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variants.org/per-country

링크가 곧 내용



COVID-19 변이는 종류가 정말 다양한데 그 중 WHO에서 전파력이 높거나, 병원성이 증가하거나, 진단이나 백신의 유효성이 떨어지는 등 주의해야 할 몇몇 변이를 주요 변이바이러스(VOC) 혹은 기타 변이바이러스(VOI)로 지정해 알파벳을 붙여줌. 질병관리청 사이트에 VOC로 지정된 4개 변이(알파, 베타, 감마, 델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으므로 참조.


covariants.org에서는 위 범례로 각 변이들을 표시하고 있으니 아래 그래프를 볼 때 참조하면 될 듯



🇰🇷 대한민국

올해 초부터 알파 변이와 20A/S:126A라는 처음 들어보는 변이가 유행했으나 다수를 차지하진 않았는데 초여름 홍대를 기점으로 델타 변이가 급속도로 확산했고 확진자 수도 급속히 증가한 느낌. 현재는 확진자 대부분이 델타 변이.



🇯🇵 일본

2021년 초부터 알파 변이가 크게 유행해 확진자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역시 여름부터 델타 변이로 대체됨.



🇮🇩 인도네시아 

동남아 지역은 올해 초까진 covid-19 상황이 괜찮다가 갑작스레 악화되었는데 인도네시아의 경우 변이 바이러스가 거의 없다가 21년 여름부터 델타가 확진자 대부분을 차지하게 됨.



🇦🇺 오스트레일리아

여기도 우리나라처럼 올 여름부터 확진자 수가 많이 늘었는데 변이 바이러스가 다수가 된 건 역시 델타 유행 이후.



🇮🇳 인도

델타 변이가 처음 발견된 지역으로 2021년 봄 대유행을 기점으로 델타가 다수를 점함. 카파 변이도 인도에서 처음 등장해 VOI에 등록되었으나 델타에 밀려남.



🇮🇱 이스라엘

2020년 가을은 표본수가 하나밖에 없어서 튀는 결과가 나온 것 같고.. 2021년 초엔 알파 변이가, 여름부턴 델타 변이가 대부분을 차지.



🇷🇺 러시아

이쯤 되면 많은 나라 패턴이 비슷비슷한 걸 체감할 수 있을 터인데 여기도 여름부턴 델타 변이가 대부분을 차지.



🇩🇪 독일

2020년 후반 20E라는 생소한 변종이 유행하다가 이후로는 겨울 알파 → 여름 델타 패턴.



🇮🇹 이탈리아

여기도 독일과 흡사한 그림인데 20E가 한때 우세한 변이였음. 결국 겨울 알파 → 여름 델타에 밀렸지만..


 

🇬🇧 영국

알파 변이가 처음 발견된 지역이지만 여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델타에 밀려 알파 변종은 사라지다시피 함.



🇫🇷 프랑스

2020년 후반 20A.EU2라는 생소한 변종이 유행하다가 여기도 이후로는 겨울 알파 → 여름 델타 패턴.



🇳🇬 나이지리아

에타 변이가 등장해 VOI로 지정되었으나 델타에 밀려남.



🇿🇦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신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 변이가 처음 등장한 곳이었으나.. 전염력이 더 강한 델타에 밀려남.



🇨🇦 캐나다

지금까지 보셨다면 대부분 그렇다는 걸 아시겠지만 여기도 겨울 알파 → 여름 델타 패턴. 감마 변이도 중간에 상당부분 차지했으나 밀려남.



🇺🇸 미국

또 겨울 알파 → 여름 델타 패턴. 미국발 변이로는 이오타 변이가 VOI에 등록되었었는데 이것도 델타에 밀려남.



🇲🇽 멕시코

2021년 초에 20B/S:732A라는 변이가 유행했는데 이내 델타에 밀려남.



🇨🇴 콜롬비아

2021년 초부터 감마 변이가 조금씩 유행하다가 봄부터 변이가 폭발적으로 확산해 VOI에 새로 등록됨. 아직 콜롬비아 내에서만 다수를 점하고 있는데 어떻게 될지는 두고봐야..



🇵🇪 페루

람다 변이가 처음 발견된 곳으로 람다 변이가 확진자 중 다수를 차지.



🇧🇷 브라질

감마 변이가 처음 발견된 곳으로 계속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델타변이가 확산되면서 최근은 두 변이가 발견되는 빈도가 비슷해진 듯.


* * *

요약하면 남미 빼고 대부분 지역은 델타 변이가 압도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