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번 112 신고에 '압사'만 9번 호소…경찰, 책임론 거세질듯


11차례 간곡한 요청에도 4건만 출동…골목 통제 안해 사고 방치

사고 3일 지나서야 "책임 통감" 입장…이전까진 변명으로 일관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경찰이 이태원 참사 4시간 전에 사고 장소에서 '압사를 당할 것 같다'는 최초 신고를 포함 11차례의 신고를 받고도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의 책임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파에 넘어지고 쓰러진 신고자들은 해당 장소의 사고 위험성을 높게 보고 경찰에 간곡히 위험성을 알렸다. 하지만 경찰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고 결국 150명 이상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일어나도록 책임을 방기했다.

특히 경찰은 전날까지 이번 참사 책임론에 대해 '매뉴얼이 없다'는 등 변명으로 일관하다가 사고 3일째인 1일에서야 윤희근 청장이 "책임을 통감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애초에 현장 통제가 미흡해 사고의 책임이 있음에도 비판 여론이 확산하자 뒤늦게 관련한 수사와 감찰을 약속하는 등 안일한 대응 방식에도 비판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압사' '대형사고' 등 구체적인 신고에도…별다른 조치 없어 사고 방치

1일 경찰이 공개한 112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경찰은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29일 밤 1015분 이전까지 이태원 일대에서 '압사' '대형사고' 등의 위험을 알리는 신고를 11건 접수했다.

최초 신고는 이날 오후 6시34분으로 한 신고자는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해밀턴호텔 옆 골목을 지목하며 "압사당할 것 같다. 진입로에서 인원 통제 등 조치를 해줘야 할 것 같다"고 신고했다. 해당 신고자는 마치 이번 사고를 예언이라도 하듯 "클럽에 줄 서 있는 인파, 이태원역에서 올라오는 사람들과 골목에서 나오는 사람들이 엉켰다"고 언급했다. 실제 이번 사고는 이런 요인들이 그대로 작용해 대형 참사로 번졌다.

이후 경찰은 오후 8시9분, 8시33분, 8시53분, 9시, 9시2분, 9시7분, 9시10분, 9시51분, 10시, 1011분 등 사고 직전까지 10차례의 신고를 더 받았다. 신고자들은 "사람이 너무 많아 넘어지고 다치고 있다", "압사당하고 있다. 아수라장이다", "대형사고 일보 직전이다", "사고가 날 것 같다"며 경찰에 충분한 위협요인을 알렸다. 특히 신고자자 입에서 압사란 단어는 9번이나 나왔다. 여기에 "통제가 필요하다", "인원 통제가 필요하다", "조치해달라"며 구체적인 도움요청도 했다.

하지만 경찰은 11차례 신고에도 4건만 출동하고 나머지 6건은 전화상담 후 종결, 1건은 불명확으로 종결했다. 출동 이후에도 해당 골목을 전혀 통제하지 않으면서 위협요인을 사전에 알린 선량한 시민들의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경찰이 현장 판단을 정확히 해 일부라도 보행로를 통제했다면 사고는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


◇사고 3일 지나서야 "책임통감"…'매뉴얼 없었다' 변명으로 일관해 비판

무엇보다 경찰이 비판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사고가 일어난 지 3일째인 이날에서야 참사 당시 현장 대응이 미흡했다는 점을 인정했다는 점이다. 윤희근 청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국민 안전에 대한 무한책임을 다시 한번 통감하면서 앞으로 이와 같은 비극적인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날까지 경찰은 이번 참사 책임론에 대해 '원래 현장 통제보다 범죄예방에 집중했다'거나 '매뉴얼이 없었다'는 이해할 수 없는 해명으로 일관했다.

경찰은 사고 당일 이태원에 10만명이 넘게 보일 것을 예상하고도 경찰력 137명만을 배치했고, 이중 현장 통제 담당하는 인원인 지역경찰은 32명에 불과했다. 2019년(39명), 2018년(37명)보다 외려 적은 인원이다. 137명 중 50명의 수사경찰은 주로 강제추행과 마약, 불법촬영 등 단속에 집중했고 보행 경로 관리 인원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에 대해 전날 오승진 경찰청 강력범죄수사과장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브리핑에서 "그간 다중이 운집하는 상황에 대해서 경찰은 현장 통제보다는 범죄예방 및 불법 단속을 중심으로 경력을 배치·대응했다"며 "이번에도 해당 지역에서 당일 예상되는 불법행위에 대해 단속·예방하기 위해 경찰력을 배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더해 경찰은 매뉴얼이 없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책임 회피식의 해명까지 내놨다.

국가수사본부관계자는 전날 '경찰 책임론'이 제기된다는 지적에 "주최 측이 있는 축제에선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소방·의료 등 유관기관들이 사전에 역할을 분담해 대응하지만, 이번 사고는 (주최 측이 없어) 그런 부분에서 미흡했다"고 설명했다. 이태원 핼러윈 축제는 주최가 없었고 따라야 할 매뉴얼이 없었다고 항변한 셈이다. 하지만 매뉴얼은 상황에 대비해 경찰이 만들어야 하는 것이지 외부에서 만들어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송상현 기자 ([email protected])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430759?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