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용어 정리

 

 

-가 항목

 

가가家家

-자신과 친한, 나이 많은 남자를 여자가 부르는 호칭. 자신보다 나이가 좀 많다 싶으면 대가大家라고 부른다.

 

 

 

○가장家莊

-풀이하자면 ○씨 성의 사람들이 사는 장원이라는 뜻.

세력은 제법 있지만 세가라고 하기는 어려운 수준의 무공을 지녀서 세가로는 불릴 수 없거나, 역사가 매우 짧아 세가라 불리기 어렵거나, 세가라고 하기에는 지닌 바 세력이나 명성이 적은 어중간한 무가武家를 부르는 말.

가장 유명한 것은 중원제일의 거부로 유명한 석숭의 석가장石家莊, 양가창법으로 유명한 신창양가(구舊 양가장), 마가창법으로 유명한 마가장馬家莊 등등이 있다.

세가보다는 세력이 낮고 격이 떨어지지만 그래도 무가인지라 어느 정도의 무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세력이 약해서인지 보통 악역한테 쓸릴 때는 가장 먼저 쓸려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곤 하는 등, 취급이 안 좋다. 

 

 

 

가사袈裟

-주로 승려가 걸치는 의복 전반을 뜻한다. 현대의 스님들이 걸치고 나오는 회색 옷 위에 덧대어 입는 것을 가사라고 칭하고, 그 안에 받쳐 입는 회색 옷은 승포僧布라고 해서 따로 분류한다.

 

 

가전무공家傳武功

-말 그대로 가문에 전해 내려오는 무공이라는 뜻.

구파일방이나 문파, 방회, 연맹 같은 곳에서 전수받는 절기와는 다르게 오로지 가문의 혈족에게만 전수하는 무공을 뜻한다.

직계 혈족에게만 전수하는 것과 방계 혈족이라고 해도 전수받을 수 있는 것, 두 가지가 있으며 보통 재능이 뛰어나면 방계 혈족이라고 해도 극소수에 한해 전수를 허락하는 등의 융통성도 발휘하지만, 보통은 직계 혈족 아니면 전수 받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남궁세가 같은 메이저 세가에서도 이거 때문에 분란 나는 경우가 많다. 이거 때문에 가문이 찢어져서 싸우다가 두 조각나는 등 개판이 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입은 고마움이 뼈에 사무칠 지경으로 깊어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 

 

 

각골명심刻骨銘心

-얻은 교훈을 뼈에 새겨 결코 잊지 않겠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간鐗

-기문병기. 사용자가 많지 않은 병기로, 네모나게 각진 몽둥이류의 무기를 간이라고 한다. 이걸 주력으로 쓰는 악역은 극소수이며, 소설 내 등장인물 중에서 이걸 쓰는 놈은 본 기억이 거의 없다. 

사람 머리를 박살내는데는 충분한 위력을 발휘하며, 네모나게 각진 것은 사능철간이라고 불렀고 각진 정도를 달리함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육각, 팔각 등 다양한 각진 몽둥이가 존재한다.

 

 

간뇌도지肝腦塗地

-간과 뇌장을 쏟아낸다는 의미. 나라를 위해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 정도로 주군에게 충성을 바치는 이들이 긴 말이 필요하지 않을 때 인용하는 경구로도 사용한다.

 

 

 

간난신고艱難辛苦

-맵고 쓴 어려움. 지독한 어려움과 힘겨운 고통을 가리키는 말. 자주 나오는 편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좋다. 

 

 

 

감산도撼山刀

-대도大刀의 일종. 청룡언월도 같은 언월대도 계열이 아니라 대검에 가까운 형상을 한 것이 특징. 산을 떨게 한다는 이름처럼 일격 일격이 대단히 무거운 무기. 중병인 도刀 중에서도 무게가 꽤 나가는 무기로, 힘으로 적을 눌러 분쇄하는데 충실하다.

 

 

 

갑자甲子

-보통 무림에서 자신이 보유한 내공을 계산하는 척도.

일 갑자란 60년. 이 갑자는 120년 수위의 내공을 지녔음을 의미한다. 인플레가 심해진 현재의 무협 소설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개념이 되었지만 적이 좀 세보여야 하거나, 능력치를 좀 뻥튀기 좀 시켜줘야겠다 싶으면 등장한다.

 

 

 

강검强劍

-붕검, 패검, 중검, 둔검 등 느리지만 강력한 위력을 지닌 검공을 따로 분류해 부르는 이름. 강맹하고 위력적이며 또한 파괴력이 절륜한 것이 공통점이지만, 둔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내공 소모가 매우 크거나 동작이 너무 커서 간파당하기 쉽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강모견순剛矛堅盾

-굳세고 강한 창, 무엇보다도 단단하고 튼튼한 방패를 가리킨다. 어지간해서는 부서지지도, 부러지지도 않는 물건을 가리키는 비유로 쓰인다.

 

 

 

강시僵尸

-보통 무협에서의 강시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죽은 시체를 마교나 혈교의 비법 등으로 살려내어 사용하는 경우. 

둘째, 강시공을 익혀서 강시지체를 이룬 경우.

이 둘 중 어느 쪽이든 간에 몸이 도검이 박히지 않을 정도로 단단해지고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 더구나 급소가 없어서 신체를 전부 가루로 만들지 않는 한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 경우 대표적인 약점은 머리. 머리를 박살내면 그대로 죽는 경우가 꽤 많다. 

이 외의 강시는 보통 죽은 이들의 시체를 강시로 만들어서 먼 곳에 있는 가족에게 돌려보내기 위함이다. 이 경우에는 영환도사가 인솔하며, 무릎을 굽히지 못해 껑충껑충 뛰는 것으로 묘사된다. 

 

 

 

거치도鋸齒刀

-칼날이 불규칙한 요철 형태를 이루는 톱날 형태의 검신을 지닌 검. 정파 쪽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주로 녹림이나 사파의 인물이 사용한다. 칼날이 불규칙하게 생겼기 때문에 이것에 찢기면 상처가 매우 크고, 쉽게 아물지 않는다.

 

 

 

건곤권乾坤圈

-커다란 굴렁쇠 형상의 무기. 훌라후프처럼 반들반들한 게 아니라 보통 손잡이를 중심으로 칼날을 달아놓거나, 링을 따라서 돌아가는 형태의 칼날을 달아놓은 게 보통이다. 차크람처럼 던져서 공격할 수도 있지만, 원거리 무기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서 유효사거리는 훨씬 떨어진다. 

건곤권은 정확하게는 월아月牙라는 칼날이 손잡이와 가까운 위치에 달린 무기를 뜻한다.

 

 

 

검경劍硬

-내공을 무기에 불어넣어 그 기운을 뿜어내는 단계. 검사로서는 가장 하위 단계에 속한다. 어느 정도 검에서 경력을 뿜어낼 수 있게 되면, 그것을 유형의 단계로 승화시키는데 주력하는데 이렇게 눈에 보일 정도의 형상을 갖추게 된 기운을 검기劍氣라고 부른다.

 

 

 

검풍劍風

-검경으로 자신의 내공을 어느 정도 조율할 수 있게 되면, 이것을 이용해 상대에게 충격파를 날릴 수 있다. 검으로 쏘아내는 것을 검풍, 주먹과 손바닥으로 쳐내는 것을 권풍과 장풍이라고 한다. 기를 이용한 충격파에 가깝기 때문에 권풍과 장풍은 타격을 주고, 검풍은 날카롭게 베어낸다. 다만, 검기가 상용화되면서 인플레가 심해진 현대 무협에서는 사장되어 거의 나오지 않는다.

 

 

 

검막劍幕

-한 번에 108번 이상 검을 휘둘러 검기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막을 시전자의 앞에 만들어내는 방어형 기예. 필연적으로 검기를 다루는 능력이 요구되며, 검막을 시전하는 자의 수준은 보통 검막에 이르러 있는 경우가 많다. 현대무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발전형으로는 강막罡幕이 있는데, 호신강기護身罡氣를 외부로 확장시켜서 자신을 원거리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법이다. 

 

 

 

검기성형劍氣成形, 성형검기成形劍氣

-자신의 내공을 무형으로 뿜어내는 수준이 아니라, 검 전체를 두를 정도로 명확하게 형태를 띠고 드러나는 경지를 뜻한다. 즉 이 경지에 올랐다면 최소 삼류는 면했다는 뜻이며, 고수로의 앞길에 한 걸음을 내디뎠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능이 없다면 평생토록 이 경지에 머무르는 게 다반사다.

보통 내공이 뒷받침되어야하기 때문에 내공심법도 모르는 낭인 따위가 검기를 발현하면 기적이라고 할 정도다. 

검기의 형상을 온전히 이루었기에 검기성형劍氣成形이라고 하며, 보통 검기라 줄여 부른다. 검기를 두른 검은 강도가 상당히 높아지고 절삭력도 대단해진다. 다만 보통 이런 경우 싸구려는 검이 버티지 못하고 부서진다. 주인공이 보검 따위를 사용하는 이유.

 

 

 

 

검기劍技

-검을 다루는 기술, 기예. 검을 다루는 기술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검기劍氣가 아니다.

 

 

 

검사劍絲

-검기를 실의 형태로 형상화하는 경지. 보통 검기의 상위 단계로 여겨진다. 다만, 인플레가 심해진 현대 무협에서는 검기 다음은 무조건 강기罡氣이기 때문에 사장되었다. 검기의 통제력이 높아지면 검사를 검에 휘감는 식으로도 응용하지만, 현대 무협에서는 거의 등장이 없다.

작가마다 설정이 다르기도 한데, 이 검사를 검에 둘둘 감아서 이걸 한덩어리로 만들면 검강이 된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한다. 보통은 언급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검기성강劍氣盛罡, 강기罡氣

-검기, 검사의 상위 단계. 이 경지에 이르면 박살을 못 내는 게 없다고 할 정도로 파괴력이 증가한다. 판타지로 치면 오러 블레이드에 해당한다. 현대무협에서는 거의 디폴트로 무림인들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다만 검강이 등장하면서부터 전투 장면이 매우 단조로워지는 단점이 있다. 파괴력이 너무 강해서 그렇게 변한 것이 흠.

다만 내공소모가 검기보다 크다. 이걸           난사한다는 건 내공이 흘러넘친다는 뜻이다. 

 

 

 

검강성환劍罡成丸, 강환罡丸, 검환劍丸

-강주罡珠라고 달리 표현할 수도 있다. 검강보다 상위 단계이며, 안 그래도 내공 소모가 격렬한 검강보다 내공 소모가 몇 배는 크다. 검기를 응축해 승화시키는 검강보다 검강 자체를 응축해서 구슬 형태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

다만 이 구슬의 파괴력이 엄청나서 사람 몸에 구멍을 내는 건 가뿐하고, 철판이나 사람보다 큰 선박, 건물도 문제없이 박살낼 정도로 엄청난 파괴력을 품고 있다. 보통 검환이라고 불리는 게 이 경지.

 

 

 

검기상인劍氣傷人

-검기로 외부가 아니라 적의 내부를 베어버리는 기예. 이것에 당할 경우, 몸에는 별 상처도 없는데 갑자기 피가 튀는 식으로 묘사된다. 그냥 검기 두른 칼로 냅다 칼빵 놨다고 검기상인이 아니다. 고도의 기술이기 때문에 고수의 지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요즘은 그런 거 없다.

 

 

 

검기점혈劍氣點穴

-점혈보다 상위 수법. 보통 검기로 먼 거리에서 상대의 혈도를 눌러 제압하는 수법으로, 날카로운 성질을 지닌 검기로 상대를 점혈해야하기 때문에 높은 내공의 컨트롤이 요구된다. 이 역시 고도의 컨트롤이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고수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비슷한 것으로는 격공점혈이 있다.

 

 

 

검경劍經, 비급祕笈

-검보劍譜라고도 한다. 보통 무공서, 비급의 일종으로 취급되며, 여기에는 보통 검법이 적혀 있기 마련이다. ~경, ~비급 같은 식으로 작명된다. 일단 전대 고수의 무공서가 있다는 곳에는 반드시 무림인들이 모여들며,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피바람이 일어난다.

 

 

 

 

검마劍魔, 마검魔劍

-마교 계열의 검 잘 쓰는 고수에게 붙는 별호. 마교주를 빼면 상대할 자가 없는 괴물딱지거나, 가는 곳마다 사람 죽이고 다녀서 이런 별명을 얻었거나 둘 중 하나인 경우가 많다.

 

 

 

검성劍聖, 검군劍君, 검신劍神, 검존劍尊, 검왕劍王

-정파 계열의 검 잘 쓰는 고수에게 붙는 별호. 검 쓰는 놈들이 하도 많다 보니 대부분 검객이라 어떻게든 안 겹치게 쓰려면 이런 별호 패턴을 잘 알아두는 게 좋다. 이거보다 끗발 낮은 등급의 별호로는 00검객劍客 같은 것이 있다.

 

 

 

검선劍仙

-남녀 고수 중 도교 계열의 문파에서 배출된 검술의 최고수. 보통은 남자 고수인 경우가 많고, 나이가 많으며, 수염을 길게 기른 신선 같은 풍모로 표현되는 것이 기본. 주로 검마나 마교주와 맞서는 역할을 맡는 정파 최후의 보루 같은 위치이며, 보통 이 별호로 불리는 양반들은 대부분 무당 출신인 게 암묵적인 묵계.

 

 

 

검후劍后, 검희劍姬 

-여성 검객 중에서 가장 강한 고수에게 붙는 별호. 남해 보타암의 주인에게 붙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검희는 검후보다 끗발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래도 무공이 제법 고강한 여성 검객에게 붙는 호칭.

 

 

 

검패劒牌

-도박의 한 가지. 얇은 대나무 조각에 그림과 숫자를 그려놓고 그 순서나 짝의 높낮이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것이 기본적인 게임 방식. 트럼프와 같으며, 게임 방식 자체는 포커와 유사하다.

흑검黑劍, 흑구黑鉤, 홍검紅劍, 홍편紅鞭이 각각 열 장, 왕패王牌가 한 장으로 총 4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패를 뺀 나머지 사패四牌에는 1~10의 숫자가 적혀 있다.

