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CGP Grey





최근 정치판이 완전 개판이야

왜 통치자들은 항상 지나가는 일게이 조차 안할 개트롤짓을 

해대고 유권자들을 엿먹이는 짓을 할까? 

일게이들은 한번쯤 두땅크에 빙의해서 '나'였다면 어떻게 

나라를 운영할지 상상해봤을 거야.  그러기 위해 우선 국가를 통치하는 법부터 알아보자.  

① 국가를 통치하는 3가지 방법

먼저, 니가 암만 날고 긴 놈이여도


결국 나라는 너 혼자서 운영할 수 있는게 아니야.

통치자의 일은 혼자 도로 깔고, 순찰 돌고, 땅크 몰고 하는 게 아니라,  


국고를 써서, 다른 사람이 그 일을 하도록 시키는 거지.



그리고 그걸 운영하는 키 멤버들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일게이들이 꿈꾸는 국방비리 즉결 사형이니 뭐니 하는 건 다 개꿈에 불과해



이 키 멤버들의 숫자는, 니가 가진 권력의 크기가 크냐 작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인 통치의 3가지 규칙은 변하지 않아.   

1. 키 멤버들을 내 편으로 끌어들여라  

너무 당연한 얘기겠지. 키 멤버들이 없인 넌 아무것도 아니야.

2. 국고를 컨트롤해라

1을 위해선, 세금을 걷고 분배하는 일에 주의를 기울여야해. 

궁극적으론 그게 니 진짜 일인거지. 땅크몰고 순찰돌고 하는게 아니라.  

 


우리 일게이들은 분배 과정에서 리콴유 같은 이상적인 개발독재(고속도로, 대학, 병원 등등)를 꿈꾸며 이런 구조를 생각해내겠지만,


결과적으로 키 멤버에게 돌아가는 돈이 줄어들기 때문에, 
니 권력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어.

암만 걔네가 구국의 마음으로 차있다 하더라도, 걔네들도 너처럼 각자 하부조직을 운영해야 하고 말이야.


국민을 위해 좋은 일을 한다고 해서, 그게 권력유지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거지. 

때문에 먼저 키 멤버들을 매수해두는게 매우 중요해.


그렇다고 그 많은 놈들의 요구를 다 들어줄 수 있을까? 

키 멤버들이 많을 수록 정치적 라이벌에 의해 매수 당하기 일수지.

 

3. 키 멤버의 수를 최소화해라

결국 독재 체제에서 권력을 안정화하고 라이벌 보다 더 많은 돈을 약속하려면, 시민들에게 나가는 비용을 줄이고, 쓸모 없어진 너의 정치적 동지마저 죽여야 할 필요가 있는 거지. 정은이 통치 방식이랑 닮지 않았니?  


그럼 권력이 모두에게 나누어져 있는 민주주의는 다를까? 그렇지 않아

비슷한 성향의 유권자 그룹을, 하나의 키 멤버로 적용해 생각할 수 있거든

만약 특정 그룹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낮다면? 통치자로선 걔네가 얼마나 많건 신경쓸 필요가 없는거야. 오히려 다른 키 멤버에게 줄 돈이 늘어나니 고마운 상황인거지. 

물론 독재체제에서마냥, 반대 유권자들을 쏴 죽일 수야 없지만, 다른 방법이야 많아.

너의 지지층은 투표를 하기 쉽게, 반대층은 어렵게 만든다던가



정치적 라이벌을 늘려서 표를 분산함으로서, 이기기 쉬운 구도를 짠다던가


선거구를 너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짜고


당내 사전 선거로 선거구 내에서 뽑을 수 있는 후보를 특정 후보로 압축해버림으로서


지지율이 낮으면서도 재선되는 마법을 부릴 수 있게 되는 거지. 


자, 그럼 민주주의에는 그룹 단위의 키 멤버들만 있는 걸까?

물론 민주주의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개인이 존재해.


독재체제에서마냥 대놓고 돈을 쥐어주진 못해도,


유리한 법을 통과시켜주거나, 특별사면을 해주는 방식으로 대신할 수 있지.


물론 혼자 청렴한 사람으로 남아있을 수도 있겠지만, 상대방은 아닐 거라는 거.


결국 권력의 부패란, 개인의 양심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권력을 얻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 (청렴함을 표방했던 역대 정부들도 결국은 비리로 얼룩졌음이 밝혀져왔지)


공약?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게 당연하지. 진짜 목적은 목적에 따라 키 멤버들의 힘의 균형을 조정하는 거니까.  


② 체제 안전성

이 그래프에서 보듯이, 키 멤버가 많은 민주주의에서는 세금이 낮은 경향을 보여.


물론 스웨덴, 스위스 모르냐 빼액~ 할수도 있지만,

저소득층의 경우 세금을 환급 받기까지 하기에  


평균적으로 봤을때 독재체제보다 낮아진다는 애기야.


독재 체제에선 저소득층에 대한 배려는 개뿔,


낮은 가격에 물건을 착취한뒤 높은 세금으로 팔아 이윤을 챙기니까.  


그렇담 왜 민주주의에서는 세금을 낮추려 하는 걸까?  


민주주의에서는 낮은 세금이 대중의 인기를 얻는데 도움이 될 뿐더러, 시민들의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조금만 걷더라도 키 멤버들에게 분배가 가능해


하지만 독재체제에선 그런거 구지 신경 안쓸 뿐더러, 벼룩의 간을 떼어 먹듯 쪼아야 키 멤버들에게 분배가 가능하거든.


따라서 민주주의에서는 대중의 생산성 증가를 위한 공공재 건설이 중요한 것이지. 


그런데 1. 자원이 넘쳐나 대중의 생산성 증가가 중요치 않다면?    


국민들을 노예처럼 부리면서도, 키 멤버들에게 계속해서 부를 분배할 수 있기 떄문에, 정권은 계속 유지될 수 밖에 없지.


공공재야 수출을 위한 최소한의 도로만 건설되고, 


국민들은 저항할 기운도 없이 가난하고 무지하게 지내게 되는 거야.


2. 자원도 없는 어중간한 경우엔, 자원이 아닌 주민에게서 부를 갈취할 수 밖에 없고,



이를 위한 공공재를 어중간하게라도 어느정도는 깔아줘야 하기 때문에, 반란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고 말아.



물론 민중들의 힘만으로 이게 성공에 이른다는 건 판타지에 가깝지.


천안문사태 마냥 땅크로 깔아뭉개는걸 민간인들이 어떻게 상대하겠어.


이런 반란이 성공하는 건, 키 멤버들이 너에게 불만을 품고 권력전복이 성공하도록 나두었을 경우야.


결국 통치자만 바뀌었을 뿐, 또 똑같은 시궁창 속에 살게 되는 거지.


3. 개발 독재도 결국은, 아이러니하게도,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인한 민중의 반란 증가와, 민중에 쏟은 돈 만큼 낮아진 키 멤버들의 충성심으로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4. 민주주의에서는 의견이 다양하게 나눠져 있어 반란의 목소리가 구심점을 찾기 힘들고,


이미 현 체제에서 누리고 있는 것이나, 반란 후의 권세에 비해, 반란 후의 숙청이나 팽 당함의 확률이 너무 크기에, 사회가 안정적이 돼.


하지만 가난이나 자원으로 생산성 비중이 낮아졌을 경우,  사람들이 위험을 걸어서라도 반란을 일으킬 만하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회가 불안정화되고. 


두줄 요약 

1. 국가를 통치하는 건 결국, 돈을 어떻게 분배하느냐이다.


2. 생산성 기반의 사회일수록 사회가 건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