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방의 기반산업인 제조업의 세퇴 vs 수도권의 기반산업인 지식기반산업과 전자산업의 성장

2. 지방의 경공업 쇠퇴 시작 시기 = 한중수교 시작으로 인한 경기만의 산업역량 확대 시기

3. 서울의 인구분산 정책으로 인한 경기도의 정주여건 개선 

4. 위 2번과 3번으로 인해 인천과 경기가 더 이상 서울의 위성도시가 아닌 서울 이상의 힘을 가진 거대한 블랙홀로 성장

5. 고속철도 개통 등으로 인한 지방거점도시의 역할 축소

6. 산업화 시대 상경한 상경민들의 2세, 3세로 인해 젊은 세대로 갈수록 고향이 수도권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방의 인구유입률이 감소하고, 기업은 인재유치를 위해 수도권을 선호

7. 기업의 글로벌화로 인한 지방 제조업 공장의 국외유출

8. 출산율이 저조한 상황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젊은이가 적은 지방은 자연인구증가도 더딘 상황이 됨




이러한 수많은 요인들이 너무 짧은 시기에 한번에 몰아닥치면서 대응할 시간도 없이 엄청난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었음. 


특히 지방의 제조업 쇠퇴 시기와 수도권의 지식기반/문화/전자산업 성장 및 한중수교 시기가 절묘하게 같은 시기에 오면서

한쪽은 내려가고 한쪽은 올라가는… 상황이 연출되어 더 극적인 차이가 벌어지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