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권에서는 대구-경산을 제외하면 모두 1시군 1통화권이야. 심지어 인구 적은 울릉군도. 그리고 산이 많아서 경계가 딱딱 나뉘어서 그런지 북동부는 행정구역이랑 생활권이 대부분 정확히 일치해. 여기서 다루는 지역도 남부와 서부에 대부분 몰려 있어.


1) 경산시 => 대구

 - 사실상 대구의 멀티, 대구광역시 경산구라고도 불리는 경산시야. 경산시 시가지는 아예 대구 시지랑 연담화되어 있고. (개발은 경산이 더 빨랐음) 대구 전철도 2개나 경산을 지나거나 지날 예정이지. 사실 하양 인근의 경우 0541이라는 독자적 번호를 썼었지만 90년대 초중반에 결국 대구 번호에 흡수되었지. (그 경계는 잘 모르겠음) 여담으로 현풍 등 달성군 남부도 0548이란 독자적 번호를 80년대 중반까지 썼었지만 80년대 후반에 대구에 흡수됨.

 - 이제 대구-군위가 진짜 통합된다면 군위도 대구 통화권에 편입되겠지...?? 그럼 모양이 한층 더 기괴해질 듯 물 뿜는 고래 나올 듯 ㅎㄷㄷ


2) 칠곡 지천면 낙산리, 연호리, 용산리 => 대구

 - 칠곡 지천면 동부에 있는 리들로 신동역이 있는 지천면 중심지와는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직선 거리에 비해 실제 거리가 꽤 멀어. 오히려 칠곡, 금호동 쪽이 도로도 잘 뚫려 있고 상권도 크고 해서 대구의 영향을 훨씬 많이 받을 거야. 의외로 칠곡 북쪽과 거리가 가깝고 시내버스도 빈번히 다니는 동명면은 대구 통화권이 아니야.


3) 칠곡 가산면 심곡리 => 구미

 - 구미 장천면 중심지(장천초등학교 있는 곳)와 바로 붙어 있고 가산면사무소는 몇 배나 멀리 떨어져 있어. 통화권에서나마 가까이 있는 장천면의 영향으로 구미 통화권에 소속된 것 같아. 참고로 동남쪽의 석우리는 반대로 구미 장천면 소속이었다가 가산면사무소가 가깝단 이유로 87년 가산면에 편입된 곳인데, 이때 둘이 맞교환했음 좋지 않았을까 생각해.


4) 상주 중동면 우물리 537번지, 552번지 => 의성

 - 빨간 표시한 곳이 왼쪽부터 각각 우물리 552번지, 537번지야. 파란선 위가 의성 다인면 산내리고 아래가 상주 우물리인데, 도로 모양만 봐도 산내리 쪽에서 발달한 마을의 연장선 같은 느낌이지. 도로도 중동면보다는 다인면 중심지가 경로가 직선에 가까워서 좀 더 접근하기 편해 보이더라.


 

5) 대구 동구 용수동 산1번지, 영천 신녕면 치산리 산141-5번지 => 군위

 - 두 지역 다 팔공산 정상을 끼고 있는 곳이야. 세 지자체로 나뉘는 팔공산 정상을 편리하게 군위 한 곳이 관리하게 만든 것이라 해야 되나...? 일단 번지대로 표시하면 이렇게 됨. (왼쪽이 대구, 오른쪽이 영천) 근데 이제 곧 군위도 대구 통화권 들어올 텐데 그럼 팔공산 정상도 결국 대구 통화권이 되겠네.


6) 상주 함창읍 윤직리 때때리마을 => 문경

 - 함창읍이 먼 건 아니지만 문경시내(점촌)에 정말 딱 붙어있는 모양이야. 조금만 올라가면 점촌이니 통화권도 문경으로 배정된 것 같아. 참고로 윤직리 위에 문경 윤직동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윤직리 일부가 점촌에 편입된 것이야. 그만큼 가깝다는 거지.


7) 구미 옥성면 구봉리 => 상주

 - 옥성면 최북단이자 구미 최북단으로 옥성면 중심지보다는 낙동면이 조금 더 가까워보여. 낙동면 소재지와는 직선 거리는 코앞이지만 산 때문에 조금 돌아가서 실제론 가깝지 않고, 낙동출장소(낙동면 내 파란 표시)는 진짜 코앞.


8) 문경 농암면 내서리 광정, 갈곡마을 => 상주

 - 위 두 마을은 농암면보다 화북면 중심지에 더 가깝고 (지도에선 잘 나타나지 않지만) 마을 진입로도 화북면 쪽으로 나 있어. 사실 광정(아래)은 카카오맵에도 잘 나와 있지만 갈곡(위)은 아무리 서치해도 안 나와서 대충 이곳이겠지 하고 뇌피셜로 찍은 곳임. 마침 그 곳이 화북면 용유리랑 걸쳐서 마을이 있는 곳이거든.


(문경 서쪽 삐져나온 하늘색은 괴산 통화권으로 (5) 충북 편에서 설명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