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림아토믹 소개


1. 림아토믹개론 1장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imworld&no=86612&page=1

2. 림아토믹개론 2장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imworld&no=86690&page=1

3. 림아토믹개론 3장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imworld&no=86732

4. [정보] 림아토믹 방사능 관련 간단한 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imworld&no=97035



이번 글은 림아토믹의 원자로 운전과 배치에 대한 내 경험담을 풀어 볼려고 해. 입문자는 위의 선구자들의 글을 읽어야 이해가 될거야.



원자로의 출력


가장 먼저 해금되는 A형 원자로든 중형 고급형 X형, 대형 고급형 V형 원자로든 그 원자로의 출력은 연료봉의 종류, 갯수, 위치, 상태가 결정한다. 고로 같은 연료종류, 갯수, 배치, 상태라면 어떤 원자로든 출력은 동일하다.


- 간단한 현실 정보로 우라늄 핵분열은 연료인 우라늄이 스스로 붕괴하며 발생하는 중성자로 핵분열을 촉진해. 고로 단위 부피 당 우라늄의 양이 많을수록 열출력이 높아져. 뭐 감속재와 중성자 차폐 및 반사 등이 있지만 내가 전문가도 아니고 게임이니 넘어가자. 게임에서는 이 것을 연료봉의 삽입 위치로 간단하게 구현했어.


위의 같이 연료봉 5개가 삽입되어 있다면 가운데 연료봉이 최대 출력(빠른 우라늄 감소, 빠른 플루토늄 생성)가 되. 이때 우라늄 연료봉은 약 8,000w , MOX(플루토늄+열화우라늄) 연료봉은 약 10,000w의 최대 출력이 생산해. 그리고 주위의 연료봉들도 혼자 있을 때 보다 높은 출력을 생산하지.


그런데 왜 약으로 대충 표기 했나면 원자로를 가동시키는 순간부터 출력은 감소하며 100% 새 연료봉이라도 주위의 연료봉이 이미 쓰던 거라면 최대 출력이 조금 낮게 나와. 그리고 MOX 연료봉과 우라늄 연료봉을 붙여 놨다면 우라늄 연료봉의 출력이 약간 더 올라가. 마지막으로 원자로의 정 중앙으로 갈수록 최대 출력이 미세하게 높아지는 경향도 있어.

만약에 우라늄의 수급에 문제가 생겨서 그때 그때마다 교환하지 못했다면 두더지 게임 마냥 교체주기가 들쑥날쑥해져서 최대 출력을 맞춰줄 수 가 없어. 1개 때문에 재처리가 불가능한 수십 개의 위험하기 짝이 없는 사용한 연료봉을 꺼낸 다는 것 말도 안돼. 쌓아(스택 모드)두면 되겠지 란 마음 접어. 스택할려면 소수 1자리까지 표기되는 사용량을 맞춰야 하는데 그건... 상상만 해도 존나 귀찮을 것 같아. 방법도 모르고.


이런 이유 X형 원자로 우라늄 연료봉 풀 장전해서 운전해보니 대충 1분기(15일) 주기, 240~200 이하kw가 되더라. 아예 처음부터 모두 100%상태로 장전했으면 300kw 이상은 나올 것 같은데 성격이 급해서(...) 10개 정도만 넣고 그냥 시작해서 이런 출력 주기가 나왔어. 또 어느 갤 식구가 V형, MOX 풀 장전, 3기로 2000kw 가까이 생산한다고 전력 퍼먹는 모드 찾는 글이 있었어.




원자로 종류의 차이


공간을 차지하는 크기, 출력 등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플루토늄의 생산량이 고급형(X,V형)이 A형보다 2배다.


칼같이 재처리가 가능한 연료봉(50%미만... 인 듯, 50.00%를 본 적이 없어서....)을 뽑아보면 플루토늄 함량이 A형은 6.xxx, 고급형은 11.8xxx이상이야. 고로 풀루토늄 생산을 위해서는 당연히 고급형으로 가야겠지?




사용후 연료봉 재처리의 장점


김정은 놀이보다는 우라늄 소모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실질적인 장점이다.


처음에는 우라늄 밖에 없지만 고급형 원자로를 1년 이상 돌리게 되면 풍부한 플루토늄을 얻게 돼. MOX 연료봉은 플루토늄 20개, 기타 재료(열화우라늄 99개, 약간의 철, 은)로 제작 그런데 약 49.9x% 사용한 MOX 연료봉에는 플루토늄 22.xx개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 즉 소모되지 않고 오히려 증식한 것이지. 물론 마냥 mox로 버틸 수는 없어. 왜냐하면 열화 우라늄이 부족해지기 때문이야. 그러나 열화 우라늄은 우라늄 연료봉을 재처리하는 과정에서 왕창(49.x%의 우라늄 연료봉 12개를 처리하면 최소 1000개 이상의 생산된다.)생산되므 적절히 섞어 쓰면 그만이야.