같은 숫자가 한쌍이면 쌍검雙劍, 1, 5, 10이 같이 있으면 삼절검三絶劍, 다섯 개의 숫자가 이어서 나오면 연환검連環劍, 일一패 4장에 왕패가 나오면 오천왕五天王이 된다.

쌍검이 가장 낮고, 오천왕이 가장 높다.

 

 

 

검편劍鞭

-채찍에 칼날을 달아놓은 병기. 기문병기의 일종.

채찍의 공격력에 칼을 달아서 파괴력을 극대화시킨 물건. 물론 칼을 조각조각 떼어서 붙여놓은 병기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다간 자멸할 정도로 위험한 무기. 하지만 위험한 수련과정을 거치는 만큼 그 파괴력은 독특하고 또한 굉장하다.

거치도처럼 베인 상대의 상처를 회복하기 어렵게 찢어놓는 특성이 있고, 한 번 붙들리면 말 그대로 믹서기에 갈리는 것처럼 갈려버리는 등 채찍에 칼날을 달아 공격성과 파괴력을 극대화했다. 보통 이런 기문병기는 사파, 흑도 쪽에서 사용한다.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 항룡십팔장降龍十八掌

-개방의 비전무공 중 하나. 강룡십팔장이라고도 하고, 항룡십팔장이라고도 하는 등 작품마다 표기가 다르게 되는 무공 중 하나이다. 이 무공이 등장한 영웅문 오판에서 강룡십팔장이란 이름으로 오역했기에 강룡십팔장으로도 알려졌으나, 정확한 표기는 항룡십팔장이 맞다.

변화가 적고 단순하지만 그만큼 강력한 파괴력이 일품. 외가무공의 정수라고도 일컬어진다. 애초에 개방 자체가 독문의 심법이랄 게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되는 게 많아, 강룡십팔장 역시 외가무공으로 설정된 것.

정확하게는 김용 소설에서의 외공의 개념은 현재와 달리 상대의 외부, 즉 몸을 상하게 하는 무공이었기 때문에 외공으로 분류되었다.

항룡유회亢龍有悔, 비룡재천飛龍在天, 용전어야龍戰於野, 잠룡물용潛龍勿用, 신룡파미神龍擺尾, 돌여기래突如基來, 현룡재전見龍在田, 이상빙지履霜氷至, 혹약재연或䠯 在淵, 쌍룡취수雙龍取水, 진량백리震諒百里, 시승육룡時乘六龍, 밀운불우密雲不雨 등, 18초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객잔客棧

-주루酒樓, 기루妓樓와 같이 무림에서 절대로 하면 안 될 사업 가운데 하나. 무림 어디를 가나 있고, 규모가 작은 마을이라고 하더라도 객잔 하나 정도는 있는 경우가 많다. 숙식이 되는 여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무림인이 오가는 통에 애꿎은 객잔만 작살나고 수리비도 못 받는 경우가 엄청나게 많다.

오리구이, 소면, 죽엽청이 메인 메뉴. 사실상 무협지에서 이거 이상 가는 메뉴가 나오는 일이 없어서 그런 것도 크다. 

 

 

 

격산타우擊山打牛

-권법의 기예 가운데 하나. 앞에 있는 것을 쳐서 뒤에 있는 것까지 충격을 전달한다. 격공隔空이란 이름이 붙는 계열 무공들과 원리가 같다. 공기를 매개로 삼아 적에게 자신의 공격을 전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기예 또는 경지의 하나라고 봐야 한다.

발경법의 하나로 분류하기도 한다.

 

 

 

격공장隔空掌

-거리를 벌린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장법. 무협 소설에는 허공을 격隔하다라는 표현이 종종 등장하는데, 그 격하다의 뜻은 격렬하다는 뜻이 아니다. 상대와 거리가 2~3m 이상이라 해도 권기나 장력을 뿜어내어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격공점혈隔空點穴

-검기점혈처럼 상승의 점혈법. 상대와 거리를 두고 떨어진 곳에서 지풍이나 지력을 날려 상대가 반응하기 전에 제압하는 수법을 말한다.

상대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고 방심할 수 없게 하는 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지만, 요즘은 그런 거 없다.

 

 

 

격체전력隔體傳力, 격체전공隔體傳功

-몸을 통해 내공을 전달하는 수법. 보통은 동문의 사형제지간이 아닌 이상은 내공의 기운이 천차만별이고, 서로 상이할 때가 있어 내상을 입힐 수도 있기 때문에 보통 격체전력을 시전할 때는 같거나 비슷한 계열의 심법을 익힌 자만을 대상으로 한다.

보통은 여러 사람이 한 사람에게 내공을 몰아줘서 순간적으로 내공수위를 끌어올려 강력한 적에 대항하는 식으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자신의 내공을 정해진 것 이상으로 소모하진 않기 때문에 한 번에 내공이 빨려나가는 일도 없다.

다만 이걸 사용하기 위해서는 2인 이상의 협력이 필요하다. 현대무협에는 어울리지 않는 편.

구무협에서는 이걸 내공을 심어주거나 전달해서 부하의 무공을 강화하는 용도로도 사용하기도 했다.

 

 

격공섭물隔空攝物

-허공섭물, 능공섭물로도 표현된다. 다만 격공섭물이라는 표현 자체가 사어가 된지 오래이기 때문에 허공섭물과 능공섭물이 더 자주 사용된다.

멀리 있는 물건을 내공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주된 사용처. 이것의 수발이 자유로워지면 능공섭물이 된다. 능수능란하게 물건을 당겨서 가져오거나 멀리 튕겨보내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며, 이 정도로 기의 제어가 능숙하다면 이기어검을 사용할 수 있다고 봐야 한다.

 

 

격장지계激將之計

-적의 장수를 도발하여 분노를 유발하는 계책. 보통은 도발을 고급스럽게 표현할 때 사용한다. 격장계라고도 한다.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과 같은 수고로움도 아끼지 않음.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이나 윗사람에게 바치는 자기의 온갖 노력을 개와 말에 비유해 낮추어 하는 말. 자신의 수고로움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한다. '견마지로'라고 바로 쓰거나 '개와 말의 수고로움'이라고 풀어서 쓰기도 한다.

 

 

견강무쌍堅剛無雙

-견고하고 단단함이 따라올 것이 없음. 그 의지나 사물의 성질이 매우 굳고 단단해서, 누군가가 선동하려 해도 흔들리지 않음.

 

 

 

견강부회牽强附會

-온당한 이치도 살피지 않고, 가당치도 않는 말을 끌어다가 자기 주장이나 조건에 맞도록 합리화하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일컫는다.

비슷한 말로 수석침류(漱石枕流), 아전인수(我田引水)·추주어륙(推舟於陸)·궤변(詭辯) 등이 있다.

 

 

겸鎌

-낫. 기문병기. 보통 이걸 쓰는 작자들은 쇄자겸鎖子鎌이라고 해서 사슬낫을 더 자주 쓴다. 그냥 낫만 쓰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그냥 낫을 사용할 경우는 근접전 무기로 쓰기보다는 투척용이나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본래 무기를 꺼내 쓴다. 취급이 별로인 무기.

 

 

경교景敎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주장한 신학론을 중심으로 발달한 네스토리우스 학파 기독교의 중국 현지화 명칭.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만을 인정한다.

빛의 종교라는 의미로 경교라 불렸으며, 당나라 시대에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당대에 유입된 네스토리우스파는 불교처럼 머리는 삭발하되, 수염을 기르고 예배를 드릴 때는 목탁을 사용하는 등 현지화를 통해 중국에 스며들었다. 선교와 의료 행위를 통해서 교세를 조금씩 불렸으며, 마니교와 함께 안사의 난 이후 세력을 확장했다.

장안 서녕방에는 대진사大秦寺라는 경교 교회가 있었다. 다만 조로아스터교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기 때문에, 경교의 경전에서는 조로아스터교를 악마의 종교, 악마 숭배자 등으로 비난하는 구절이 많다.

이슬람 제국이 발달하면서 실크로드가 전쟁으로 단절된 통에 유입이 끊겨 쇠퇴하였고, 삼무일종의 법난에 휩쓸려 된서리를 맞은 후, 황소의 난에 크게 학살당하며 사실상 소멸되었다.

 

 

 

 

경사京師

-주로 국가의 수도를 가리키는 말. 무협에서는 어떤 도시인지 명시하는 경우는 드물고 그냥 경사로 퉁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낙양, 장안, 북경, 남경 등의 도시가 주로 손꼽힌다. 보통은 북경을 가리킨다.

 

 

 

경국지색傾國之色, 경성지미傾城之美

-나라를 기울게 하는 미색, 성을 기울게 할 정도의 미모라는 뜻이다. 국가나 한 성의 운명을 위태롭게 만들 정도로 아름다운 미모를 지닌 여인을 의미하는 경구. 보통 경국지색이 많이 쓰이며, 폐월수화와 침어낙안도 비슷한 빈도로 사용된다.

 

 

 

경신법輕身法

-몸을 가볍게 하여 빨리 달릴 수 있게 하는 경공과 적의 공격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공세를 수월하게 펼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보법步法이나 신법身法을 통틀어 부르는 말. 이것들을 뭉뚱그려 보신경步身經이라고도 이른다. 

 

 

 

계도戒刀

-소림사의 승려들이 간혹 사용하는 무기. 소림을 대표하는 무기는 곤棍과 권장지각拳掌指脚, 선장仙杖이지만 날이 없고 삼독삼의三毒三衣를 경계하고 그것을 끊어낸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이 계도를 무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항마계도 따위가 이것을 사용하는 무공으로 여겨진다. 

 

 

공성계空城計

-제갈량이 선보였던 계책 중 하나. 일부러 성을 텅 비워놓고 상대를 끌어들임으로서, 아무것도 없지만 상대가 경계하여 제풀에 놀라 물러나게 만드는 계책을 말한다. 간파당하면 오히려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양날의 검.

 

 

 

공손세가公孫世家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인지도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는 수준이다.

공손 씨를 쓰는 무인은 가끔 등장하지만 무림 내에서 이름이 알려진 무인은 거의 없거나, 엑스트라 중에서도 비중이 공기일 정도. 심지어 팔대세가로 확장이 되어도 이름을 올리는 꼴을 본 적이 없다.

대표적인 엑스트라 가문. 비뢰도에서는 검존 공손일취가 등장하고, 모용세가의 검성 모용정천과 그 손자 모용휘를 꺾을 요량으로 키운 손자 공손절휘가 등장하지만, 비중은 그냥 있으나마나 한 정도.

비뢰도에서 등장한 무공으로는 노사부에게 한 방에 개털린 지존검법至尊劍法이 있다. 

 

 

 

공작왕모보살孔雀王母菩薩

-불모대공작명왕과 같은 존재. 정확하게는 인도신화의 여신, 마하마유리가 불교에 편입되면서 보살로 변한 것. 공작명왕은 남자로 그려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공작왕모보살은 여자로 나온다. 본래 하나였던 여신이 두 명의 신으로 쪼개진 독특한 경우.

관장하는 것은 비를 내리는 능력과 재액을 쫓는 능력. 공작명왕의 능력과 같다.

 

 

교룡蛟龍

-상상 속에 등장하는 동물의 하나. 모양이 뱀과 같고 몸의 길이가 한 길이 넘으며 넓적한 네발이 있고, 가슴은 붉고 등에는 푸른 무늬가 있으며 옆구리와 배는 비단처럼 부드럽고 눈썹으로 교미하여 알을 낳는다고 한다.

무협 소설에서는 이름만 등장할 뿐, 실물이 묘사된 적은 없다.

보통 무협 소설에서 등장할 경우는 이무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이 경우에는 이무기 망蟒 자를 쓰는 뱀들로 대체되곤 한다.

 

 

 

교룡삭交龍索

-교룡의 힘줄을 꼬아서 만들었다는 밧줄. 그 특성상 매우 질기고 튼튼해서 어지간한 칼로 흠집도 내기도 힘들 정도라고 한다. 풀거나 끊기도 매우 어렵다.

 

 

 

교병계驕兵計

-일부러 져주거나 패주하면서 적의 기세를 올려주는 계책. 삼국지에서 황충이 사용했었다. 일부러 적의 사기를 올려 함정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사용한다.

 

 

 

 

구鉤

-갈고리. 기문병기.

끌어당기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 길이가 상당히 짧으며, 손잡이 부분에 월아를 달아서 손을 보호했기 때문에 호수구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했다. 구의 끝부분과 월아 부분은 양끝뿐만 아니라 전체가 날카롭게 갈린 칼날로 되어 있다.

적의 무기를 낚아채거나 의복을 걸어 잡아당겨 월아로 찍거나 찌르는 식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분수자나 아미자와는 계통이 다른 근접 무기.

 

 

 

구궁九宮

-일백一白, 이흑二黑, 삼벽三碧, 사록四綠, 오황五黃, 육백六白, 칠적七赤, 팔백八白, 구자九紫의 구성九星에 중궁中宮을 더하고, 다시 여기에 건, 감, 간, 진, 손, 이, 곤, 태의 후천팔괘와 휴, 사, 상, 두, 개, 경, 생, 경의 팔문을 배합한 아홉 방위의 자리를 말한다. 

하도낙서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국의 전통 주역이란 바로 이 구궁과 팔괘를 응용하여 천하 만물의 도리를 밝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구궁검진九宮劍陣

-진법의 일종. 

양의검진, 삼재검진, 사상검진, 오행검진, 육합검진, 칠성검진, 팔괘검진, 구궁검진으로 이어지는 음양오행에 기반한 검진 가운데 하나. 구궁검진이라는 이름대로 보통은 아홉 명을 중심으로 해서 펼치는 검진이다. 등장하면 보통은 칠성검진과 함께 무당의 진법일 경우가 많다.

보통 어떻다는 묘사는 잘 등장하지 않고 대사로만 구궁검진을 펼쳐라! 하고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진법이 다 그렇다. 크게 신경 쓰지 말자. 이런 게 있다고 알아두면 좋다.

 

 

 

구겸창鉤鎌槍

-갈고리가 달린 창의 일종. 기문병기.

갈고리로 기병을 말 위에서 끌어내리거나 말의 다리를 찍어 말의 기동력을 상실시키고, 떨어진 병사를 당겨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무기이다.

