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dogdrip/21484827?showComments=all#c_74588501

요약: 이 랜섬웨어는 변종이 존나많아서 감기백신 못만드는거랑 똑같음

이 랜섬웨어는 파일의 권한을 수정해 지 마음대로 파일 수정삭제가 가능해짐

니가 권환부여할 때부터 낌새차렸어야함

니 컴퓨터 좆된거니 빨리 중요한 문서 있으면 필요없는 usb에 백업하고 나머지는 아래 영상 정독하면서 찾아라.

그리고 그 usb는  절대절대절대로 다른곳에 꼽지말고 

복구툴 나올때까지 존버타라


일단 이거 걸린 게이는 야겜땜에 그런게 아니라 

인터넷에서 "제가 찾던 거네요! 감사합니다~"

그런거 받아서 걸린거다



먼저 안전모드로 부팅하여 작업하세요.

안전모드 부팅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안전모드] 항목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인터넷에 연결하여 필요한 파일과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ㅇ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메모장을 열어서 아래 내용을 복사하여 [바탕화면.reg]로 저장하여 마우스 2회 클릭하고, 로그아웃하거나 작업관리자를 실행하여 [windows 탐색기]를 찾아 오른쪽 하단에 있는 [다시 시작]을 누릅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NoViewContextMenu"=dword:00000000


  • 메모장은 [win+r] 단축키를 눌러 [notepad]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 작업관리자는 [win+r] 단축키를 눌러 [taskmgr]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1. 탐색기를 열어서 각각의 C/D/E 등의 드라이브에 [system, administrators, authenticated users, users, 로그인ID]을 추가합니다.
    - system, administrators, authenticated users, 로그인ID에 모든 권한을 줍니다.
  2.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내용을 복사하여 cmd 창에 [ctrl+v]를 눌러 붙여넣기합니다.

icacls "C:\Users" /reset /t /c /l
icacls "C:\$WinREAgent" /reset /t /c /l
icacls "C:\$Recycle.Bin" /reset /t /c /l
icacls "C:\Config.Msi" /reset /t /c /l
icacls "C:\Documents and Settings" /reset /t /c /l
icacls "C:\PerfLogs" /reset /t /c /l
icacls "C:\Program Files" /reset /t /c /l
icacls "C:\Program Files (x86)" /reset /t /c /l
icacls "C:\ProgramData" /reset /t /c /l
icacls "C:\Recovery" /reset /t /c /l


3. 다른 드라이브가 있는 경우

cmd 창에서 다른 드라이브로 이동하여 [드라이브명:]엔터합니다.

  • c:\e: [엔터]
  • - e:\

그리고 아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합니다.


dir >list.txt /b/da-s


노트패드++를 내려받습니다.

영상에 나오는대로 수정하고, 변경한 내용을 복사하여 cmd 창에서 실행합니다.

또는 메모장으로 열어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변경하여 실행합니다.


icacls "드라이브명:\폴더명" /reset /t /c /l


4. 에브리씽을 다운받아, 1개의 랜섬노트와 필요한 암호화된 파일을 보관합니다. 그리고 보관후에는 모두 삭제합니다.

5. 안전모드에서 나오기

기본작업이 끝났으면, msconfig를 실행하여 [부팅]탭에서 [안전모드]에서 빠져 나옵니다.

6. 나머지 작업

위의 작업은 소디노키비 랜섬웨어에 의해 삭제된 파일/폴더 권한을 재설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아래 링크의 동영상을 참고하여 나머지 작업을 하여 마무리 하세요.

7. 설치된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랜섬웨어는 프로그램 작동에 필요한 파일 중 일부(*.ini/*.inf/*.xml/*.zip)를 암호화합니다. 작동이 안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재설치하는데, 설치된 폴더를 삭제 또는 일단 설치 폴더 이름을 바꾸고 설치하세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되지않는다면, 아래 링크의 레지스트리 클리너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레지스트리를 정리한 후에 설치를 해보세요.

8. 권고사항

▶ 윈도우즈 디펜더를 보조백신으로 - 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를 사용하자

▶ 윈도우즈 랜섬웨어 보호기능은 c:\windows 폴더로 사용자 폴더로 옮기자

▶ 중요한 파일은 확장자를 exe로 바꾸거나, 추가하자

▶ 시스템백업을 사용하지 말고 [아오메이백업퍼/리도리스큐]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