념글에도 좋은 말 하나 있더만


'성공한 독자규격을 우리는 <표준규격>이라고 한다'


맞는말임.



일단 어느 생산품이 어떠한 연계된 생태계를 가지려면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스팩...규격이 요구됨.


이 과정에서 어느정도 완성된 소비 루틴을 갖고 

이를 토대로 생태계가 구축되면 

하나의 독자 규격이 되는거고, 


여기에 세컨드 파티든 서드파티든 따라붙어서 

생태계가 더 굳건해지고 더 나은 진화나 경쟁 요소가 

사라지면 그게 표준규격이 되는거임.


따라서 모든 규격품의 시작은 독자규격 일 지언정,

그 진화의 끝은 한놈이 다 먹는거고, 그게 표준규격이 됨.


따라서 독자규격이란 건 모든 규격 생태계의 혼돈기, 

초기에만 허용됨.


다만 극단적 사례로, 애플같은 경우가 있어.


일단 애플의 바이오닉같은 칩셋...

이건 독자규격이라고 할 수 없음.독점품목이지.


타사나 어느 시스템에 혼용하여

광범위하게 쓰인다고는 할 수가 없기에

자사의 물건에만 쓰이는 물품을 

규격품으로 정의할 수 없거든.


반면 충전케이블은 애플 규격이지만 동시에 협력업체인

세컨드나 서드 파티에서도 생산하는 물품으로 순환생태계

라고 할 수 있음...이경우 독자규격이라 할수 있지.


근데 이게 요즘 어떠냐? 

c타입으로 전환하며 뒤져가는 추세임.


즉 독자생태계, 독자규격은 애플같은 충성고객 사이즈로도

결국은 벽에 부딪친다는거야.


대부분의 독자규격이 그래, 마진과 생산성의 효율문제로

표준규격의 생산량 경쟁에서 반드시 패배한다.

다만 그 시기가 빠르냐 늦느냐의 차이일 뿐.


글이 지워진건지 잔재만 남아서 

이 논쟁이 왜 일어났는진 아직 파악을 못했는데, 

독자규격이란건 절대적으로 규격의 창안자가 갑일때만

효력이 있는거야. 


그리고 그 정도로 갑이면 대부분 표준규격이 되지, 

독자규격인 채로 홀로 고고하게 천년만년 유지가 안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