창끝은 예리하게 갈려있어 창 본연의 찌르기 용도에 적합하고, 창날 옆으로 삐져나온 갈고리 부분이 적의 옥이나 말 다리를 걸거나 찍는 용도로 쓸 수 있도록 안으로 굽어 있다.

안쪽으로 휘어진 갈고리는 적의 갑옷을 걸어서 끌어내리거나 적을 때려 타격을 주는 용도로도 사용되었지만, 창날이 너무 깊숙이 들어가지 않도록 저지하는 저지선 역할도 했다.

 

 

 

구배지례九拜之禮, 배사지례拜師之禮

-계수稽首,돈수顿首,공수空首,진공振动,길배吉拜,흉배凶拜,기배奇拜,포배褒拜,숙배肅拜의 아홉 가지 예법을 이야기한다. 흔히 말하는 아홉 번 절하는 것을 구배지례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오류. 

배사지례는 사부에게 올리는 절이며, 구배지례를 대신해서 사용이 가능한 표현. 사부가 제자를 들일 때 제자로부터 받는 절을 의미한다.

 

 

 

 

 

구양세가歐陽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황제의 검의 천마교의 가문 가운데 하나로 나오거나, 구무협에서도 종종 이름을 비추는 등, 아주 인지도가 없지는 않다. 다만, 현대무협에서는 찾기 힘든 세가 가운데 하나.

다만 종리세가처럼 마이너이기는 하지만 그럭저럭 자주 등장하는 편에 속한다. 메인급의 비중은 없어도 가늘고 길게 존재감을 이어가는 가문.

주요 무공은 보통 검법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무림세가가 그런 것은 함정. 다만 가문의 이름을 따라 양강陽强의 검법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구엽자지초九葉子枝草

-가지 하나에 잎이 아홉 개 달린 영초. 그 외의 특징은 딱히 묘사된 적이 없다. 매우 좋은 향기를 풍기고, 먹으면 내공이 늘어나는 효과는 있다.

 

 

 

 

구엽자지선란九葉子枝仙蘭

-구엽자지초와는 달리 난초蘭草의 모양을 한 영초. 구엽자지초와 비슷한 특징을 지녔지만, 선란이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영기가 풍부한 심산유곡에서나 발견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정말 깊고 깊은 동굴 속이나 북해의 빙지氷地에서나 발견할 수 있다.

구엽자지선란이 자라는 곳은 매우 따뜻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극한지 속에서도 그런 상황을 조성할 정도로 주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엄청나다. 그래서 이걸 캐게 되면 주위의 식물들이 급속도로 시들어버리는 등의 변화를 미칠 정도. 사실상 최상위급 영약.

 

 

 

 

구음절맥九陰絶脈

-절맥증의 한 종류. 보통 여성이 걸리기 쉽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병일 때가 많다. 삼음, 오음, 칠음, 구음으로 구분되며 뒤로 갈수록 리스크도 크지만 고쳤을 때 얻는 메리트도 크다. 보통은 양기를 지닌 영물의 내단이나 남성과의 방사로 고쳐지는 경우가 많고, 구무협 전개 상 이런 병에 걸린 히로인은 주인공의 하렘 멤버 가운데 한 명이 되거나 정실이 되는 게 일반적.

보통 절맥증에 걸려 있는 주인공 + 여주인공은 머리가 매우 좋고 외모가 엄청나게 예쁘다는 설정이 추가적으로 따라붙는다. 대신 20살에서 30살 사이에 단명한다는 디버프도 걸려 있다.

 

 

 

 

구유九幽 

-구지九地의 땅 속. 대지의 밑. 나락. 지옥. 

자주 사용되는 표현은 아니다. 구무협에서나 일부 사용되던 표현. 지금으로서는 사장된 표현이라고 보는 게 맞다. 

 

 

 

구중천九重天 

-가장 높은 하늘. 구천.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누어 지칭하는 말이자, 황제가 기거하는 처소를 높여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중앙 균천, 동방 차언, 서방 호천, 남방 염천, 북방 현천, 동북방의 변천, 서북방의 유천, 서남방의 주천, 동남방의 양천을 일컬어 구중천이라 한다.

 

 

 

구호탄랑지계驅虎呑狼之計

-삼국지에서 유래한 것. 늑대를 통해 호랑이를 잡는다. 순욱이 조조에게 건의한 계책 중 하나로 유비가 원술을 칠 수밖에 없도록 만들고, 그 틈을 타 여포가 서주를 집어삼켜 두 사람의 사이를 갈라놓는데 성공한다. 

 

 

 

구환도九環刀

-도검의 일종. 박도와 비슷한 생김새에 칼등에 고리 아홉 개를 달아놓은 물건. 박도처럼 투박하고 다소 짧은 칼이지만 그 덕분에 중병인 도刀 중에서도 상당한 민첩하게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 칼등에 고리가 아홉 개 달렸다는 외관적 특징 외에 병기적 특징은 설명할 것이 따로 없다.

 

 

 

 

군자산君子散

-내공을 쓸 수 없게 만드는 산공독의 일종. 군자처럼 다른 이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그 효과도 다른 산공독에 비하면 온유한 편이라 붙은 이름이다. 내공을 끌어올리면 극심한 고통을 주거나, 급속도로 내공이 빠져나가는 다른 산공독과 다르게 약효가 전신에 퍼지면 최소 하루 동안은 내공을 사용할 수가 없다. 

 

 

 

 

곤棍

-한자 그대로 몽둥이. 날이 없어서 치명적인 살상력을 가지지는 못하지만 두들겨 잡는데는 이만한 게 없다. 편곤鞭棍으로부터 파생되는 종류와 육모방망이 같은 정통(?) 방망이류로 구분할 수 있다.

편곤류는 곤이라고 하기 보다는 봉에 가까운 길이를 가지고 있고, 외형도 봉에 가까운 것이 특징. 쌍절곤 같이 짧은 곤이나, 삼절곤 같이 세 마디로 나누어지고 길이가 긴 곤, 사슬로 마디를 이어서 상대의 머리 뒤를 후리는 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곤 따위가 대표적.

그 이외의 곤류는 대부분 몽둥이라고 지칭되기 때문에 딱히 구분할 것이 없다. 그나마 이름 있는 건 육모방망이 정도.

 

 

 

 

곤륜파崑崙派

-소재지는 청해성 곤륜산.

무당처럼 도가 문파이며, 신강 지역, 보통 천산산맥으로 설정되는 십만대산의 마교와 맞닿아 있기 떄문에 마교에 대한 증오가 굉장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닌 경우라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도가 문파의 도사들과는 분위기가 다르게 묘사된다.

대부분은 마교와의 싸움으로 대단히 싸움에 능숙해, 일반적인 정파의 고수와는 격이 다른 경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구나 마교와 싸워서 그런지 싸움에 능하고 공동파처럼 수단을 가리지도 않는다. 더없이 정파이면서 정파라는 개념에서 약간 엇나가 있는 문파. 

마교라고 하면 눈이 뒤집어지는 것으로도 종종 표현된다. 묵향에서는 동맹관계인 마교도들에게 먼저 시비를 거는 등 불량배 같은 모습도 보여줬다.

무공이나 초식에 구름 운雲이나 용 용龍 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대표적인 무공은 경공과 검법을 겸하는 운룡대팔식雲龍大八式과 용봉대구식龍鳳大九式.

검법 태허도룡검太虛屠龍劍, 태청용형검太淸龍形劍. 

도법 용비십구도龍飛十九刀.

편법 영사삼십육편靈蛇三十六鞭.

조법 용호풍운조龍虎風雲爪.

금나수법 종학금룡수從鶴擒龍手.

수법 육양수六陽手, 삼음수三陰手

권법 낙안권落雁拳, 추운권追雲拳.

장법 선운비뢰장仙雲飛雷掌, 운학장雲鶴掌, 옥룡장玉龍掌, 태허도룡장太虛屠龍掌. 

각법 회련각回連脚

경공 천기신보天機神步, 용형보龍形步, 비룡축전飛龍蹴電, 금안행운金雁行雲. 

심법 미타금강강기彌陀金剛剛氣, 태청신공太淸神功, 상청무상신공上淸無上神功 정도가 이름은 거론되지만,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진법으로는 삼원진三元陣과 한매검진寒梅劍陣 정도가 그나마 이름을 보인다.

 

 

 

곤철昆鐵, 곤오철昆吾鐵, 곤오강昆吾鋼

-주로 남만에서 채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광물. 작품마다 이름이 다르게 묘사되곤 하지만 곤철, 곤오철, 곤오강은 대부분 같은 광물이다. 

굉장히 단단한 광물로, 만년한철을 숫돌로 써도 만년한철이 갈려나갈 정도라는 보기 드문 강도를 지닌 광물. 만년한철에 비하면 신비성이나 이름값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 단단함만큼은 만년한철을 웃돈다.

 

 

 

공동파崆峒派

-소재지는 감숙성 공동산.

도가 계열 문파이며, 문파의 시조로 광성자를 모신다. 검은 도복을 입은 것으로 묘사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검법의 명문으로도 이름이 높다.

온건한 정파라고 하기보다는 정사중간의 성격이 강한 중립적인 문파. 정파라고 하기에는 손을 쓰면 독하게 쓰고, 특히 사파나 마교를 상대로는 수단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정파로 보기에는 약간 애매한 구석이 있다. 해서 정사중간으로도 분류된다.

보통 등장하면 음험한 음모를 꾸미는 쪽이거나, 광명정대함보다는 수단 가리지 않고 사파와 마도를 척살하려는 등 정대한 정파와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대표적인 절기는 복마검법伏魔劍法.

검법 복마대구식伏魔大九式, 대주천복마검법大周天伏魔劍法, 소양검少陽劍, 통천검通天劍, 천운검穿雲劍, 현천검玄天劍, 칠살검七殺劍, 절정검絶頂劍.

수법 구음수九陰手, 비봉수飛鳳手, 복마대력수伏魔大力手.

권법 칠상권七傷拳

장법 복마장伏魔掌, 현천신장玄天神掌. 

조법 개천풍운조開天風雲爪.

지법 백사지白蛇指, 건곤지乾坤指.

심법으로는 육합구소신공六合九霄神功, 천뢰복마신공天雷伏魔神功, 혼원일기공混元一氣功 등이 있다.

진법으로는 탕마검진蕩魔劍陣과 삼절검진三絶劍陣 등이 있다.

 

 

 

구파일방九派一幇

-무협 소설에서 빼놓을 수가 없는 문파 아홉, 그리고 한 개의 방幇을 뜻한다. 

구파란 각각 소림, 무당, 화산, 아미, 청성, 점창, 종남, 곤륜, 공동, 형산, 장백, 태산, 모산, 항산, 남해 등을 가리킨다.

보통은 소림, 무당, 화산, 아미, 청성, 점창, 종남, 곤륜, 공동이나 형산 정도를 구파로 친다. 작가마다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해진 건 없다. 무당과 소림, 곤륜, 아미, 화산, 청성 등은 대부분 구파의 하나로 등장한다.

일방은 개방으로, 사실 무협 소설이 초기에 들어왔을 땐 천룡방이란 방파였다고 하지만 어느새 개방으로 변질되었다고 한다.

 

 

 

궁신탄영弓身彈影

-몸을 활처럼 휘었다가 그 탄력을 이용해 앞으로 튀어나가는 상승의 경신법.

 

 

권圈

-직경 24~30cm 가량의 금속제 링 형태를 한 무기군 전반을 지칭한다. 기문병기.

생김새는 보통 금속제 링에 칼날을 덧붙이거나 손잡이를 제외한 부분의 날을 날카롭게 갈아 세워 상대를 베거나 공격을 방어하는데 사용한다. 자모원앙월 같은 무기와 마찬가지로 상대와 근접해서 싸워야 하는 이들에게 큰 효과를 발휘한다.

다만 자모원앙월처럼 원형의 링 형태에서 아주 탈피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검 같은 무기에 대한 저지력은 원앙월보다는 떨어진다.

 

 

 

 

규화보전葵花寶典

-황궁에 있는 무공서적 가운데 제일 기묘한 물건. 환관밖에 익힐 수 없고, 익힐수록 여성화가 심해진다. 다만 그 위력이 절륜하여 동창에 속한 환관들의 대부분은 이 규화보전을 익히는 게 통례처럼 묘사된다. 물론 그래봐야 대성한 놈은 한 명밖에 안 나온다. 그게 주인공과 적대관계면 끔살당하는 게 보통.

 

 

 

 

 고독蠱毒

-남만 특유의 독. 수십, 수백 마리의 독물을 한 항아리에 집어넣고 한 마리가 살아남을 때까지 뚜껑을 열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고독의 독기는 무척이나 강해서, 다루는데도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통 기생충 같은 형상으로 묘사되며, 사람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혈관 안을 기어다니거나 내장기관에 기생하며 고독을 다루는 술자가 원하는대로 피술자에게 고통을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사용되는 고독과 술자 사이에는 영교靈交가 이어져 있다고 해서, 고독이 죽으면 술자도 큰 정신적인 타격을 입고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다.

 

 

고루거각高樓巨閣

-매우 번화한 시진, 또는 황궁 내부의 풍경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말. 높고 큰 건물이 늘어선 거리를 말한다. 이 표현이 등장했다면 일반적인 도시 수준이 아닌 대도시 수준의 성시城市일 경우가 높다.

 

 

 

공청석유空淸石油

-종령석유鐘靈石油라고도 한다. 인세에서 구하기 힘든 지극히 희귀한 영약 가운데 하나. 천지간의 정기가 모인 동굴에 지정地精이 모여 우유빛 액체의 형상으로 고이는데, 이걸 석유라고 하고 백년에 한 방울만 맺힐 정도로 지극히 희귀하다.

무공을 모르는 일반인이 먹으면 무병장수하며, 무공을 익힌 자는 내공을 속성으로 높여주는 공능이 있다. 다른 영약과는 다르게 복용할수록 내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이 특징.

 

 

 

 

과戈

-창의 일종.

ㄱ자로 생긴 창날을 수직으로 부착한 창으로, 찌른다는 개념보다는 찍거나 당긴다는 개념에 충실한 무기. 상대를 잡아당겨 베거나 찌르는 식으로도 사용했다.