김정은 놀이는 ICBM 1발 당 240개 씩 들어가니 왠지 아깝고... 그리고 원자력 열 발전기를 만들 수 도 있는데 문제는 그때는 이미 전력이 풍부하다 못해 미쳐 날뛰고 있으므로 의미가 없다...





원자로와 터빈 매칭


원자로가 1개 든 여러 개든 연결된 원자로들의 출력 합산량보다 터빈의 출력이 커야 한다. 만약 작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제우스 터빈이 토르 터빈보다 가장 좋은 점은 공간을 덜 차지한다는 것이야. 제우스가 설치하는 자원을 오지게 처먹지만 토르 터빈 10개 설치하는 것보다 싸고 작거든그리고 1개의 터빈에 여러 개의 원자로를 연결해 운전할 수 있어.



보다시피 X형, V형 원자로가 제우스 터빈1개와 함께 설치 모습이야. 이때 원자로 합산 출력은 600~800kw로 제우스 터빈의 1000kw에 비하면 아주 넉넉하지. 그리고 X형 원자로 바로 위에 공간이 비어 있지? 저기에 토르 터빈 2개가 있었어.


만약 원자로의 출력이 터빈 출력보다 높으면 어떻게 될까?



보다시피 멀쩡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단지 230kw의 넉넉한 원자로 출력을 모두 뽑아내지 못하고 토르 터빈의 최대 출력 100kw만 사용할 수 있어.





원자로와 냉각 설비 매칭


냉각 설비들의 총 용량이 원자로의 총 출력보다 커야 한다.

이것은 모든 설비(복수의 원자로, 복수의 터빈, 복수의 냉각 설비)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조건 하에 성립한다.





예를 들어 그냥 서로 연결해 둘 냉각 설비를 서로 분리하고 3개의 원자로를 구성한 경우야. 위와 같이 설치해 본 적이 없어서 뭐라고 대답을 못하겠다.



하여튼 넘어가서


어느 정도 작다면 긴급 정지로 무사히 넘어가지만 너무 작다면 정격 최대 온도(A형 315도, 고급형 375도) 이하로 냉각되는 속도보다 과열로 인한 내구도 피해가 더 빨라 원자로 터진다.


그리고 원자로의 온도와 방의 온도는 별개의 개념이다. 화재 예방을 위해서 원자로, 터빈이 있는 방은 지붕 일부 철거(터빈은 비 맞으면 파지직... 알지? PPC 1개 만 해도 6000wd야. 꼭 퓨즈 모드를 구비하도록...), 환풍구 등으로 온도를 어느 정 잡아 둘 것. 여름에 폭염 콤보 터지면 200도 주파할 수 있음.


각 냉 설비의 용량은 냉각탑은 250kw 고정, 수냉기는 최대 250kw, 방열기는 25kw의 용량을 가졌어. 계산해보면 250 혹은 25보다 0.1~0.2kw 정도 더 크지만 무시할 만한 수준이야.


수냉기의 경우


모드를 이용해서 바다 한가운데 설치한 경우


바닐라 상태로 해변에 설치한 경우


둘 다 같은 250kw로 계산됬어. 고로 굳이 수냉기는 모드까지 쓰며 물 한 가운데 올려둘 필요가 없어.


방열기는.... 솔직히 그냥 냉각탑을 추천할게. 굴 파고 들어갔다가 곤충에게 개쌉털려서...




터빈와 고압 변압기 매칭


터빈의 출력을 보고 200kw마다 고압 변압기(최대 용량이 200kw)를 늘리면 된다. 고압 변압기들의 총 용량이 작다면 터빈의 출력만 낭비될 뿐, 큰 문제가 없다.


제우스 터빈에 맞춘다고 고압 변압기 5개를 미리 설치할 필요가 없어. 터빈의 출력을 보고 대충 200, 400, 600, 800kw 씩 고압 변압기를 늘리면 돼. 변압기 폭발 인카운터가 있는데 이건 매우 빨리 진행되므로 막을 수가 없어. 괜히 림 보내지마.




이 꼴 보기 싫으면 꼭 변압기 마다 벽으로 서로 격리 시켜.




군수 산업 상선


숨은 OP 기능, 1000실버를 대가로 30일에 1번 씩 상선을 호출 할 수 있다. 상선은 호출 후 5일 지나서 도착한다.


림아토믹 연구대에서 무연선 전송이란 기능을 쓰면 아래의 스샷의 상선을 부를 수 있어. 기지 가치에 따라 상선 재산을 늘리는 모드를 쓰면 살벌한 수량의 화학연료, 부품, 고급 부품, 강철, 우라늄, 플라스틸을 볼 수 있지. 물론 은이 있어야 겠지만.









음... 야밤에 대충 후려치며 정리한 글은 여기 까지야. 혹시 이건 아니다, 라떼는 말이야, 등등 수정, 보충할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