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대경성계획 초기 지도.


총독부와 경성부는 1920년대부터 경성부 확장을 논의했는데, 을축년 대홍수 및 경성 내부 정비문제로 이루어지지 못했음. 


그러다가 1930년대에는 대경성 이라는 단어가 각종 언론에 등장하며 현실화되기 시작했지. 




1933년 조선일보는 당시 경성 편입 예정 후보지역을 기행하는 특집 기사를 냈음. 

당시 대부분 지역이 경성의 배후지역으로 주거지가 건설되었고, 뚝섬은 골프장이 생기는 등 논밭에서 경성의 근교 유락지로 바뀐지 오래였음. 


그런데 이 기사에서 집중적으로 바라보는 지역은 영등포임. 


영등포는 다른 근교와 다르게, 이미 부 승격을 앞둔 읍 수준이었으며 경성보다 더 부유하고 공장이 많은 지역이었음. 


당시 영등포읍장은 조선일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인구 30만의 대영등포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며 자신감 넘치는 말을 했음. 





영등포는 대일본맥주 공장 등 수많은 공장이 있었고 일본 본토 기업들이 계속 진출을 준비했을 정도로

경인공업지대의 핵심같은 지역이었음. 


이후 총독부에서 경성부 편입 관련 해당 지역 읍장 면장들과 간담회를 했을 때 

저 위 후보지역 증 유일하게 영등포읍장만 경성부 편입에 부정적 의견을 피력함. 


당시 영등포 지역 유지들은


1. 당장 우리도 잘나가는데 자체적으로 ’대영등포’를 실현하고자 영등포부가 되는게 낫지 않은가?

2. 경성보다 우리가 재정도 더 풍족한데 우리가 왜 경성으로 들어가야 하나?


로 경성 편입에 부정적이었음. 



당시 유지들은 민족별로도 의견이 좀 갈렸는데


일본인 유지들 - 영등포 독자 발전론 : 영등포부가 되어 자체적으로 발전하자

조선인 유지 - 현실론 : 총독부 정책에 계속 반항하는건 불가능하니 경성부 편입을 받아들이되 우리에게 유리한 조건을 붙이자 



결국 현실론이 받아들여져 경성부 편입에 찬성하되


1. 경성부회에 영등포 의석의 많은 배정

2. 교육기관의 확충

3. 간선도로의 우선 부설

4. 영등포역 지하도 개설

5. 위생시설의 완비 및 소방기구 확충

6. 구제 실시 및 영등포구 설치


를 조건으로 했음. 


실제 당시 조선일보 기사를 보면, 영등포읍의 포부와 달리 인구는 많으나 인프라가 엉망이라고 언급되었는데 이를 해결해 달라고 한 것임. 


영등포는 80년대까지도 서울에서 유독 따로 놀고 독자적 성향이 깅한 지역으로 분류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