기병전이 주축이 아닌 전차전이 벌어지던 춘추전국시대에 주력으로 기용된 무기로, 전차전에서 전차를 모는 병사를 제외한 나머지 두 명이 이것을 들고 보병과 적 전차병을 공격했다.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전차전이 자취를 감추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 무기가 되었다.

 

 

 

과천성過天星

-경공의 한 종류.

하늘과 별을 지난다는 이름 그대로 재빠른 신법. 다만 이렇다 할 묘사가 존재하지 않아 어떤 종류의 경공인지는 알 수 없다. 상승 경공이라는 언급이 꽤 자주 나오는 편. 

 

 

 

관등절觀燈節 

-석가모니의 탄생일인 음력 4월. 초파일을 뜻한다. 이 날 집집마다 지붕 위의 관두에 식구의 숫자대로 초롱을 달고 관등놀이를 하며, 나라에서 관등연 따위를 베풀곤 한다.

 

 

관외關外, 새외塞外, 변황邊荒

-장성 너머의 지역들을 가리킨다. 

보통은 새외라는 표현으로 자주 등장하며, 중원무림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변황무림, 새외무림 같은 것은 중원, 즉 중국 대륙에 속하지 않은 타 대륙이나 지방의 무림사회를 통틀어 이야기 하는 것. 중화사상이 담겨 있는 지칭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악역들은 대부분 이런 새외 지방에 있기 때문에 중원에서 정사마의 삼대세력이 치고받는 동안 힘 키워서 중원을 정복하려고 한다. 그냥 클리셰로 굳어져버린 수준.

 

 

 

관제묘關帝廟

-신격화된 관우를 모시는 사당. 무후묘武侯廟, 용왕묘와 함께 개방 거지들의 주된 주거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럴 경우는 보통 퇴락한 사당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관제성군關帝聖君 

-삼국지의 유명한 장수, 관우가 죽은 뒤 신격화된 것. 도교의 신 중 하나로 받들어진다. 관제묘 안에 안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

 

 

 

 

광동진가廣東陳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이름처럼 광동성에 자리 잡은 무림세가. 다만 광동성 어디가 소재지인지는 딱히 알려진 바가 없다. 애초에 잘 등장하지도 않는 가문인지라, 인지도도 안습하다.

궁귀검신에 등장한 산동악가처럼 드물게 이름이라도 내비치는 것도 아닌지라 더더욱 안습한 편. 

남방의 무림세가로서 만도彎刀, 진가곤陳家棍, 그리고 권법과 약학에 통달한 세가로 그려지는 게 대부분이지만, 현대 무협에서는 아예 존재 자체가 말소된 것마냥 등장하지도 않는다. 등장하더라도 엑스트라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도 많고, 비전무공도 없는 등 처지가 안습한 가문.

 

 

 

 

괴拐

-일종의 톤파에 가까운 형태를 한 무기. 기문병기에 해당한다.

길이에 따라 단괴와 장괴로 나뉘고, 손에 쥐고 사용하는 무기인데다가 이 무기 자체가 근접전에서 위력을 크게 발휘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까다롭다. 다만 무협에서 톤파를 무기로 쓰는 놈은 보통 안 등장한다.

 

 

 

개방丐幇

-거지들로 이루어진 문파. 본거지인 총타는 개봉에 있다.

궁가방窮家幇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은 정의롭고 의로운 단체로 묘사되나, 찌질하거나 쫄보처럼 묘사되기도 한다. 주인공에게 툭하면 정보 뜯기는 게 일상. 보통 하오문下汚門과 함께 주인공의 정보 셔틀 노릇 말곤 비중이 없다.

개방의 장문인은 용두방주龍頭幫主라고 불린다. 허리의 매듭 수를 따라 지위를 구분한다.

십결十結은 태상호법이며, 구결은 방주, 팔결은 후개後丐, 개방의 후계자, 즉 차기 장문인이다. 육결~칠결은 장로급, 그 아래로는 호법, 분타주, 향주, 단두, 총순찰 등이며 매듭이 없는 제자는 백의제자白衣弟子 또는 무결개無結丐라 하여 개방의 근간을 이룬다.

혈족도 없어서 방도가 죽거나 다치면 우르르 몰려가 복수를 해줄 정도로 끈끈한 결속력이 장점.

대표적인 무공은 타구봉법打狗棒法, 항룡십팔장降龍十八掌, 취팔선보醉八仙步.

봉법 타구봉법打狗棒法

검법 규지검법叫枝劍法

수법 용음십이수龍吟十二手

권법 백결신권百結神拳

장법 옥룡팔장玉龍八掌

보법 용호풍운보龍虎風雲步, 취팔선보醉八仙步, 취리건곤보醉裏乾坤步, 취팔선과천醉八仙過踐.

심법은 옥현귀진현공玉玄歸眞玄功, 백결연화신공百結蓮花神功, 홍무자염신공洪武紫焰神功, 혼천강룡신공混天降龍神功, 혼원귀일신공混元歸一神功 등이 거론되지만 언급은 없다.

진법은 타구진打狗陣, 타구대진打狗大陣밖에 없다.

 

 

 

극戟

-서양의 폴암에 해당하는 고대 중국의 무기.

다만 인지도는 창에 밀려서 좀처럼 등장이 없다. 고대의 무기인 과와 창을 결합한 듯한 형태가 특징으로 당기고, 찍고, 베고, 찌르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다만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극은 창에게 밀려 그 위치를 내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삼국지에서는 여포의 방천화극, 전위의 쌍철극, 장료가 극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제법 메이저하기는 했지만 기병의 저지에 있어 창보다 못했기에 사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정확하게는 중갑을 걸친 기병에게 유효타를 줄 수 없었기에 사장된 것.

뾰족하게 위로 솟은 창날은 첨자尖刺, 또는 자刺, 옆에 붙은 보조날은 원援, 또는 지枝라고 한다.

 

 

 

금강金剛

-소림의 직위 가운데 하나. 보통은 무공을 익히는 무승들에게 주어지는 호칭으로, 소림의 최고 정예 4인방에게 주어지는 호칭이다. 보통 사대금강이라고 한다. 청적흑백의 사색으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이며, 백팔나한의 상위급 고수인 경우가 많다.

사천왕四天王과 함께 소림의 수위급 고수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금강동인金剛銅人

-죽기 직전에 금강불괴지신을 이루고 죽은 나한들의 몸에 대법을 베풀어 만들어낸 존재. 강시의 일종이며, 소림사를 보호하는 최후의 방어선이다.

살기에 반응하여 움직이며, 그 몸은 이미 죽기 전 금강불괴를 이루었기 때문에 도검이 박히지 않고 살아있는 것도 아니기에 수많은 독을 써도 타격을 입지 않는다. 죽지도 살지도 않은 경계에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어려운 소림사 최후의 호법신護法神.

다만 살기에 반응하기 때문에 살기를 아예 죽여버리거나, 살심을 일으키지 않으면 공격받지 않는다.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소림에서는 이들이 지키는 산문을 내려가는 것을 하산 의식으로 치르기도 한다.

 

 

 

금강불괴金剛不壞

-도검불침의 금강지체, 수화불침의 불괴지체를 통틀어 부르는 말. 도검과 수화가 불침한다는 것은 도검과 물, 불에 의해서 해를 거의 입지 않는다는 뜻이다. 따로 의식하지 않아도 금강석 같은 신체로 방어하고 호신강기가 저절로 일어나 자신을 지키는 경지. 다만 만독불침은 아니라서 내장부터 녹아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아래에 은강불괴나 동강불괴 같은 건 없다. 금강불괴로 끝이다.

 

 

 

금강역사金剛力士

-불교의 수호신으로, 인왕역사仁王力士라고도 한다. 손에 금강저金剛杵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나 보살이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문의 좌우에 서서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한다. 

구무협 작품 일부 중엔 힘이 강하고 체구가 크며, 강한 자를 일컬어 금강역사라고 부르기도 했다.

 

 

 

금강수金剛手

-밀교密敎 비전의 무공. 양손에 강력한 기운을 휘감아 상대를 연달아 후려치는 무공. 이 무공을 사용하면 마치 빛의 구체가 양손에 맺히는 것처럼 휘황한 빛을 내기 때문에 알아차리기 쉽다. 수手법이기 때문에 권법, 장법, 지법, 조법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금나수擒拏手

-사로잡고 붙잡는 수법手法을 총칭한다. 혈도를 제압하거나 상대를 말 그대로 붙잡거나 사로잡고 제압하는 방식의 무공. 주로 노리는 위치는 손목의 혈도나 어깨의 견정혈 등, 제압하기 쉬운 곳을 노린다.

 

 

 

금리도천파金鯉倒千波 

-금빛 잉어가 천 개의 물결을 넘는다는 의미의 경신법. 몸을 틀어 상대의 머리 위를 넘어가거나 공세를 아예 무위로 돌리는 등으로 응용할 여지가 있다. 몸을 틀어 그 탄력을 이용해 이동하는 무공. 구무협 시절에도 잘 안 보이던 경신법이다.

 

 

 

금분세수金盆洗手

-황금 대야에 손을 씻는다는 뜻. 늙은 고수가 무림을 떠나 여생을 보내기로 결정했음을 알리는 말이며, 사실상 명망 높은 고수라면 은퇴식을 겸해 연회가 열리는 등의 이벤트로도 사용된다. 강호의 모든 은원을 끊고, 손을 씻고 자신은 무림의 뒷자락으로 물러나겠다는, 은퇴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금선사金線蛇

-몸통이 작고 몸에 금빛 줄이 그어져 있는 독사. 동물성 독물의 한 가지. 묘강이나 남만의 독곡 같은 문파에서 사용하는 독물이나 암기로도 등장한다. 현대무협에선 잘 보이지 않는다.

 

 

금강궐金剛橛

-보파저報罷杵라고도 한다. 금강저의 밑에 다른 무기를 붙여서 무기로 사용하는, 말하자면 전투용 금강저라고 볼 수 있다.

 

 

 

금전金磚

-벽돌. 암기, 기문병기의 일종.

금속으로 만든 벽돌 형태의 암기를 뜻하지만, 삼각추 형태나 유성추 형태로도 만들어 쓴다. 금속 뭉치를 적에게 던진다는 점에서 황충蝗蟲을 본뜬 형태를 하고 있는 당문 비전의 암기, 비황석과도 공통점이 있다.

 

 

 

금전표金錢鏢 

-암기의 일종. 나한전羅漢錢이라고도 달리 불리는 암기.

말하자면 그냥 동전을 팔힘만으로 쏴서 상대를 죽여버리는 암기다. 가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거나, 동전의 끝을 날카롭게 갈아서 사용하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다만 암기 자체가 그렇게 위력적인 게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량, 또는 내공 수위에 따라 위력이 천차만별. 일격에 사람을 죽일 정도의 금전표는 말 그대로 대량살상무기나 다름없는데, 사용자의 내공이 그만큼 깊거나 기량이 뛰어나다는 뜻이기 때문. 

 

 

 

금종조金鐘弔

-외공의 하나. 수련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고, 찔리면 거의 즉사하는 약점인 조문弔門이란 약점을 지닌 하급 외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신체를 단단하게 단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중수법 같이 몸 내부를 공격하는 수법에는 여지없이 파훼당한다.

 

 

금존청金尊淸 

-무협지에서 흔히 등장하는 비싼 술 가운데 하나. 죽엽청竹葉淸만 퍼먹이기 좀 그러면 가끔 등장한다. 죽엽청보다 끗발이 높은 명주.

 

 

금창약金瘡藥

-피부가 갈라지거나 외상을 입었을 때 바르는 약. 보통 칼침 맞은 자리에 바르는 것으로 회복력이 상당히 좋은지, 이거 바르고 얼마 안 가 금방 상처가 낫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림에서는 상비약 수준으로 사용되는데, 어디서 칼침 맞을 일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

지혈 효과도 있고 외상을 금방 아물게 하는 효능을 지녔다. 무슨 약재를 조합해서 만드는지는 불명.

 

 

 

금타金駝

-낙타. 만리신타 같은 이름으로도 등장하지만, 대막지방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문파라고 하더라도 이거 타고 다니는 경우 못 봤다. 개나 소나 사막에서 말 탄다. 가끔 등장해봐야 사막 건너가는 대상 집단이나 타는 경우가 태반일 정도로 취급이 좋지 않다.

 

 

 

급급여율령急急如律令

-율령과 같이 서둘러 행하라는 뜻.

도사나 무당이 사령邪靈을 내쫓을 때 주문의 말미에 덧붙이는 어구. 도교의 전래를 따라 한국 무속계와 일본의 음양도, 밀교에도 흡수되었다.

보통은 사령에게 빨리 물러나라고 촉구하거나, 천상의 신령에게 빨리 일을 처리해 달라 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귀두도鬼頭刀

-칼 손잡이 끝에 귀신 머리처럼 생긴 장식을 달고 있는 도검. 끝이 뭉툭하고 폭이 넓은 광도廣刀에 해당한다.

 

 

 

귀식대법龜息大法

-무협지에서 흔히 나오는 것 중 하나. 오래 잠복할 필요가 있거나 하면 종종 등장한다. 단순히 호흡을 멈추는 것뿐만 아니라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고, 체온을 내려서 인기척을 없애는 수단으로 사실상 사용하면 거의 반 시체에 가까워진다. 주로 적의 동정을 은밀하게 살피거나 할 때 사용한다.

다만 일단 사용하면 내공의 수준에 따라 깨어나는 시간만 조절할 수 있는 게 단점. 경지에 오르면 귀식대법을 사용하면서 주위의 것들을 보고 듣는 게 가능해진다고 한다.

 

 

 

기관機關

-기관토목機關土木. 무림의 하이 테크놀로지. 기관장치로 개조한 곳은 던전의 함정지대처럼 죽음의 대지로 변모한다. 물론 여기에 진법까지 더해지면 그야말로 빠져나갈 곳이 따로 없을 정도로 무서운 곳이 된다.

암기와 독 따위를 살포하는 직접 공격형 기관과 위치를 조작하거나 해서 미로를 만들어 상대를 헤매게 하는 식의 기관이 있다.

보통 이 계열의 대가는 진법과 함께 제갈세가의 주전공으로 꼽히는 경우가 많다. 

