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1321849735


아마 이 갤에서 눈팅좀 한 사람이라면 이 모드는 몰라도 위생모드 (Dubs Bad Hygiene)은 알고 있을텐데, 같은 제작자가 만든 모드임.

위생모드를 쓰는 림붕이라면 시스템이 비슷해서 별 어려움없이 바로 쓸 수 있겠지만, 모드질이 처음인 림린이한텐 쪼끔 헷갈릴만한 모드라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할께.




0. 림펠러모드가 대체 뭐냐?


- 맵 상에 석유라는 새로운 자원을 추가해서 이 석유를 가져다가 화학연료로 정제해서 바로 쓰거나, 초경조직, 합성원단 및 뉴트로아민 등을 제조하거나, 아예 플라스틸까지 직접 만들수 있음.



(특히 게임 내에서 최고의 천인 초경조직, 그리고 가장 귀한 건설재료인 플라스틸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 또한 전력 생산량이 끽해봐야 3000W언저리 밖에 안되는 바닐라 발전기와는 비교도 안되는 파워의 발전기를 2개 추가해주는데, 이 중 큰 놈은 무려 16000W라는 어마어마한 출력을 자랑해서 전력난을 크게 줄여줌.




제대로 설치했다면 연구탭을 누를경우 저렇게 Rimefeller라는 항목이 새롭게 추가된걸 볼 수 있다.





1. 석유는 어디있고 어떻게 뽑아내면 되나?


일단 뽑아내려면 석유가 어디있는지 파악부터 해야겠지?

그런데 그냥 눈에 보이는 강철, 부품 등의 자원과는 달리 림펠러 모드의 석유는 우선 Resource Console 이라는 건물을 지어야만 볼 수 있음.



우선 건설, 혹은 Architect 탭에서 Rimefeller 항목을 누른 뒤, 저기서 Resource Console을 지어주자.




그 후 석유를 뽑아낼 굴착기를 지어야 하는데, 일단 첫 연구를 마치면 1번 채굴기(Oil Well)만 해금이 된다. 2번은 심층 채굴기(Deep Oil Well)로 훨씬 더 많은 석유를 뽑아낼 수 있지만 대신 바닐라의 심층 굴착(Deep Drilling) 연구를 마쳐야만 연구가 가능함.


!!!주의!!!

그런데 이 굴착기를 아무대나 지으려하면 뻘건색으로 뜨면서 건설이 불가능하다고 할텐데, 이유는 석유가 있는 곳 위에만 건설이 가능하기 때문임.

어디 있냐고? 저 채굴기를 클릭하고 맵을 크게 보면




1번 Oil Well의 경우 맵 군데 군데 시커먼 반점들이 보이고, 2번 심층 채굴기는 거의 맵 절반을 가리는 검은 자국이 보일텐데 저게 바로 석유가 위치한 땅임.

채굴기는 저 위에만 건설이 가능하고,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Cap이라고 남은 기름량도 알려주니깐 참고.


그런데 기껏 신나게 연구했는데 Oil Well 지으려고 하니 매장지가 기지 밖에 있다? 우쩌겠음 2번 심층 굴착지 연구할때까지 림펠러는 봉인해둬야지.

아무튼 저거까지 만들었으면 이제 건물 3개만 더 지으면 됨.




그림이 좀 난잡해서 미안;;


1. 파란원 : Oil Well 즉 아까 만든 채굴기

2. 노란원 : 석유를 화학연료로 정제해주는 시설로 전력 소비량이 상당하니 기지의 형편에 맞게 출력을 조정해주자.

3. 초록원 : 채굴기가 뽑아낸 석유를 보관하는 탱크

4. 빨간원 : 정제한 화학연료를 보관하는 탱크




4개 다 만들었으면 마지막으로 파이프(Oil Pipeline)로 서로 연결해주면 끝임. 다만 석유는 그냥 전력만 제공하면 알아서 뽑아내는데 화학연료로 정제하는 건

아까 Resource Console 앞에 제작담당림이 앉아야만 할 수 있다는 점 주의.



!!!주의!!!

1. 당연하지만 기름이 든 시설인만큼 불 붙는 순간 바로 폭팔함. 위생모드 깔았으면 스프링클러를 주변에 도배하거나, 없으면 진화포말(Fire Foam)을 사방에 박아주자.


