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력의 상호 견제

한 국회에 너무 많은 권력이 몰리지 않도록 견제코자 하는 목적.  보통 국회에서 정부내각을 구성하는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정부와 국회가 하나되어 폭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함. 


2. 계급별 차이

현재 영국 의회가 귀족원과 서민원으로 나뉘어 있듯, 과거 부터 내려오는 계급별로 국회를 다르게 하는 국가. 현 일본 참의원은 1947년까지 귀족원이었음. 


3. 직업/직능별 차이

사회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듣고자 상원을 각 직업과 직능별로 여러 사람을 구성하는 경우. 아일랜드가 대표적임. 홍콩 입법회는 상원은 없지만, 이런 식으로 직능별 의석을 따로 배정함. 


4. 여러 지역의 의견 청취

인구수 비례로만 국회를 구성하면 인구가 적은 지역의 민의는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약점을 보완하고자 상원에 지역별로 의석을 배분하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됨. 프랑스와 러시아가 대표적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