 

 

기경팔맥氣經八脈, 기혈氣穴

-기가 흐르는 경맥과 전신의 혈도를 통칭하는 말. 기가 흐르는 주 경로의 수가 여덟 개라서 기경팔맥인지 아닌지 알 길이 없다. 기혈은 이 기맥, 경맥이라 달리 불리는 것과 혈도를 통칭한다. 

보통 주인공이나 적이 심각한 내상을 입었을 때 기혈이 뒤틀린다는 표현을 쓴다.

 

 

 

기루妓樓

-홍등가. 창기倡妓, 창기娼妓. 예기藝妓나 또는 은퇴한 기녀들인 노류장화路柳墻花들이 몸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몸 파는 기녀만 있는 게 아니고 노래를 잘 부르는 기녀, 학식이 뛰어난 기녀, 또는 예도에 뛰어난 기녀 등등 다종다양한 재능을 지닌 여인들이 다수 있다. 보통 이런 곳에 속한 이들 중 뛰어난 자들은 대부분 사연이 있어 기녀가 된 것이 대부분.

물론 보통은 술 처먹고 난동부리는 무림인들 때문에 애꿎은 기루가 피보는 경우가 많은 만큼, 무림의 기피업종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기문병기奇門兵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무기가 아니라, 인지도가 낮고 운용방식이 까다롭거나 수련 방식 자체가 이질적이고 병기 자체의 생김새가 특이하여 상대하기 까다로운 병기의 총칭.

검, 도, 창, 도끼, 활 같은 메이저한 무기 이외의 대부분의 무기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이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무기의 수가 장난이 아니게 많다.

 

 

 

기문방술奇門方術

-기문둔갑술, 주술 등등 공명정대하지 못하고 사악하고 사이한 술수. 좌도방문의 술수라고 멸시당하기 마련이다. 사람의 감각을 속이고, 혼란시키거나 사실상 마법에 가까운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문진 같은 것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기수식起手式

-비무를 행할 때 펼치는 첫 초식. 비공격적이지만 화려한 것이 특징이며, 상대에게 예의를 표하는 초식이기 때문에 살기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동자배불, 선인지로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기수괴금奇獸怪禽

-신수이금神獸異禽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기이한 들짐승, 괴이한 날짐승이라는 뜻. 신수이금은 신령한 짐승, 기이한 날짐승이란 의미.

간단하게 말하자면 영물을 가리킨다.

 

 

 

기연奇緣

-주인공, 보통 어린 주인공에게 주어지는 고속성장을 위한 특별 이벤트 같은 것. 몇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절벽낙하형, 고인안배형, 영물내단형, 사부조우형, 자연지물형이 보통이고, 보통 절벽낙하형 기연이 대부분을 포괄하는 개념인 경우가 많다. 무협지에서 절벽에서 떨어지면 기연을 만난다더라는 카더라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기암괴석奇巖怪石

-주위를 뒤덮은 기이하게 생긴 바위, 괴상하게 생긴 암석군의 무리를 가리킨다. 보통 상황에선 잘 등장하지 않고 분지, 계곡, 절벽 등에 둘러싸인 지형이거나 제갈공명의 팔진도처럼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진 진법의 축으로 등장하는 조각상 등이 나올 때 가끔 나오는 표현.

 

 

기제병氣制兵

-무기를 제어하는 경지. 이기어검의 초입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창, 극, 석장 등의 무기를 사용하는 고수뿐만 아니라 그 외의 무기를 사용하는 고수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경지. 

손에서 살짝 떨어진 무기를 뜻대로 부릴 수 있는 경지라고 볼 수 있다. 달리 본다면 검기를 내뿜을 정도의 경지에 이른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기어병氣馭兵

-이기어검 계통의 기예. 검과 도 등의 일부 무기를 제외한 무기들을 다루는 경지. 창과 극 같은 무기들을 사용하는 고수들을 등장시킬 경우 그들을 띄워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이기어검이나 회공어수도回空馭手刀 같이 별개로 구분되는 경지를 가진 무기군에 기어병이란 표현을 사용하면 안 되는 것에 주의.

  

 

 

기어병氣御兵

-무기를 완전히 자신의 통제권 안에 넣었음을 가리키는 경지. 무기를 날려보내 싸우는 어병馭兵의 경지를 넘어선 경지. 어검술, 신검합일과 엇비슷하다.

기의 수발이 자유로워지며, 무기가 없어도 사실상 무기를 든 것 같은 위력을 낼 수 있는 경지. 이쯤 되면 사실상 심검의 경지에 가까워졌다고 볼 수 있다.

 

 

 

 

기재奇才

-천재, 수재보다 한 끗발 높은 표현. 그야말로 천재 중의 천재를 가리키는 단어. 무협지에서는 개나소나 기재이기 때문에, 발에 채일 정도로 굴러다녀서 그다지 큰 감흥이 없는 단어. 기재 정도로 취급하는 적이나 라이벌이 나오면 보통은 얘도 주인공의 밥이구나, 하게 된다.

수재秀才 -> 천재天才 -> 기재奇才 순으로 끗발이 높아진다.

 

 

 

기진이보奇珍異寶

-신병이기, 신수괴금, 기화요초 등 무협지 내에서 좋다고 하는 물건들을 모조리 통틀어 칭하는 말.

 

 

 

기화요초琪花瑤草

-주위의 풍경이 아름답다는 걸 묘사하기 위한 말로 사용한다. 기화영초琪花靈草, 기화이초奇花異草 등의 비슷한 단어가 존재. 뜻은 대부분 아름다운 꽃과 풀이 우거진 풍경을 가리킨다.

 

 

 

 

고鼓

-북. 

음공을 펼치는 매개체로 가끔 소설에 등장하기는 하나, 무기로는 치지 않는다. 애당초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기도 하고, 방울처럼 제사 같은 특수한 의식에 분위기를 잡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

그래도 사기를 진작시키는 용도로 울리는 북이라던가, 진군을 알리는 북소리 등등 제법 비중이 있는 편이다.

 

 

 

고금古琴

-금. 가야금, 거문고 등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현악기. 음공 전용 무기 가운데 하나.

퉁소, 피리와 함께 음공을 펼치는 매개체로서 인지도를 셋으로 갈라먹고 있는 메이저한 무기. 고금 자체가 이미지가 굉장히 우아하다는 느낌을 주는지, 퉁소나 피리보다 출연 횟수가 꽤 잦다.

오죽하면 금을 연주하면서 움직이는 신법인 탄금행彈琴行이란 것이 존재할 정도이며, 묵향에서는 만통음제가 금에 내장된 암기인 팔황장천비를 은닉하다가 음공에 섞어 상대를 암살할 용도로도 사용하기도 할 정도로 의외로 꽤 사랑받는 병기.

비뢰도의 비류연은 이걸 둔기 대신으로 썼다.

피리나 퉁소와는 음공을 펼칠 때 범위가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묘사되며, 그 위력이 절정으로 펼쳐지면 어지간한 협곡 하나는 평지로 만든다고 할 정도로 금으로 펼쳐내는 음공은 위력이 절륜하게 묘사되는 것 또한 특징. 

 

 

 

 

 

-나 항목

 

 

나한羅漢

-소림의 직위 중 하나. 나한은 곧 아라한阿羅漢을 가리킨다.

일반 무승 중에서 보통 무공이 뛰어나고 재질이 좋은 자들로 선별하며, 소림 비전의 진법인 나한진羅漢陣을 이루는 주체가 된다. 사실상 소림사에서 길러낸 정예고수 집단이라고 보면 되며, 이런 나한들이 모인 곳을 일컬어 나한당羅漢堂이라고 한다.

나한당에 속한 나한 중에서도 무공이 뛰어난 18명을 십팔나한이라고 하며, 소림에서도 가장 중요한 방장실과 장경각 등을 지키는 수문위사 역할을 맡는다.

나한들은 소림의 정예고수이자 후대를 교육하는 일도 겸하며, 소림사를 수호하는 호사護寺의 책무, 소림사의 경내에 들어온 불온한 자가 소동을 벌이면 이를 제압하거나 산문을 열고 나가 마두를 잡아 압송하는 등 소림이 무림에서 존경받는 문파가 될 수 있었던 원동력 가운데 하나다.

 

 

 

나한권羅漢拳

-소림의 대표적인 무공 가운데 하나. 소림의 무승들이 사용하는 무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확한 명칭은 아라한권阿羅漢拳이다.

 

 

 

나한기공羅漢氣功

-소림 비전의 기공氣功 가운데 하나. 소림의 무승들은 신체 단련과 외공 수련을 상당히 중요시하고, 이 나한기공은 그 외공의 약점인 내가중수법에 약하다는 약점을 커버해준다. 내공으로 내부 장기를 보호해주기 때문. 

 

 

 

나한진羅漢陣

-나한의 직책을 가진 정예고수로 이루는 소림 비전의 진법이자 진법의 대명사 가운데 하나. 

무적진無敵陣, 무훼진無毁陣. 이 진법 앞에는 적이 없고 한 번도 파훼당하지 않았다는 전설적인 소림의 진법으로 이걸 빼놓고 소림사를 논하는 건 어렵다.

18명으로 이루는 소나한진, 108명으로 이루는 대나한진, 500명으로 이루는 오백나한진이 있으며 18명으로 이루어진 소나한진이 모여 대나한진을 이룬다. 18명이 한 조로 묶이는 것은 이 진법을 펼치는 주체가 주로 소림의 중지를 수호하는 십팔나한들이기 때문이다.

살진殺陣이라기 보다는 호진護陣이며, 상대를 격살하는 것보다는 제압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진법.

 

 

 

나려타곤騾驢打滾

-경신법 중에서도 최악으로 치는 신법. 상대의 공격을 피해 게으른 당나귀가 땅을 미친 듯이 뒹구는 것처럼 땅을 구르는 신법으로, 무림에서는 이 수법을 펼친 자를 극도로 경멸한다. 사용한 자도 매우 수치스러워 한다. 정파 쪽에서는 그런 인식이 강하지만 사파는 별로 가리지 않기 때문에, 상대의 경멸을 이끌어내서 엿 먹이는 용도로 쓰는 경우도 종종 있는 듯. 

 

 

 

남해南海

-북해와는 정반대쪽에 있는 지방. 해남도海南島. 현대중국의 하이난 섬.

중원의 중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에, 무공이 강한 무사들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구파일방에 끼어 있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한국 무협에서는 남해검문이 구파에 끼는 빈도가 매우 낮은 편. 반대로 중국이나 대만 무협에서는 구파의 하나로 등장한다.

정작 지리상으로 따지면 중국 본토와 그리 떨어져 있지도 않은데 등장하는 걸 보면 대부분 다도해로 묘사되고, 남해 72군도라고 해서 수많은 섬 위에 흩어진 문파들을 거느린 남해검문이 이 지방의 지주로 군림하는 걸로 묘사된다.

남해검문 이외의 문파는 보통 보타암, 즉 보타문 정도가 있고 마이너하게는 축융세가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한다. 비뢰도에서는 검각, 군림천하에서는 청조각이라는 문파가 등장했다.

 

 

 

 

남해검문南海劍門, 해남파海南派

-한국 무협에서는 구파일방에 끼지도 못하고 새외로 취급당하는 불쌍한 신세. 정작 중국이나 대만무협에서 출현하면 구파일방에 당당히 끼기도 한다.

비무라는 개념은 없으며, 검을 뽑으면 생사를 갈라야 한다. 그렇기에 남해검문의 무사는 함부로 검을 뽑지 않는다. 상대가 먼저 모욕을 주거나 도발하지 않는 한은 검을 뽑지 않는 괴팍함도 있다. 남해의 사람을 해친 자는 정사마를 가리지 않고 반드시 찾아서 벌하는 것 또한 남해검문의 무사들이다. 남해에서 존경받는 문파인 이유.

수뇌조직은 장문인과 구대 장로로 구성되며, 구대장로는 장문인이 독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남해에서 세력이 큰 나머지 아홉 문파의 장로급 또는 부문주급 인사가 맡는다. 즉, 남해에는 남해검문을 포함해 커다란 세력이 10개 존재한다는 것.

해남도, 남해의 지주로 군림하는 문파이며 이름에 아예 검문이라는 문파명이 들어갈 정도로 검법에 능통한 문파다. 중원의 광명정대한 검법과 다르게 기이막측하고 궤이신랄한 검법을 구사하기로 이름 높다. 정통의 검법과 다르게 상대하기 힘든, 간단하게 말해, 지랄 맞은 검법이 남해검문 검법의 특징이다.

사람의 눈을 현혹하는 환검, 동시에 그 무엇보다도 빠른 쾌검 속성을 가진 무공이 많다. 또한 특이하게도 왼손으로 펼치는 좌수검左手劍이 기본이다.

대표적인 무공은 남해삼십육검南海三十六劍, 해운파랑검海雲波浪劍. 

검법 자하검紫霞劍, 천강검天綱劍, 비어쾌검飛魚快劍, 유성추월검流星追越劍.

도법 사상쾌도四相快刀

륜법 일월륜日月輪

경공 만금보灣擒步, 사해비천풍四海飛天風.

심법은 밝혀진 게 없다. 사실 이 정도 정보가 찾아낼 수 있는 정보의 끝일 정도. 그 정도로 비중이 없는 문파다.

 

 

 

남해십문南海十門

-해남도, 남해 지방을 대표하는 열 개의 문파. 남해검문은 검문을 제외한 9개 문파의 연맹체로 구성된 문파이다. 다만 여기에 보타암, 즉 보타문은 끼지 않는다.

남해십문에 어떤 문파를 끼워넣는가는 작가의 마음이며, 마음대로 창작해서 집어넣어도 좋다. 다만 남해검문을 제외한 나머지 아홉을 생각해내려면 골치 좀 썩을 것이다. 

 

 

 

남만南蠻

-현대의 베트남 지역 일대를 가리킨다. 물론 무협 소설은 대부분 이런 거 무시하니까 그냥 알아만 둬라.

북해北海와는 반대로 사시사철 덥고 울창한 수림이 펼쳐져 있으며, 멋모르고 잘못 마시면 죽는 독수와 쏘이면 죽음에 이르는 독충, 풍토병 등등의 중원무림인들에게는 그야말로 지옥과도 같은 지역.

