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역별 행정체계 일원화

(서울인천경기 통합, 충남충북세종대전 통합, 전북전남광주 통합, 경북경남대구울산부산 통합)


면적 규모를 감안하여 행정관서 이원화

(호서도청 대전청사 / 청주청사, 영남도청 대구청사 / 부산청사, 호남도청 광주청사 / 전주청사, 관동도청 영서청사 / 영동청사)


각 도내의 권역별 지청 설치 및 특별지방행정기관(병무청, 고용노동청 등) 통일



지방소멸을 지연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는 공무원을 분산시키는 것.


현재 역할이 겹치는 구와 동을 조정, 현재 대동(7만) 정도 규모의 구제를 전국 시에 실시하고,

규모를 동사무소 수준으로 해서 남는 인력을 비교적 인구 규모가 적은 지역에 배치.



각 도 별 중심도시에 고등법원, 고등검찰청 등 기본적인 지방거점도시 인프라 설치

(서울고등법원, 관동고등법원, 호서고등법원, 호남고등법원, 영남고등법원(대구청사 / 부산청사), 제주고등법원)


각 권역별 거점도시에 상급종합병원, 지방법원/검찰청 지청, 특별지방행정기관 지청 등 기본적 인프라 설치



중심도시-거점도시 간 네트워크 구축, 중심도시 세력권 / 거점도시 세력권 내 교통망 확충



수도권 : 중심도시 서울, 거점도시 인천 / 수원 / 의정부, 준거점도시 평택, 이천, 고양, 구리

관동권 : 중심도시 춘천, 거점도시 원주 / 강릉 , 준거점도시 제천, 속초, 동해, (철원)

호서권 : 중심도시 대전 / 청주, 거점도시 천안 / 충주, 준거점도시 내포

호남권 : 중심도시 광주 / 전주, 거점도시 목포 / 순천, 준거점도시 남원

영남권 : 중심도시 대구 / 부산, 거점도시 진주 / 안동 / 포항, 준거점도시 상주 / 창원

제주권 : 제-주


이런식으로 하면 딱 한 가지 장점은 있는데,

검찰청, 병무청, 고용노동청, 통계청 등 다양한 행정기관의 각양각색 관할지역을 통일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