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iratory>

  • 긴장성 기흉을 의심해야 하는 증상 → 현장에서는 일단 니들 꽂고 본다(14G 이상 니들)

- 호흡장애

- 빠른 호흡, 흉통

- 위 두 증상으로 인한 청색증

- 외상성 심정지

- Shock

- 산소포화도 90% 이하

- 폐음 감소 및 결손

- 몸통 외상, 복부 자상, 폭압 등 무딘 손상



  • Needle Decompression

- 초기 처치: 체스트실 한 쪽 제거, 산소측정기 있으면 장착

- 꽂는 위치: 2-3번,사이 아래쪽(3번 바로 위) 빗장선 중앙 / 손으로 만져서 첫 번째 만져지는 뼈

또는 얖겨드랑이선 5번 / 얇지만 잘못 찌르면 가로막 뚫는다

- 성공하면 공기 새는 소리가 들림(5번은 잘 안 들림), 성공 시 즉시 회복

- 이후 바늘 제거 후 카테터만 위치, 의식이 있거나 기도개방 필요 없으면 회복자세

- 막히면 빼고 다시 꽂기

- 기흉이 발생한 폐 어딘지(좌우) 모르면 그냥 양쪽 다 꽂기

- 수시로 재평가, SAT 확인

* SATuration 측정: 보통 98%이나 저체온증, 저체혈성 Shock, CO 중독(청색증 없이 홍조 발생), 고산증


  • NDC 실패 시?

- 반대쪽이나 다른 위치에 시행

- 회복 후 다시 기흉 발생 시 같은 위치에 니들 추가

- 그래도 실패 시 C 단계로 넘어감


Q. 정상 폐에 구멍 뚫으면 어떻게 되나? 결국은 회복된다.



<Circulation>

  • 골반 손상

- 사망자의 26%(골반 손상과 이로 인한 출혈, 불안정한 혈액학적 장애 포함 시 40%)

- 의심해야 하는 때: 골반 통증, 다리 길이 차이 발생, 폭발 시 파편/압력으로 인한 다리 절단, 추락, 요도구 출혈, 다리 외전된 상태


- 발생 위치 - 주로 관골구(다리뼈와 만나는 부위), 보통 주머니 입구 아래

- 처치: 골반 고정(Pelvic Binder) / 다리 마비, 결손 발생 가능


  • 장비는 어떤 걸 사용해야 하나? 자기에게 편한 거

  • 잘못된 적용 위치: 엉덩뼈 날개에 적용하는 경우

  • 골반 골절 시에는 Log Roll 하면 안 됨. 내부 출혈을 야기함 /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땅을 파거나, 들거나...


실습: 상처 패킹, NPA, i-gel, NDC, TQ 적용(총성, 사이렌, 섬광, 어둠, 좁은 공간)

바늘은 위를 향해 들지 않는다. 위험

Crit-Key 사용 시 수직으로, 적색 클립이 빠질 때까지

바늘을 빼는 동시에 카테터 잡고 밀어넣기

NPA 적용 - 젤 바르고 코를 당긴다. 절삭면이 비중격을 향하도록 삽입


여기까지 1일차 수업


<Circulation>

개요

- 전장에서는 정맥라인 잡기 어려움 → IO 적용

- 빠져나간 혈액은 채워준다

- 저체혈성(출혈성) Shock 발생, 위험 시 약물 투여(당연히 의식 없으면 Oral, Nasal X)

- IO 단점? 무장 해제 필요, 골파편 발생

- 트라넥삼산(TXA)

- 물을 마시게 해도 괜찮다. 탈수가 더 위험. 복부 상처 시에도 괜찮다.