독충, 독지, 독수 등등 사방이 독물 천지라 그런지 남만과 묘강 지역에는 독공을 주력으로 하는 문파가 다수 있다. 대표적인 것은 남만의 만독곡이나 만독문, 오독교, 독궁 같은 문파. 주인공으로 다뤄지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조연이나 악역으로 등장한다. 

 

 

 

난피풍검법亂披風劍法

-아미파의 비전 검법. 빠르고 표홀한 게 특징이라고 한다. 단, 한국 무협 계열에서 아미파는 다양하게 묘사되기 때문에 난피풍검법보다는 가상의 다른 무공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아미파는 불가계열이기 때문에 산에 수많은 암자와 절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아예 여자들만 속한 문파로도 묘사되는 등 작품마다 묘사가 다르기 때문. 

 

 

 

남궁세가南宮世家

-소재지는 강남 안휘성 천주산.

무림세가 가운데서 가장 인지도 높은 가문. 어떤 무협소설을 봐도 남궁세가는 거의 반드시 나온다고 봐도 좋다.

오대세가가 나오든, 팔대세가로 나오든 세가연합의 중심축이나 수장으로 등장한다. 검법으로 이릎높은 검법의 명가로 묘사된다. 모용세가처럼 정사중간으로 그려지는 일은 적고, 드물게는 남궁세가 자체가 악의 소굴인 경우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스탠스는 구파일방과 함께 정파무림을 지탱하는 기둥 같은 이미지.

구파일방과 함께 정파를 기둥하는 두 기둥, 오대세가의 중심이기 때문에 주인공의 가문으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고, 오대세가 가운데서는 가장 인기가 높다.

대표적인 무공은 창궁무애검법蒼穹無涯劍法, 제왕검형帝王劍形.

검법 섬전십삼검뢰閃電十參劍雷, 창궁비연검蒼穹飛燕劍, 철검십식鐵劍十式, 천풍검법天風劍法, 대연검법大衍劍法.

강기공 천뢰기天雷氣, 제왕무적검강帝王無敵劍罡.

권법 구벽신권九劈神拳, 폭뢰신권爆雷神拳

장법 천뢰삼장天雷三掌, 천풍장天風掌

지법 천뢰지天雷指, 삼합지參合指.

금나수법 대연십구식大衍十九式.

조법 한령신조寒靈神爪

경공 천리호정千里戶庭, 천풍신법天風身法

심법 창궁대연신공蒼穹大衍神功, 천뢰제왕신공天雷帝王神功.

진법으로 창궁무애검진蒼穹無涯劍陣, 대창궁무애검진이 있다.

 

 

 

남선북마南船北馬 

-남쪽은 강이 많으니 배를 타고,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으니 말을 자주 이용한다는 것에서 유래한 말.

 

 

남화노선南華老仙

-삼국지연의의 원흉이나 다름없는 가공의 인물.

장각이 과거에 급제하지 못해서 산에 들어가 약초를 캘 때 그를 만나 장각에게 태평요술서를 주었으며, 외모는 눈알이 푸르고 얼굴은 어린아이 같은 노인이다. 명아주 지팡이를 짚고 다니며, 장각에게 태평요술서를 주면서 하늘을 대신해 백성을 교화하고 세상 사람들을 구해야 한다면서 다른 마음이 생기면 앙갚음을 받게 될 것이라 하면서 바람으로 변해 사라졌다.

 

 

남두육성南斗六星

-북두칠성과 짝을 이루는 여섯 개의 별자리. 여섯개의 별로 이루어진 국자모양의 별자리로서 큰곰자리의 일부분인 북두칠성과 마찬가지로 사수자리의 일부분이다.

죽음을 담당하는 북두칠성과 다르게 생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나오며, 그에 관련된 설화가 일부 전해진다.

 

 

 

납살拉薩

-서장, 즉 티벳 지역의 도시인 라싸를 뜻한다. 서장 무림의 중심인 포달랍궁이 있으며, 서장의 정신적 지주로 여겨지는 달뢰대라마의 거처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물론 지명만 언급되고 잘 나오지 않는다. 서장까지 원정가는 주인공이 자주 나오는 것도 아닌지라. 그냥 이런 게 있다 수준으로만 묘사된다.

 

  

낭아봉狼牙棒

-봉 끝에 밤송이처럼 생긴 뭉뚝한 철추를 달아놓은 봉. 일반적인 봉과 다르게 철추가 달려서 무게도 상당하고, 제압과 살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산적 같은 엑스트라들이 가끔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타격무기이면서 동시에 자상刺傷을 낼 수 있어서 꽤 범용성이 좋지만, 무협에서 낭아봉을 무기로 쓰는 건 사파 출신이나 산적들뿐이다. 정파인들에게는 검이라는 간지 무기가 있기 때문이고, 백일도, 천일창, 만일검이라고 할 정도로 검을 좋아하는 성향이 깊게 무협소설 전반에 묻어 있기 때문에 그렇다.

 

 

 

낭인浪人

-용병, 또는 칼밥 좀 먹은 칼잡이. 

판타지에서 주인공 이외의 어중이 떠중이들이 다 그렇듯이, 하급 용병들에 해당한다. 물론 이들 중에서도 제법 이름을 얻은 자는 실전에 기반한 무공으로 이름을 날리곤 하지만 판타지와 달리 명문정파나 이름 있는 문파의 인간이 낭인이 되는 일은 없어서 보통 낭인 사이에서 고수가 나온다는 건 돌연변이처럼 여겨진다.

낭인들에게만 따로 전해지는 무공이나 내공심법 같은 건 없고, 실전에서 얻은 경험과 무예 정도 말고는 통용되는 게 없기에 사실상 엑스트라 1에 지나지 않는다.

따로 문파라고 할만한 것도 없고, 문파에 속하지도 않으며, 천하를 떠돌며 돈푼이라도 벌기 위해 자신의 무공을 팔다가 죽기도 하는 등, 무협에서 천대받는 직업 가운데 하나.

 

 

 

 

내가중수법內家重手法

-자신의 내공으로 상대의 몸 내부를 공격하는 수법. 보통 상대의 내장을 상하게 하거나 기의 운행을 뒤틀리게 해서 내상을 입히는 식으로 응용되며, 보통 내가중수법의 고수는 권법이나 수법 등 권각을 사용하는 자들일 경우가 제법 많다. 

침투경浸透勁이라고도 쓰지만, 이건 일본에서 창작된 개념이다. 무협에 침투경이란 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내가심법內家心法, 내공심법內功心法

-심법, 심결, 심공, 신공 등으로 다양한 이름이 붙어 있는 내공을 쌓기 위한 기술. 판타지로치면 마나연공법, 오러연공법에 해당하며 이름있는 문파나 세가는 오랜 세월을 통해 검증된 효과를 가진 내공심법을 전수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을 통해 자연기를 받아들여, 그것을 자신의 내공으로 만드는 과정이 매우 지난하므로 요즘은 보통 영약빨이나 벌모세수, 역근세수 같은 걸 받아서 주인공이 처음부터 내공 부족을 겪지 않게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내단內丹

-내공을 구슬처럼 응축한 것. 보통 단전에 자리한다. 이런 식으로 내단을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을 단을 이루었다고 해서 성단成丹이라고도 한다. 

전신을 단전으로 사용하는 주인공 같은 존재가 아닌 이상은 내공이 많아질수록 단전이 꽉 차버리게 되는데, 단전의 확장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어서 그 내공을 압축하고 응축시켜서 구슬만한 크기로 줄인 것.

단전의 한계용량 이상으로는 내공을 담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보통 내단을 만드는 경지에 이르면 내공이 마르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내공을 무식하게 소모하는 검환 같은 것도 난사하게 된다.

무림인의 내단은 단전에 생겨나는 게 특징이고, 오래 묵은 영물들도 천지간의 영기靈氣를 흡수하며 자라나기 때문에 내단을 가지고 있다. 이런 영물들의 내단은 내공을 급속하게 늘려주며, 다른 부가효과를 가진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림인이라면 영물의 내단에 눈이 돌아갈 수밖에 없다.

 

 

 

내상內傷

-말 그대로 몸 안쪽에 생긴 상처. 

자신보다 수준이 높은 무공을 가진 자와 겨루다가 다치거나, 상대에게 자신의 무공이 파해당해 기가 역류한 경우에도 내상을 입는다. 

피부나 살갗 같은 외부가 아니라 몸 내부의 장기, 그리고 경혈에 손상을 입는 것이기 떄문에 내상이 무거우면 내공을 잃어버리거나 심할 경우 목숨을 잃기도 한다. 가벼운 경우에는 운기요상運氣療傷으로 내상을 회복할 수 있지만 아닌 경우는 보통 영약이나 의원의 대법을 시술받아야 살아날 수 있다. 

 

 

 

노화자老化子

-늙은 거지가 자신을 일컬어 부르는 말.

 

 

노화순청爐火純靑

-내공이 지극한 경지에 이르러서, 진기가 끊기지 않고 운행된다. 평범한 무공으로도 상승무공을 격파할 정도로 무공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내공이 정순해지는 상태이며,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사람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반박귀진과 비슷한 경지.

 

 

녹림도綠林道, 녹림綠林, 녹림맹綠林盟

-사파 세력 가운데 하나로, 산적 집단이다.

장강수로십팔채와 함께 그나마 사파 중에서는 인지도 있는 세력.

녹림맹주, 녹림칠십이채의 총채주는 보통 총표파자總飄把子라고 한다. 장문인이라고 안 쓴다. 귀찮으면 총채주, 채주, 부채주 정도나 쓰지 그 외의 직위명은 딱히 나오지도 않는다.

무림맹처럼 정해진 세부조직이 확고하게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산적 집단이란 특성상 대장, 부대장, 참모 정도만 존재.

무협 소설 내에는 비적匪賊, 마적馬賊, 산적, 수적, 해적 등 수많은 도적 무리가 설치지만, 그중 제일 많이 거론되는 양대 집단으로는 녹림의 산채와 장강의 수채를 손꼽는다.

녹림십팔채, 녹림칠십이채, 녹림맹이라고도 한다.

주된 수입은 표국이나 표행의 약탈을 약탈하는 것. 또는 길을 닦아놓고 호로비護路費라는 명목으로 표국으로부터 돈을 뜯어내기도 한다. 다만 산적과 수적이 없으면 표국과 표국의 사업도 성립하지 않으므로 어찌 보면 필요악. 

대표적인 절기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고, 고수가 등장하는 빈도는 적으며, 혹여 등장하더라도 주인공 일행에게 개기다가 피보는 등 지나가는 악역 1 정도의 존재감 정도밖에 없다.

여러모로 돌대가리들의 집단.

사파의 일원이며, 동시에 실전적인 기풍의 무공을 다수 사용하기 때문에 도끼, 감산도 등의 무거운 중병기를 다수 애용하며 틈만 나면 꼼수를 쓰려고 하거나 통수를 후리거나 떼로 달려드는 등 충실하게 엑스트라의 역할에 충실한 집단.

장강을 관장하는 장강의 수채와는 결코 그 사이가 좋지 않다. 

 

 

 

녹옥불장綠玉佛杖

-소림사의 장문인을 상징하는 신표이자, 소림사 전체의 승인들을 복종시키고 따를 수 있게 하는 문파의 신물.

그 이름대로 지팡이의 모습이며, 지팡이 끝에는 녹옥으로 만든 작은 불상이 달려있다. 평상시에 지니고 다니지 않고 조사전 같은 곳에 봉안해두었다가 위급시에만 꺼내들어 소림의 전 제자들을 부리는 식으로 등장한다. 

구무협 시절에는 다른 구파의 신물과 함께 툭하면 적의 손에 넘어가 있어서, 항상 주인공이 찾아다 주는 등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적이 많다.

 

 

 

논검論劍

-고수들이 서로의 실력, 또는 검에 대한 지식을 갖고 토론하는 것.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주변 사람들이 못 알아듣는 대화가 되기 마련이며, 보통 이 장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어떻게 묘사할 수 없어서인지 그들의 대화는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끝났다라는 식의 묘사로 퉁치고 있다.

서로의 경지를 가늠하고, 검에 대한 자신의 철학, 검에 담긴 의미 등을 검이 아닌 말로서 설파하여 겨루는 일종의 비무로 취급된다. 다만 서로의 검공에 담긴 비밀을 감추기 위해서인지 보통 논검을 펼칠 때면 단 둘이 이야기로 밤을 지새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에는 기록자 한 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외부인의 출입이 금지된다.

 

 

 

 

논어論語

-사서삼경, 사서오경의 하나.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사서 중 한 가지. 저자 미상이며, 공자의 제자들과 그 문하의 문인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것으로 여겨진다.

공자가 제자와 다른 이들에게 질문을 받고 토론한 것을 논論,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전한 것을 어語라고 하여 논어라고 한다.

 

 

 

능공허도凌空虛道

-최상승 경공의 하나. 허공답보虛空踏步보다도 위의 경지. 허공답보가 공중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보다는 허공을 차서 이동하는 방편에 가까운 반면, 능공허도는 허공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 가끔 답허능공踏虛凌空 따위로 달리 불리기도 한다.

 

 

 

능유제강能柔制强

-능히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제압한다. 무당파 무공의 근간을 이루는 말. 무당파의 무공은 태극권, 태극검처럼 부드러움을 강조하는 무공이 많은데 그 근간이 이것. 말하자면 무당무공의 진수이자 정수 그 자체이자 근간이다. 유능제강이라고도 하도, 이쪽이 더 자주 쓰이는 편.

 

 

 

 

-다 항목

 

 

다라니陀羅尼

-진언眞言, 밀주密呪라 달리 불리기도 하는 주술적인 힘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지는 말의 총칭. 보통 만트라라고 부르는 것이 이것.

 옴메니반메훔 같은 말이 이런 다라니의 일종에 속한다.

 

 

 

단검短劍

-판타지로 치환한다면 대거나 아사신 나이프 등의 일반적인 장검과 길이가 짧고 공격거리가 길지 않은 무기를 총칭한다. 익히기 쉽고 상대가 방심하고 있다면 암습하기도 좋지만 사정거리가 짧고 위력이 부족하여, 단검을 집중적으로 수련한 고수는 잘 없다. 근접 박투에서는 상당한 위력을 발휘하지만, 보통은 강철처럼 단련된 권각을 지닌 자들에게는 속수무책으로 파훼당하기 마련.