2. 채굴기는 건설했다고 그걸로 끝이 아니라 건설담당 림이 한동안 지하로 수송관을 박아줘야함. 시간이 좀 걸리긴 해도 그냥 놔두면 건설림이 알아서 하니깐 걱정ㄴ


3. 석유 탱크인지 화학연료 탱크인지 까먹었는데, 둘 중 하나가 가득 찬 상황이면 가끔 기름이 밖으로 흐르는 경우가 있음. 청소해주면 그만이지만 그래도 아까운 석유 낭비할 필요 없으니 보관탱크는 각각 2,3개 정도 지어주자.



파이프 박는 중이면 저렇게 현재 행동에 Supervising 어쩌구라고 뜬다. 여러명이 동시에 작업 가능하니깐 급하면 건설림 3,4마리 싹다 붙이면 됨.



2. 발전기는 어떻게 쓰면 되나?



그냥 건설탭에서 Chemfuel Powerplant(1번) 혹은 Large Chemfuel Powerplant(2번)를 저렇게 파이프로 연결해주면 끝.

큰놈이 출력이 16000이고 작은 놈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한 4천정도 되었던 것 같음.

이놈들은 석유가 아니라 정제된 화학연료를 소비한다는 점에 유의.





3. 각종 생산 시설은 어떻게 쓰면 되나?


일단 시설 자체는 위의 발전기랑 마찬가지로 파이프로 연결해주고, 바로 옆에 Refinery Unloading Bay라는 건물을 붙여주면 끝.

아까 설명한대로 뉴트로아민부터 Synthelene 이라는 일종의 원재료, 초경조직이나 합성원단 등 여러가지 있으니 가급적 큰 방에다가 건설해주면 편함.


(애네들은 작동을 안하는 상황이면 노란색으로 경고등이 들어오고, 작동 중이면 파란색으로 깜빡거림.)




그 후 아까 Resource Console을 눌러서 오른쪽 사진처럼 Product 항목에서 원하는 걸 눌러주고, 왼쪽 사진처럼 제작담당 림이 앉아있어주면 끝.

그냥 무한으로 해놓고 주구장창 뽑아도 문제 없으니 초경조직 연구가 끝나면 사실상 악마가닥은 그냥 버리면 됨.




마지막으로 조립 작업대를 눌러보면 저렇게 원안의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된 걸 볼 수 있는데


1. 빨간원 : 생산시설로 뽑아낼 수 있는 Synthelene이랑 강철을 소비해서 훨씬 더 적은 강철로 부품을 만들 수 있고

2. 초록원 : 우라늄, 플라스틸 만큼은 못해도 꽤 단단한 건설 및 제작재료인 Composite을 만들거나

3. 파란원 : 정제되지 않은 Uncured Plasteel, 즉 플라스틸을 만들 수 있음. 사실상 후반가면 다 필요없고 플라스틸만 주구장창 만들어도 ㅇㅋ.


이 중 Composite과 Uncured Plasteel은 저기서 만들었다고 끝이 아니라, 마지막으로 Autoclave라는 보라색 원안의 건물안에 넣어줘서 더욱 튼튼한

Composite 및 정제된 플라스틸로 만들어주자.



(플라스틸을 만들건지 Composite을 만들건지 저 별표친 버튼을 눌러서 정해줘야한다)


(Autoclave는 파이프로 연결해줄 필요 X. 정제하는데 시간도 엄청 오래걸리고, 한번에 정제 가능한 양도 적어도 후반엔 2,3개 정도 지어주는걸 추천.)



마지막으로 만약 그냥 화학연료 그 자체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저 사진의 Chemfuel Pump를 건설한다음 전원을 연결해주면 저렇게 통안의 연료를 뽑아다가

써먹을 수 있음. 뽑을 만큼 뽑고 전원스위치 내려주면 끝.


이 외에 Napalm이라는 가연성 재료 등등 몇가지 더 있긴 한데, 일단 이 정도만 알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니깐 여기까지만 설명할께.

귀찮다 싶으면 그냥 다 때려치고 발전기 & 플라스틸만 챙겨도 진짜 게임 쉬워지더라. 그럼 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