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말딸의 기수

ㅡ10편

https://arca.live/b/umamusume/77106835

ㅡ11편

https://arca.live/b/umamusume/78885902

ㅡ12편

https://arca.live/b/umamusume/80359853

ㅡ13편

https://arca.live/b/umamusume/81572640

ㅡ14편

https://arca.live/b/umamusume/84890401

 

키타무라 히로시 - 기수 [1999~현재]

[주전 1]

키타산 블랙 [2015] - 5전 4승, GI 1승 [1]

GI/JpnI 우승

2015 [국화상]

말딸과 1승 [1], 통산 4승 [3]


키타산 블랙의 클래식 시즌 주전 기수. 키타산 블랙이 클래식 시즌에 출전한 중상 6경기 중, 기승 정지 중이었던 사츠키상, 부상으로 휴양 중이었던 아리마 기념을 제외한 4경기에 기승했다. 이때 킷카상을 우승하여 통산 3번째 GI, 첫 클래식 GI 우승을 달성했다.


2015.10.25

제76회 국화상 [GI] - 교토, 잔디 3000m, 우회전, 3세 한정, 거세마 제외

 

마주분이 가수라 흔치 않은 현실 위닝 라이브


2016년부터는 기수가 타케 유타카로 바뀌어 키타산 블랙에 더 기승하지는 못했다.

현재도 기수로 활동 중이지만, 부상운이 사나운 터라 좀처럼 기량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23년도 한신JF에서 8년 만에 통산 4번째 GI을 우승했다.

 


주앙 모레이라 [브라질] - 기수 [2003~현재]*

*2009~2013년에는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서, 2013~2022년에는 홍콩에서 활동

(단기 2)

사토노 크라운 [2016, 2018] - 2전 1승, G1 1승 [1]

비블로스 [2017] - 1전 1승, GI 1승 [1]

사토노 다이아몬드 [2018] - 1전 0승

G1 우승

2016 [홍콩 바즈]

2017 [두바이 터프]

말딸과 2승 [2], 통산 57승 [44] (홍콩 28승 [21], 브라질 7승 [7], 아랍에미리트 3승 [3], 일본 3승 [2], 그 외 16승 [11])


브라질 출신이지만 홍콩에서 주로 활동한 기수. 2022년까지 홍콩에서 활동할 때는 홍콩 최고 수준의 기수로 알려져 있었다. 일본에는 자주 오지 않지만 홍콩, 아랍에서 열리는 경주에 참가하는 일본마에 가끔씩 기승한다. 그 중 하나가 사토노 크라운. 2016년 홍콩 바즈에서 하이랜드 릴의 2연패를 가로막고 우승했다.


2016.12.11

[홍콩] 제23회 홍콩 바즈 [G1] - 샤틴, 잔디 2400m, 우회전

 

크라짱의 홍콩 바즈는 한글 자막이 없다. 다들 영어 알아듣지?


현재는 홍콩 자키 클럽 면허를 반납하고, 브라질로 돌아갔지만 여전히 단기면허로 세계 각지의 경주에 나오고 있다. 23년도 하반기부터 JRA 단기면허를 따서 일본에서도 다수 기승하고 있다. 23 JBC 클래식에서 킹스 소드로, 24 벚꽃상에서 스텔런보슈로 우승.


휴 보먼 [호주] - 기수 [1996~현재]*

*2001년까지는 아마추어 경주에서, 2023년부터는 홍콩에서 활동

(단기 2)

슈발 그랑 [2017~2019] - 5전 1승, GI 1승 [1]

사운즈 오브 어스 [2018] - 1전 0승

G1 우승

2017 [재팬 컵]

말딸과 1승 [1], 통산 110승 [106] (호주 99승 [99], 홍콩 9승 [6], 일본 1승 [1], 싱가포르 1승)


호주의 기수. G1을 100회 이상 우승했다. 호주나 홍콩에서 주로 활동하기 때문에 일본마와는 엮일 일이 별로 없었지만 2017년 재팬 컵에서 슈발 그랑과 함께 우승한 후 슈발 그랑에 몇 번 더 기승하게 된다. 승리를 추가하지 못했지만 GI 4번에서 모두 2착 또는 3착의 성적을 거두는 준수한 성적을 냈다.

2017년에 슈발 그랑의 재팬 컵 우승을 비롯해 G1을 다수 우승하여 세계 최우수 기수에 올랐다.

슈발 그랑의 비밀에서 언급되는 "호주에 사는 소꿉친구"가 휴 보먼을 반영한 내용으로 보인다.


2017.11.26

제37회 재팬 컵 [GI] - 도쿄, 잔디 2400m, 좌회전

 

유튜브 자막 기능을 켜야 자막이 나온다. 끄덕끄덕 슈발 그랑 귀여워


슈발 그랑 외의 일본마와는 좀처럼 인연이 없었다. 여전히 호주와 홍콩에서 활발히 활동 중.

 

 

마츠야마 코헤이 - 기수 [2009~현재]

[주전 1]

데어링 택트 [2019~2022] - 12전 5승, GI 3승 [3]

GI/JpnI 우승

2020 [벚꽃상], [일본 오크스], [슈카상]

말딸과 3승 [3], 통산 9승 [5]


데뷔한 지 15년차를 맞은 상대적으로 젊은 기수. 데뷔 직후부터 승수를 빠르게 쌓아 나간 덕에 경력에 비해 높이 평가받지만 GI 승리는 약간 늦은 2017년이 처음이었다.

이후 2020년, 데어링 택트와 암말 3관을 달성하였다. 암말 3관은 몇 번 있었지만 무패의 전적으로 이루어진 건 처음이었다.


2020.4.12

제80회 벚꽃상 [GI] - 한신, 잔디 1600m, 우회전, 3세 암말 한정

 

암말 3관 3경기 모두 훌륭하지만 개인적으로 최고는 벚꽃상. 말과 기수의 능력이 훌륭한 조화를 이루었다.


이후로도 계속 데어링 택트의 주전 기수로 활동했지만 상대가 강하거나, 데어링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해서 승운이 없었던 편. 그 때문인지 마지막 레이스가 된 22년도 재팬 컵에서 톰 마퀀드가 대신 기승하여 데어링의 모든 경기에 기승하진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2022년 JBC 클래식, 2023년 JBC 레이디스 클래식을 우승하는 등 GI/JpnI 승수는 계속 쌓아 나가고 있다.


말딸의 기수 -끝-

이제 귀찮아서 이런 글 안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