 

 

단극短戟, 단창短槍

-일반적인 극이나 창과는 달리 창대의 길이를 짧게 줄인 것. 길이가 2~3미터를 가뿐히 넘어가는 창이나 단극의 창대를 줄인다고 줄여봐야 대부분 1미터대이기 때문에 여전히 길기는 길다.

 

 

단리세가段里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단목세가보다도 출연이 없는 수준. 

 소재지는 안휘성 봉양. 하지만 안휘성에는 남궁세가라는 초 메이저 무림세가가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비중도, 무엇도 없다. 안습. 

정보, 집법 단체인 흑오단과 가문의 무력단체인 십자천검단 정도가 있다고 한다.

대표적인 무공은 비천검법飛天劍法, 단천비검술斷天飛劍術.

그 외의 무공은 알려진 게 없다. 보통 등장해도 중소규모의 작은 가문으로 등장하고, 메이저급도 아닌지라 비중도 없는 편.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매우 많다.

 

 

 

단목세가端木世家

-소재지는 서호 호반.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검풍단목세가劍風端木世家라고 불린다. 웅휘한 검법으로 명성을 떨친 명가. 무당파의 무당칠검, 소림의 십팔나한 등에 해당하는 정예인 단목이십팔숙端木二十八宿이 존재하며, 백의를 걸치는 것이 주된 특징.

대표적인 무공은 낙성십이검洛星十二劍.

검법 유성환상검流星幻像劍, 소슬검법小飋劍法, 단천비검斷天飛劍.

권법 금성권金星拳, 극양지極陽指

보법 무한보無限步 등이 있다.

 

 

 

단필短筆

-짧은 붓. 정확하게는 철로 만든 철필鐵筆의 한 종류이며, 붓대의 길이가 짧아 은닉하기 쉽고,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적을 암습하는 암기로도 기능한다. 특히나 철필의 특성 상 점혈에 상당한 강점을 갖기 때문에 불시에 적을 기습해서 점혈로 상대를 제압하고 주도권을 틀어쥘 수 있다.

 

 

 

단혼사斷魂沙 

-당문 비전의 암기 가운데 하나. 맞으면 반드시 죽음에 이르는 맹독을 머금은 모래.

 

 

 

달단韃靼

-몽골 지역을 가리킨다. 원나라 시대의 몽골인들이 밀려난 곳으로 묘사되거나, 북원의 유민들이 남은 지역 등으로 묘사되는 게 대부분.

다만 현대 무협으로 오면서 달단 지역에 대한 묘사는 대부분 사라져서 이제는 찾기 힘든 지경이 되었다.

보통 성길사한成吉思汗, 칭기즈칸이 대제국을 다스릴 무렵 중국에서 모아들인 무공과 온갖 신병이기가 어딘가에 잠들어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그걸 찾으려고, 동시에 중원을 다시 정복하여 지배자가 되려고 하는 악역들이 드글거리는 지방. 

 

 

 

달마경達摩經

-무협 소설에서는 소림 비전의 무공 서적으로 주로 표현된다. 역근경과 세수경, 두 가지 종류가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소림 최고의 무공 비급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사실상 소림 최고의 무공비급이며, 비결로 이름이 높다. 달마역근경과 달마세수경을 일러 역근세수경이라 달리 이르기도 할 정도.

달마의 이름에서 심법의 이름을 따오기도 할 정도이니 그 위상은 매우 높다. 

 

 

 

달마삼검達摩三劍, 달마여래십삼검達摩如來十三劍

-소림에 존재하는 보기 드문 검공. 거의 대부분 소림의 유일한 검법으로 등장한다.

달마여래검, 달마십삼검, 달마삼검 등 이름의 바리에이션도 굉장히 다양하다. 수미전단검須彌栴檀劍, 일자수미혜검一子須彌慧劍 등의 무공과 함께 소림 자체를 수호하는 호법검護法.

다만 보통 소림사 출신의 무승들은 곤이나 봉을 더 잘 쓰기 때문에 등장이 적고, 애초에 검승劍僧은 잘 나오지 않는지라 인지도는 다소 떨어지는 편.

 

 

 

 

달뢰라마達賴喇嘛

-서장 무림의 중심, 포달랍궁의 궁주이자 황모교의 교주. 현대식으로는 달라이대라마이며, 한자로 도치해서 쓸 경우 달뢰대라마라 쓴다. 거주지는 납살拉薩(라사)의 포달랍궁(포탈라궁).

 

 

 

답설무흔踏雪無痕

-상승 경공의 하나. 눈 위를 밟아도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몸을 가볍게, 그리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경공.

 

 

 

당문唐門, 사천당가四川唐家

-소재지는 사천성 성도. 

당가타唐家陀라는 사천당가의 혈족들만이 모여 사는 집성촌에 모여서 산다. 당가타는 사천당가의 요새이며 외부인은 함부로 출입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잘못하면 죽음을 당할 수 있으므로.

오대세가 가운데서도 가장 이질적인 캐릭터성을 갖고 있는데, 정파임에도 불구하고 비겁과 꼼수의 끝판왕이라 여겨지는 독과 암기의 명가이기 때문.

다만 정파에서도 독을 다루는 문파가 있어야 밸런스가 맞기 때문에 그 포지션에 당가가 들어가게 된 듯하다. 

명나라 때 당문권唐門拳이란 이름의 무술을 사용하는 가문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고, 청나라 건륭제 때 대나무 암기를 사용하는 무술로 유명했다는 기록이 있다. 무술회종이란 서적에서 지금의 독과 암기로 유명한 당가의 이미지가 굳어졌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빈도는 적고, 대부분 악역이거나 찌질이, 주인공에게 시비를 걸어서 털리는 등 대우가 안습하다. 주인공으로 다뤄지는 빈도는 낮으면서 털리는 빈도는 더럽게 높다.

빚을 졌으면 그의 두 배, 세 배로 갚는다는 가문 특유의 기질과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성격, 그리고 독한 손속 때문에 당가와 적이 되는 것은 피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꽤 고평가 받는다. 암기제조법, 용독술, 암기 사용법 등의 비법을 유출시키지 않기 위해 데릴사위제를 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절기는 만천화우滿天花雨.

장법 비서장飛絮掌, 적련신장赤漣神掌, 삼양신장三陽神掌.

편법 금룡편金龍鞭, 백승연편百勝軟鞭, 황사만리편黃砂萬里鞭, 호연십팔편浩然十八鞭, 화타연편십삼식廻打軟鞭十三式.

지법 삼양지三陽

조법 독풍천절조毒風天絶爪.

경공 추뢰신법追雷身法, 무영혈독보無影孑獨步, 독룡진천보毒龍震天步.

심법 도반삼양귀원공導反三陽歸元功, 만류귀원신공萬流歸元神功.

암기술 만류귀종萬流歸宗, 천녀산화天女散花, 구환살九幻殺, 추혼비접追魂飛蝶, 구독갈미九毒蝎尾, 연환십이참連環十二斬, 추혼연미표追魂燕尾.

암기 자모표子母鏢, 귀왕정鬼王釘, 단혼사斷魂沙, 비황석飛蝗石, 찬심정鑽心釘, 폭우이화정暴雨梨花釘, 천뢰구天雷球, 육혼망戮魂網

 

 

 

 

당문구대금용암기唐門九大禁用暗器

-당가에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 아홉 개의 암기.

그 파괴력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거나, 간단하게 대량살상을 일으킬 수 있는 등 강호에 큰 파장을 불러올 수 있는 암기들을 구대금용암기라 하여 따로 분류했다.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보통은 작가가 창작해내는 게 대부분이라 아래의 목록이 반드시 정확하진 않다.

지옥겁화염왕탄地獄劫火閻王彈

절명염화통絶命炎火筒

칠독황봉침七毒蝗蜂針

멸혼파백연滅魂破魄煙

유성연환표流星連環鏢

폭우비환暴雨飛丸

백렬혈쇄魄裂血鎖

흑갈자黑蠍濨

마화정魔火釘

 

 

 

당문팔대금독唐門八大禁毒 

-당문에서 만들어내고 사용을 금한 8가지의 극독. 한 방울만으로도 마을 하나를 몰살시키거나, 극히 적은 양을 사용해도 사람을 반드시 죽음에 이르게 하는 등의 지독한 독성으로 인해 심지어 이것을 다루는 당가 사람도 죽을 수 있는 극독.

해서 당가에서는 이것을 엄중히 봉인하지만, 항상 어느새인가 털려있는 그런 물건.

목록은 아래와 같다. 보통은 작가가 창작해내는 게 대부분이라 아래의 목록이 반드시 정확하진 않다.

신선폐神仙廢

군자산君子散

반구혈半構血

견혼수牽魂水

상린남영祥鱗藍影 

자오분심子午焚心

칠보단혼산七步斷魂散

오독탈명단五毒奪命丹

 

 

 

대리국大理國

-운남雲南 지역을 통치하던 국가. 보통은 무국武國이라고 해서 무인들의 나라로 묘사되나, 구무협 이후부터는 아예 무협 소설에 출현하지 않았다. 

왕가의 성씨는 단段씨. 왕가의 사찰인 천룡사에 왕가 비전의 무공이 비장되어 있으며, 왕은 왕위를 물려주고 나면 천룡사로 출가하는 것이 전통.

대표적인 무공은 일양지一陽指와 육맥신검六脈神劍. 그 외의 무공은 아예 무협소설 쪽에 출현이 없어 알 길이 없다.

 

 

 

대리단가大理段家

-운남 지역에 둥지를 튼 대리국의 왕가. 대리 단씨. 무협 소설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한백무림서 중 천잠비룡포의 주인공 단운룡이 대리 단씨라는 언급이 있다.

무협 소설에서 등장하는 빈도가 매우 낮다. 보통 운남이라고 하면 거의 변황, 새외무림 취급이기 때문이고 운남성 일대는 남만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는 등 무협소설 내에서 중원 취급을 받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 

 

 

 

대뢰음사大雷音寺

-소뢰음사와 함께 천축, 즉 인도 쪽을 대표하는 문파. 밀종密宗 무공의 총본산이자 사실상 중원무공의 시발점인 달마가 천축 출신이기 때문에 천하 모든 무공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는 곳에서도 종주로 군림하는 문파 가운데 하나다.

소뢰음사가 사악하고 이기적인 문파로 묘사되는 것과 다르게, 이쪽은 공명정대하고 중생제도적인 문파로 묘사된다. 문파의 이름대로 번개에서 이름을 딴 무공을 지니고 있으며, 소림의 무공과는 다르게 파괴력이 절륜하고 살상력이 높다.

대뢰음사나 소뢰음사로 나뉘지 않고, 그냥 뇌음사로 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막大漠

-무협에서 등장하는 사막지역. 이슬람교를 가리키는 회회교回回敎, 회교回敎 또는 마도 쪽에서 떨어져 나간 독립된 세력이 자리 잡은 경우가 종종 있으며, 구무협 시절에는 칭기즈칸이 천하의 모든 무공과 보물을 모아놓은 궁전이 어딘가에 숨어있다는 설정으로도 제법 활용되었다.

보통 등격리 사막이라 해서 현대의 고비사막 지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좀 더 나아가면 탑극랍마간 사막이라 해서 타클라마칸 사막이 나올 때도 있다.

낙타를 탄 대상들이 오가며, 그런 이들을 습격해서 먹고 사는 비적들도 있고, 그런 사람들을 보호하는 문파들이 자생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대수인大手印

-정확하게는 밀종대수인密宗大手印이라 불리는 라마교나 밀교 출신의 승려들이 사용하는 수공手功으로, 순간적으로 손이 커다랗게 부풀어오르기 때문에 대수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커다랗게 변한 손으로 도장이라도 찍는 양 찍거나 후려치는 것이 기본적인 응용법. 장법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

 

 

 

대완구大碗口

-한나라 때 서역 쪽 국가인 대완에서 난 말. 명마 가운데 하나로 이름높다. 한혈마라고 불렸으며, 한나라 때 무제가 이광리에게 명하여 대완 지역을 정벌하게 했을 정도의 명마.

흉노와의 전쟁을 위해 기병전력을 강화할 생각을 하고 있던 한 무제가 대완국에서 그의 제의를 거절하자 이광리에게 명해 대완을 정벌했고, 이광리가 대완을 정벌하고 대완구를 3천 마리나 잡아오자 서극천마가라는 노래를 지어 그 공로를 극찬했을 정도.

역사에 이름이 남았을 정도의 명마. 서극천마라고 달리 불렸을 정도.

 

 

 

대주천大周天

-십이주천을 기본으로 하는 소주천과는 다르게 이십사주천이 기본. 소주천이 일부 경맥만을 경유하는 것과 달리 대주천은 전신 혈도를 경유해서 내공을 휘돌린다.

기의 운행이 느리고, 전신의 모든 혈도를 흐르기 때문에 자연기를 자신의 내공으로 흡수하는 양이 늘어나고 질도 높아지지만, 주위를 경계할 수 없고 온갖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지켜줄 사람, 호법護法을 필요로 한다. 외부의 충격에 극도로 취약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으로도 주화입마에 들 정도. 

 

 

 

대학大學

-사서오경의 하나. 유교 경전. 본래 예기의 42편이었으나, 송나라 시대에 성리학이 확립되면서 사서의 하나로 인정받았다.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나돌기 때문에 따로 적지 않는다.

자기 수양을 완성하고 사회 질서를 이룩하는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이론적으로 보여주는 경전. 유가의 근간이 되는 수기치인修己治人, 자신을 다스린 이후에 백성을 다스리라는 사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삼강령과 팔조목이 있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라는 말이 여기서 나왔다.

 

삼강령

명명덕明明德 - 자신의 밝은 덕을 밝게 드러내야 한다.

신민新民 - 자신의 밝은 덕으로 백성을 새롭게 한다.

고본 《대학》에 수록된 용어는 친민親民 - 백성과 친하게 된다.

지어지선止於至善 - 최선을 다하여 가장 합당하고 적절하게 처신하고 행동한다.

