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실조


허기가 0%에 도달할 경우 진행됨


식량만 있고 허가구역지정 및 상호작용 허용 등 정책만 제대로 되어있다면 굶주림은 소방등 모든 작업(유저가 강제 지정한 작업을 제외)을 제쳐두고 우선적으로 식사를 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없는 질병


증상(심각도가 아닌 허기가 0이 된 시점으로 부터의 시간을 기준으로 함)


심각도 0~1.1일


의식 -5% 굶주림 +50% 사회적 불화 +150%


심각도 1.2~2.3일


의식 -10% 굶주림 +60% 사회적 불화 +200%


심각도 2.4~3.4일


의식 -20% 굶주림 +60% 사회적 불화 +250%


심각도 3.5~4.6일


의식 -30% 굶주림 +60% 사회적 불화 +300%


심각도 4.7~5.8일


의식상실


심각도 5.9일


사망




출혈


출혈은 모든 상처가 치료되고 최대 4일이 걸려 혈액이 복구됨


증상


혈액손실 15~29%


의식 -10%


혈액손실 30~44%


의식 -20%


혈액손실 45~59%


의식 -40%


혈액손실 60~99%


의식상실


혈액손실 100%


사망




저체온증, 열사병


최소, 최대 적응온도보다 훨씬 낮은, 높은 온도에 노출 될때 발생


적응온도 10~20도를 가정하고


-1도 이하


저체온증 시작, 진행


0도~9도


저체온증 진행 중지, 유지


10~20도


저체온증, 열사병 진행 감소, 해제


20~30도


열사병 진행 중지, 유지


31도 이상


열사병 시작, 진행



온도에 관련한 질병은 해당 온도에 따라 진행속도가 다름


증상


심각도 4~19%


저체온증 : 조작 -8% 의식 -5%


열사병 : 의식 -5%


심각도 20~34%


저체온증 : 이동 -10% 조작 -20% 의식 -10%


열사병 : 이동 -10% 의식 -10%


심각도 35~61%


저체온증 : 고통 +15% 이동 -30% 조작 -50% 의식 -20% 동상발생


열사병 : 고통 +15% 이동 -30% 의식 -20%


심각도 62~99%


저체온증 : 고통 +30% 의식상실 급사가능성 존재


열사병 : 고통 +30% 의식상실 급사가능성 존재


62%부터 급사확률이 존재하며 심각도가 높아질수록 확률도 따라 높아짐


심각도 100%


사망




약물손상


간경화


주로 알코올의 과도한 소비로 생김


증상


부품효율 -60% 고통 +15% 이동 -10%


간경화가 있을시 면역 획득속도가 70%이므로 다른 질병에 취약해 질수있음




약물피해


약물 과다복용, 관용에 의해 발생하는 영구적 손상으로 두가지로 분류됨


증상


약물피해(뇌) : 부품효율 -50%


약뮬피해(신장) : 부품효율 -80%



뇌손상이 아닌 신장의 경우 대체하여 치료가 가능함


회복혈청, 루시페륨으로 치료가능




다음에 남은 동면병 식중독 중독 마취 심장마비정리함


생각보다 적어서 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