식을 대입하니 엄청난 효율을 보임.

새끼 수가 많고 새끼 기간이 짧아서 그런 듯. 역시 번식의 제왕 토끼....

님들 토끼고기 묵으삼.



4. 돼지부터 카피바라까진 최상의 효율, 털실쥐부터 쥐, 개 까지는 보통의 효율, 닭부터는 최악의 효율


치킨 좋아하는 나같은 사람에게는 유감이지만 닭은 림월드에선 고기로 쓸 동물이 아니라 달걀만드는 기계로 쓸 동물임.

참고로 달걀의 효율은 25퍼센트 정도임. 상당히 좋음.

기존엔 사슴이 효율 좋다고 했는데 지금은 좀 낮아진듯, 그래도 나쁘진 않음. 사슴 고기를 먹어보고 싶다 하면 키우삼. 예전보다 많이 좋아졌음 

머팔로 알파카 낙타 털 삼인방 저번엔 효율 좋다그랬는데 지금은 긴 임신기간과 새끼 수 때문에 도축 효율은 꽤 안좋아짐. 그냥 털이랑 짐꾼으로 쓰자.

설치류 효율이 꽤 좋으므로 한번 키워보는것도 좋을듯.





아 근데 여기도 한계가 있는데 새들은 알을 낳기 때문에 실제 효율과 결과가 다를 수 있음.

하지만 난 새엔 별 관심 없으므로 분석하지 않을 것. 어차피 닭 빼곤 무정란 안낳음.


그리고 이건 도축 효율의 문제기 때문에 성장기간이 길거나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의 생산량이 잘 안나올 수 있음. (대체로 공복률이 낮은 동물)


또 도축효율은 기준 효율이기 때문에 실제론 이것보다 낮게 나타남. 성체나 성장기 되자마자 딱딱 바로 도축할거 아니잖아.

그러니까 먹이 계산할때 적당한 여유분을 두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