 

팔조목

격물格物 - 세상 모든 것의 이치를 찬찬히 따져보는 것 → 고본 《대학》에는 없는, 주희가 새로 지어 넣은 조목

치지致知 - 지식과 지혜가 극치에 이르게 하는 것 → 고본 《대학》에는 없는, 주희가 새로 지어 넣은 조목

성의誠意 - 의지를 성실히 다지는 것

정심正心 - 마음을 바로 잡는 것

수신修身 - 자신을 수양하는 것

제가齊家 - 집안을 화목하게 이끄는 것

치국治國 -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

평천하平天下 - 세상을 화평하게 하는 것

 

 

 

 

대환단大還丹 

-소림사가 가진 이대성약二大聖藥 가운데 하나. 다른 하나는 소환단小還丹.

내상을 거의 즉시 치유할 정도로 약효가 대단하지만, 그런 만큼 소림에서도 사용을 극도로 제한하여 정말로 죽기 직전까지 이른 자가 아니면 사용을 금할 정도로 제조가 힘든 성약. 

문파의 대를 이을 후계자에게 주어 내공을 급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하지만, 그런 경우라 해도 대환단보다는 소환단을 주어 연무를 거듭하게 한다. 제조법이 거의 절전되었기 때문. 다만 작품마다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요 부분은 작가의 세부 설정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대도大刀

-칼날이 크고 무거운 도의 일종. 청룡언월도 같은 월도月刀나 박도朴刀 계열도 이쪽에 속한다. 한손으로도, 두손으로도 잡고 다룰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검신이 만도처럼 휘어져 있어 찌르기보다는 베기에 적합하다. 이런 식으로 휘어진 것이 특징인 장병기로서의 대도는 언월도로 따로 분류되었다.

대우가 그리 좋지 않은데, 투박한 생김새 때문인지 보통 산적이나 사파 출신들이 사용하며 주인공이 사용하는 검과 같은 무기에 깨지는 게 일상이다.

 

 

 

 

대붕전시大鵬轉翅

-경공의 일종, 또는 경지의 일종.

온몸을 빙글빙글 회전시키면서 회전력을 통해 속도를 줄여 착지하는 경공. 평사낙안처럼 낙법이나 착지법에 가깝다.

 

 

 

대환도大環刀

-환도류 무기 중에서도 크기가 큰 것. 손잡이 끝에 고리가 달린 것이 특징이며, 보통 등장할 경우 발풍대환도發風大環刀라고 해서 휘두르기만 해도 바람이 일어날 정도로 거대한 대도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역시 대접이 박한데, 주인공이나 검을 사용하는 고수에게 박살나는 게 일상이다.

 

 

○대제자○代弟子

-문파에 제자가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그것을 구분하기 위해서 입문 시기와 실력을 따져서 서열을 정한다. 군번이나 기수 제도 같은 것.

1대 제자의 경우는 장문인이나 그와 동렬의 장로, 또는 문파의 어르신에게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을 칭하는 경우고 2대 제자 같은 경우는 그 아래 항렬인 이들에게 무공을 배운 제자들을 말한다.

 

 

 

대제자大弟子

-제자 가운데서 가장 위치가 높은 제자를 의미한다. 차기 장문인 내정자 정도로 여겨진다.

제자 중에서도 성취가 특히 뛰어나거나, 인망이나 인품이 좋아 사람들의 신망을 얻은 제자가 보통 선정되며, 보통 대제자는 차기 장문인이나 그에 준하는 위치, 보통 장로급까지 올라가는 게 결정된 제자를 말한다. 위상에 걸맞게 다른 제자를 직접 가르치거나, 어느 정도의 명령권까지 가지는 등 사실상 선임조교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도刀

-일본에서 사용하는 태도 같은 류와는 다르게 무협지에서의 도는 중병重兵이고, 종류도 상당히 다양하다. 박도朴刀, 대도大刀, 언월도偃月刀, 유엽도柳葉刀, 감산도撼山刀, 귀두도鬼頭刀, 대환도大環刀 등등 검과는 다르게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수많은 것들을 포함한다.

다만, 무협에서 보통 도라고 하는 것은 날이 외날이고 칼등에 칼날이 없으며, 힘으로 찍어누르는 중도重刀 계열과 속도로 승부를 보는 쾌도快刀 계열로 가를 수 있다.

쾌도 계열은 중병기라는 도의 속성과는 상반되기에 사용하는 도刀 역시도 날이 얇고 긴 것, 일본식 카타나 계열이 중심이 된다.

가벼운 검과 다르게 무거운 도라는 상반되는 이미지이지만 주인공이 사용하는 병기로의 채용율은 검에 한참 밀린다.

 

 

 

도호道號

-무당파나 곤륜파 등등 도가문파의 도사들이 대사 치기 전에 읊조리는 말. 또는 도사가 받은 도명道名을 이른다.

무량수불無量壽佛, 원시안진元始安鎭, 삼청삼원三淸三元, 대도무량大道無量 등이 사용되나, 무량수불이 가장 사용빈도가 높고 나머지는 사용 빈도가 극히 떨어진다.

웃긴 건 무량수불이란 도호는 정작 불교의 아미타불과 관련이 있다는 것.

 

 

 

독고세가獨孤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소재지는 불명이며, 가문의 기원 또한 불분명하다. 독고구패 이후로 종종 언급되던 독고씨의 인명을 따서 독고세가라는 이름이 만들어진 듯 하며, 그렇기에 따로 정립된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이너 무림세가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케이스로, 아예 자료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자료가 거의 없다. 

 

 

 

 

동방세가東方世家

-무림세가의 하나. 역시나 공기.

남궁南宮, 북리北里, 서문西門, 동방東方의 사방세가 가운데 하나. 물론 등장빈도는 안습할 지경. 그나마 메이저하게 등장하는 남궁세가에 비하면 이쪽의 인지도는 말 그대로 바닥을 긴다. 서문세가와 북리세가도 마찬가지.

동방이라는 성씨를 쓰는 무인은 종종 등장하지만 세가 자체가 등장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사실상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수준. 묵향의 동방씨들도 동방세가와 연관이 있는지 묘사된 적이 없으니 사실상 이름만 있는 가문이다.

 

 

 

동영東瀛, 부상국扶桑國

-일본 출신 무인들이 등장하는 배경.

동영은 지금의 홋카이도 일대를 제외한 일본 지역 전체를 가리키고, 부상국은 오키나와 일대를 가리킨다.

이곳 출신들은 내공심법이 없이 인술과 검법으로만 싸우는 것이 특징. 구무협 시절에는 내공심법도 없는데 내공 익힌 놈들을 말 그대로 학살하고 다녔다.

 

 

 

동자공童子功

-익히면 강제로 고자가 되는 무공. 말하자면 할 수는 있는데 하면 내공이 다 없어지는 괴악한 디메리트를 갖고 있는 무공. 이런 거 익히느니 차라리 기연 얻으려고 절벽 아래로 다이빙하는 게 빠르다.

주인공이 한 번 고난을 겪어야 하면 섞어줘도 좋다. 단, 이후 후폭풍을 감당할 수 있을 때 써라. 하루아침에 주인공이 내공 다 잃어버리고 병신되는 거 못 견디는 독자들에게 뭇매를 맞을 수 있다.

 

 

 

독고저獨股杵, 항마저降魔杵, 금강저金剛杵

-불가에서 사용하는 무기 가운데 하나.

저杵라는 무기는 낭아봉과 같은 짧은 봉의 일종으로, 양끝을 굵게 하고 중앙이 가느다란 봉을 말한다. 무기의 유래 자체가 절굿공이를 찧던 방망이이므로 길이가 짧은 편이다. 

금강저, 항마저, 독고저라는 표현이 혼용된다. 다만 무기로서의 성능은 극히 미묘한 편. 사실 무기보다는 상징으로서 사용되는 측면이 더욱 강하다.

 

 

 

 

독각화망獨角化蟒

-머리에 뿔이 하나 달린 거대한 구렁이. 자연의 기운과 다른 영물을 잡아먹고 기형적으로 커다랗게 변한 구렁이이며, 도검이 잘 박히지 않고 맹독을 지니고 있다. 가끔은 불을 뿜는 구렁이로도 묘사된다. 보통 나오면 꽤 강해서 주인공을 고전시키기는 하지만, 결국 주인공의 내단 셔틀이 된다.

 

 

 

독술毒術

-용독用毒, 하독下毒, 수독收毒, 식독食毒, 제독制毒, 피독避毒, 척독斥毒 해독解毒. 

쓰고, 풀고, 거두고, 독을 먹는 법, 독기를 제압하는 법, 독을 피하는 법, 독을 물리치는 법, 해독하는 법과 어느 때 어느 방향에서 독을 풀어야 하는지 등등의 지식과 사용법, 그리고 독을 제조할 때와 사용할 시기를 재는 등의 종합적인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기술技術을 총칭한다.

 

 

독공毒功

-체내에 받아들인 독기를 사용하는 무공. 보통 이 독공을 익히기 위해서는 특수한 수련이 수반되고, 보통은 독을 먹어서 자신의 내공과 독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는 등의 수행을 한다. 다만 내공이 약하면 전신이 독에 의해 녹아 죽고, 독공으로 이룬 내공은 단전이 깨지면 전신으로 독기가 퍼져나가 전신이 녹아죽는 끔찍한 최후를 맞는 것이 보통. 

보통 주인공보다는 꽤 강한 악역 쪽에서 익히지만, 수련법 또한 끔찍한 게 많다. 마공 계열에 속하는 독공들이 좋은 예.

독인, 독마, 독왕, 독성, 독신의 경지가 있다.

 

 

 

독약毒藥, 독물毒物

-약으로도, 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독약과 그런 독을 품고 있는 동식물을 총칭한다.

 

 

 

동자배불童子拜佛

-부처를 수행하는 동자가 부처에게 절을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초식. 불가무공의 기수식으로 사용된다.

 

 

 

동자삼童子蔘

-무협판 만드라고라. 다만 만드라고라의 비명처럼 사람을 괴롭게 하진 않는다. 작가마다 세부 설정에 차이가 존재한다. 인간의 아이처럼 생긴 것이 특징. 처음 캐냈을 때 사람처럼 보여 식겁하게 되는 게 기본적인 클리셰이며, 내동댕이치고 나서 보니 사람이 아니라 삼이었다는 이야기가 베이스가 된다.

한국의 동자삼 설화에도 모습을 보이며, 산삼계열 영약이라 그런지 약효가 꽤 뛰어난 경우가 많다.

 

 

 

동정십팔채洞庭十八寨

-동정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수적 집단. 장강수로맹에 속하는 경우도 있고, 녹림도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열여덟 개의 수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운선을 습격하거나 무림인들이 탄 배를 습격했다가 털리는 것이 이들의 주된 존재의의.

장강을 관장하는 수로맹에서도 동정호의 수채는 세력이 강한 듯 묘사되기도 한다. 물론 그래봐야 결론은 엑스트라다.

장강수로맹과 양립하는 수적 집단일 때도 있고, 장강수로맹의 휘하에서 가장 강한 열여덟 개의 수채를 가리킬 때도 있는 등 정체성이 명확하지 않은 집단. 녹림도와는 견원지간인 경우가 많다.

 

 

 

 

동귀어진同歸於盡

-목숨을 도외시하는 일격. 상대와 같이 죽기 위해서 펼치는, 죽음을 각오하고 사용하는 수법을 총칭한다. 적과 함께 죽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생사를 도외시하는 수법이 많다.

 

 

 

동창東廠

-황제 직속의 정보기관. 금의위를 밑에 두고 있거나, 금의위와 동렬인 경우가 많다. 수장은 동창 제독이라고 불린다. 환관이 그 수장을 맡는 것이 기본이며, 동창 제독의 다른 이름은 제독태감이다.

보통 금의위와 함께 황궁을 두 개로 가르는 경우가 많으며, 고수를 상당수 보유하고 있는 황궁 무력의 중추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황궁 자체가 중심적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동창의 비중도 공기 수준이다.

 

 

등봉조극登峰造極

-묵향 이후 화경, 현경, 생사경으로 경지가 완전히 정립되기 이전에 존재한 무공의 경지 가운데 하나. 삼화취정, 오기조원을 넘어선 경지라고 하며, 이 경지에 이르면 반박귀진처럼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게 된다. 달리 육식귀원이라고도 불린다.

현경의 경지에 속한다.

 

 

 

등평도수登萍渡水

-상승 경공의 하나. 물 위를 달리는 경공. 발을 중심으로 내공을 뿜어내어 수면을 튕기듯 달리는 것이기 때문에, 발을 멈추면 물에 빠지고 만다. 상위호환으로 무력답수無力踏水가 있다.

 

 

 

둔검鈍劍

-쾌검의 반대개념. 쾌검이 빠름을 극한으로 추구하는 검공이라면, 둔검은 그와 반대로 극한의 느림을 추구한다. 큰 개념을 따진다면 붕검崩劍, 중검重劍, 패검覇劍과 같은 강검强劍류에 들어간다. 환검을 필두로 하는 유검柔劍류와는 기조가 다르다.

공간을 제약하는 수준에 이르면 쾌검이 아무리 빠르게 공격해도 둔검의 방어에 막히고, 방어로 돌아서도 둔검의 공격에 의해 오히려 격파당하는 지경에 이른다.

단순히 느리기만 한 게 아니라, 경지에 이르면 공간을 지배권에 넣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도 특징. 다만, 현대무협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둔술遁術 

-일종의 위장술. 지형을 이용해서 자신의 모습을 감추거나 위장하여 들키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총칭한다. 물론 자주 등장하는 개념은 아니다. 설봉의 추혈객에서 등장한 개념.

 

 

 

둔전屯田

-군대가 진을 치고 밭을 경작하는 행위.

국가에서 재정 확보등을 목표로 계획적으로 사람들을 투입해서 땅을 경작하는 제도. 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군인들을 동원해 만드는 둔전이 유명하지만 군사적 목적이 아니어도 둔전이라 불린다. 이럴 경우 주로 민둔民屯이나 관둔官屯이라 불린다.

 

 

 

 

둔법遁法

-광둔光遁, 화둔火遁, 수둔水遁, 토둔土遁 등등 보통 무협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 주술에 해당하는 기예. 보통 등장하면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누군가를 소환하거나 멀리 돌려보내는 이동술법의 성향을 짙게 띈다.

토둔이나 지둔술의 경우 땅을 파고드는 수법을 칭하는 말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