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라이즌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3907807

배틀 메이드 프로젝트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007695

페어리 시리즈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188316

스카이 나이츠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252309

AA캐노니어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339800

스틸라인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526009 

버뮤다 팀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532402

둠브링어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675398

컴패니언 시리즈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690787

몽구스 팀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707929

아머드 메이든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865018

골든 워커즈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4920407

애니웨어 시리즈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5077420

시티가드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5274454

발할라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5380185

호드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5571603

덴세츠 & 코헤이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5910306

비스마르크 & 워쳐 오브 네이쳐 편
https://arca.live/b/lastorigin/26326891

각종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컨셉으로 하고 있어서 그런지 구성원들이 대체로 시끌벅적한 인상을 보여준다.

캐럴

풀네임을 캐럴라이나로 한 것을 보면 치어리더 팀들의 명성이 높은 미국 캐럴라이나 주의 주립대학교와 그 안의 치어리더 팀을 모티프로 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명성이 좋은 쪽으로만 높은 건 아닌데,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주립대학교인 코스탈 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치어리더 팀(이미지)는 단체로 성매매를 했다 적발되어 팀 전원이 체포당하는 사건도 있었다.

좆간이 판치던 카오스 세계관의 라오를 생각하면 이 부분도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키르케

그리스 신화의 마법사 여신 키르케

원작에서는 이아손이 주도한 아르고 호 원정대에 동행한 마법사 메데이아의 고모로, 트로이 전쟁이 끝난 오디세우스의 귀향여정 중 난파된 오디세우스 일행을 만났을 때 등장한다.

또한 그리스 신들 중에서도 몇 안되는 사람을 죽인 적이 없는 신이기도 한데, 그래도 죽이지만 않았지 사람을 짐승이나 괴물로 변신시키는 짓은 수도 없이 저지른 속이 배배 꼬인 신이기도 하다.

라오의 키르케는 c구역에  퇴역 바이오로이드를 보낸 것에 죄책감을 느껴 현실도피로 술주정뱅이가 되버렸으니 어느 정도 비슷한 구석이 있지만 그래도 이름만 따왔지 캐릭터성은 딴판.

써니

이름답게 태양과도 연관이 있지만 주된 이름뜻은 cheerful, energetic, happy 등이며, 물론 영어권에서 비롯했다.

뭐 공연을 하는 캐릭터인 만큼 적절한 네이밍이다.

레나

이름의 모티프는 레온이라는 링네임을 가진 일본의 프로레슬러 타카세 레나,

그리고 세이블이라는 링네임을 가진 미국의 프로레슬러 레나 레스날을 모티프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레나의 디자인을 할 때 초반에는 퍼포먼스 플레이 위주의 일본 프로레슬러 컨셉을 채택하였으나, 신체능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추후 서양의 프로레슬러같은 외모로 컨셉을 바꾸었다고 알려져 있다.

뮤즈

뮤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학문과 예술을 주관하던 아홉 여신이다.

많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장려하고 영감을 불어넣는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현대까지도 그 의미를 묘사하는 데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다만 시간이 흐르면서 성별은 대부분 여성으로 묘사되나, 가끔 바뀌어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보련

이름의 유래는 부처가 앉거나 서는곳을 의미하는 寶蓮臺(보련대)이다.

현대에는 주로 불상의 초석으로 많이 묘사된다.

宝蓮이라 표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일본식 한자.

보라색 연꽃과는 한자가 달라서 관련은 없지만 이도 어느정도 캐릭터 디자인에 반영된 것 같다.

다만 미용사 캐릭터를 어떻게 불교에 엮었는지는 불명이다.

대동강맥주 키르케짤로 마무리

이제 남은팀이 퍼블릭 서번트, 스트라이커즈, 오비탈 워쳐 정도임

이 시리즈도 슬슬 후딱 끝내야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