* 혈액 손실에 따른 증상

- 0.5L 증상 없음

- 1L 심박 올라감

- 1.5L 혈압 내려감

- 2L Lethal(저체혈성 Shock)

- 2.5L Fatal(LOC)


  • 심각한 손상 시 원위부 IV 어려움

  • 즉시 수액 필요하지 않으면 Saline만 우선(이송 시 불편하지 않음) / 카테터 쉽게 안 빠짐, 필요 시 약물 투여 가능, 귀중한 수액 절약

  • IV 성공 후 식염수 5cc 주입, 1~2H 마다 추가(막히지 않게)

  • FAST IO 하면 안 되는 경우 - 복장뼈 골절(동요가슴, 음압으로 가슴이 움푹 꺼짐) / 그 외의 경우는 대체로 군인에게 해당 없음, 50kg 이하, 12세 이하

  • EZ-IO 위팔뼈 머리에 적용, 바늘로 피부를 뚫고 뼈에 닿으면 드릴링, 주사기 당겨서 피(골수)가 나오면 성공 - flushing



  • 부족한 혈액을 채우기

- 트라넥삼산(TXA): 수혈 예상 시 가능한 한 빨리(1H) / 지혈대나 상처 패킹 제한 시 지혈 가능(원래는 지혈제임) / 1g + 식염수 or 락테이트 / 단, 3H 초과 시 사용하지 않음

- 수액소생술은 교재 p. 89를 참고하라...

- 의식이 있으면 구강으로 섭취 가능


  • 항상 재평가하라

  • 사용하지 않는 약물: 알부민 - 외상성 뇌손상 시 X / 볼루벤 - 비쌈... / 생리식염수 - 과염소성산증 유발

  • 수액 놓아도 회복 안 되면 긴장성 기흉 의심하고 일단 찔러라


<Hypothermia Prevention & Management, Head Injuries>

- 위험성: 혈액 응고 방해

- 발생: 외상, 환경 요인, Shock

- 처치: 환경 제거, HPMK(Hypothermia Prevention and Management Kit), 제한 시 모포, 포단, 침남, 판초우의 등으로 체온 유지 노력

https://tactical-medicine.com/products/hypothermia-prevention-management-kit-hpmk


  • 안구 관통상(교재 p. 95)

- 안와 내(안구후) 출혈 - 압력 증가 - 신경 손상, 실명

- Eyeshield 적용, 제한 시 고글 같은 거라도

- 절대 압박하지 않아야 함

- 항생제(목시플로사신 400 mg 또는 어타페 1g) 투여(IV 또는 IO)


<약물 사용>

  • 목적: 전투력 유지, 신속한 통증 경감, 부작용 피해 최소화)

  • 적용 알고리즘: 교재 p. 99


  • CWMP(Combat Wound Medication Pill): 멜록시캄 15 mg, 아세트아미노펜 ER 650 mg, 목시플로사신 400 mg

  • 진통제

- 경증 ~ 증등도 통증: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멜록시캄 복용 - 혈소판 방해하지 않음

- 중등 ~ 중증 통증 - 투여 전 AVPU 확인

Shock, 호흡곤란(발생 위험) 시 - 케타민

아닐 경우 - 경구 점막 구연산 펜타닐(Oral Transmucosal Fentanyl Citrate, 펜타닐 캔디) 800 μg


* 펜타닐 - 의식 저하 시 투여하지 않도록 고무줄로 방탄복에 묶어두거나 손가락에 감아두기

* 고용량 투여 시 진정(수면), 악몽

  • 진통제 투여 시 주의사항

- 마약성 진통제 투여 시 날록손(아편길항제) 준비

- 케타민, 펜타민 캔디 - 뇌압, 안압을 상승시키고 저혈압을 유발 / 의식이 있고 통증을 표현 가능한 경우에만 투여 가능

- 케타민 - 안구 손상 시 투여 가능(추가 손상 위험 낮음), 호흡 부전 시 투여 불가

- 케타민, 펜타민 캔디 동시 투여 가능하지만 천천히(IV 1분 이상)

- 케타민으로 인한 호흡 부전 시 백밸브마스크

- 오심, 구토 시 온단세트론 4 mg

  • 항생제

- 목시플로사신 - 경구 투여 가능 시, 하루 1번

- 어타네펨 - 경구 투여 불가 시, IV 또는 IM, 하루 1번

- 모든 개방성 상처에, 감염 발생하기 전에 일단(조기에) 항생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