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한과(韓果 )>다.






위 사진은 보통 <약과(藥果)> 라는 이름으로 알고 있는 <유밀과(油蜜果)>다.


이름 그대로 '기름(油/유)'과 '꿀(蜜/밀)'로 만든 과자인데 재료를 살펴보자면, 오늘날에는 널리고 널렸지만 이전에는 생각외로 구하기 어려웠던 밀가루에 꿀과 술을 넣어서 반죽하고 그것을 틀판에 찍어 모양을 낸 뒤 기름에 구웠는데 그냥 기름이 아니라 무려 '참기름'에 구웠다. 그래서 현대 이전에는 상당한 고급 과자류에 속했다.


※ 한반도에서는 (오늘날도 그렇지만) 기후 특징 상, 밀 재배가 잘 되질 않아서 대부분 중국에서 비싼 값을 치르고 수입했다.


불교를 숭상하던 고려에서는 살생을 금했기 때문에 제사상에 약과를 흔히 올렸지만 유교를 숭상한 조선이 들어서자 비싼 재료를 소진하는 사치 음식이라는 이유로 약과 대신 과일을 올렸다. 참고로 고려 시기에는 '고려병(高麗餠)'이라는 이름으로 원나라에서 많이 소비된 과자류이기도 하다. 


이 과자 이름이 '약과'인 이유가 참기름이나 꿀은 모두 약재로도 쓰였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며, 지금 보편적으로 팔리는 약과는 싼 재료로 대충 찍어내듯 만들어 내기 때문에 맛이 별로지만, 수제로 만든 약과의 경우는 가격도 비싸지만 반죽 결마다 꿀이 배어들기 때문에 존맛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비싸고 고급진 과자에 속한 게 바로 <유과(油菓)>인데 멥쌀과 술을 섞어 빚어 반죽해 모양을 만들어 여러 날 말린 뒤 기름에 튀겨 조청을 묻힌 뒤 깨나 쌀가루 등을 굴려 만든 과자다. 


※ 설이나 추석에 주로 먹을 수 있는, 베어 물었을 때 속이 텅 빈 그 과자다.


일단 재료가 '쌀'이기 때문에 수입품인 밀가루를 사용한 약과에 비할 바는 아니나, 당시엔 일반 백성들도 쌀이 넉넉하던 시절이 아니었던데다 조청은 다른 게 아니라 쌀로 만드는 감미료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고오급 과자가 되버리는 것이다. 게다가 만드는 과정도 생각외로 복잡했다.


오늘날에는 만드는 과정이 간편화 되었기 때문에 흔히 볼 수 있지만, 레알 수제로 만든 유과와는 맛의 차이가 크다고 한다. 고려가 원나라의 속방이던 시절에 원나라 인들이 '마치 구름을 먹는 것 같다' 면서 제일 좋아라 하던 고려의 음식 중 하나였다고 한다. 











약과나 유밀과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것은 아니나, <다식(茶食)>의 경우도 고급 디저트에 속했는데 일단 만드는 재료 자체가 유밀과처럼 쌀가루와 꿀이었으며 그 이외에 땅콩이나 약초물 등을 반죽할 때 넣었기 때문에 특유의 향이 있다고 한다. 반죽한 것을 다식판이라는 틀에 넣고 문양을 찍었다.


맛은 꿀이 들어갔기 때문에 상당히 달달한 편에 속해 이름 그대로 차와 먹기에 딱 맞고, 약간 옅은 농도의 아메리카노와도 잘 맞는다고 한다. 가루들을 반죽한 거라 입에 넣으면 살짝 부서지는 느낌이 있다고. 


현대에 들어서 공장에서 찍어내기도 하는데 공장판 다식은 꿀이 아니라 설탕물로 반죽을 하기 때문에 식으면 무진장 딱딱해져서 먹기가 어렵다. 그래서 공장판 다식의 경우 너무 단데다 먹기 힘들기 때문에 안 먹고 버려지기 일수다.   












마지막으로 <정과(正果)>가 있는데 과일 같은 것을 설탕에 졸인 뒤, 그 위에 다시 설탕을 뿌려 만든 달디 단 과자다. 굳이 비슷한 걸 찾으라면 중국의 탕후루(糖葫蘆)와 비슷한데, 예전에는 설탕이라는 게 동남아와 류큐(오키나와), 일본 등을 통한 100% 수입산이었기 때문에 시작부터 끝까지 설탕이 들어간 정과는 무진장 비쌀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정과 중에 인삼을 설탕에 졸여서 만드는 <인삼정과(人蔘正果)>의 경우는 왕실에서도 자주 먹기 힘든 귀한 것이었다고 한다. 설탕 자체도 그렇지만 인삼은 자라는 것도 오래 걸리고 고려, 조선 시기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였던데다 중국에서 거의 독점하다시피 사들였기 때문에 왕실에서도 맘껏 먹을 수는 없었다고. 


 ※ 위 사진은 장식한 인삼정과.





==========================================================


정리: 한과의 경우, 당시엔 구하기 어려운 재료들(설탕, 밀가루, 쌀가루 등)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고급 디저트였으나, 오늘날에는 해당 재료들이 흔해진데다 싸구려 + 공장식으로 찍어서 만들어내기 때문에 맛이 없어져서 명절 선물을 제외하면 잘 안 찾아먹게 되는 디저트로 전락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