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가이드


- 5성 차일드는 일단 잠금하자.


- 전투 화면에서 좌측 상단 x2배속을 터치하면 최대 x3배속으로 만들 수 있다. 우측 상단의 AUTO SKILL을 터치하면 FULL AUTO로 만들 수 있으며 드라이브 스킬과 피버까지 자동으로 사용한다.


- 스킬 예약은 5칸 다 채우지 않아도 적용된다. 가령 슬라이드 스킬만 쓰고 싶은 차일드가 있으면, 그 차일드 스킬 예약칸 맨 첫칸에 S하나만 올려두면 된다. 차일드마다 적합한 스킬예약은 대부분 S지만 예외인 경우도 있으니 갤에다 물어보자.


- 전투 시작전에 파티를 한 칸 비우고 친구 차일드를 선택하면 시작부터 합류해서 싸울 수 있다. 일부러 파티 한 명을 죽이고 친구 차일드가 나오게끔 유도하는 것보단 이 방법이 안전하다. 단, 친구 차일드는 크리스탈 부활이나 차일드 부활로 부활시킬 수 없으므로 주의.


- 월드맵에서 전멸하고 크리스탈로 부활하면 시간 제한이 초기화된다. 이를 이용해서 딜부족으로 시간 제한에 막히면 일부러 전멸을 유도하고 크리스탈로 부활해서 시간을 초기화하는 방법도 있다.


- 뉴비때는 레벨업보단 어펙션이 스펙업 가성비가 좋기 때문에 성장형 차일드, 즉 슬라임들은 오닉스 추출하는 게 좋다. 단, 오르라밈과 코스밈은 제외.


- 막 시작한 뉴비라면 대략적인 조합(갤럼들한테 물어보자)이 만들어지고 어펙션을 할때 S 일직선까진 차일드 성능의 유무를 따지지 말고 번갈아 분산해서 투자하는 게 좋다. 너무 어펙션을 하나의 차일드에 몰빵하면 월드맵을 진행할때 반대로 어펙션이 안 된 차일드가 쉽게 픽픽 죽어 3별 클리어가 힘들어진다.


- 주력 차일드의 레벨업은 슬라임이나 다른 차일드를 먹이기보단 스테미너를 사용한 오토 전투로 충당하는 게 좋다. 매일 오후 7~9시에 경험치 2배 핫타임을 진행하니 꼭 알아두자.


- 추천하는 오토 사냥터는, 월드보스와 함께 이벤트성으로 가끔 열리는 스토리 던전이다. 난이도도 무척 쉽고 경험치 효율도 괜찮은 편이라 스토리 던전이 열려있을 동안엔 뉴비들의 운신이 편해진다.

만약 스토리 던전이 열려있지 않을 경우 월드맵 1챕터 6장 2번째 던전 1번째 구역(통칭 621) 하드를 이용해야 되지만 효율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3챕터까지 스토리를 밀고 3챕터에 있는 111 하드를 이용하는 게 좋다. 혹은 2챕터 5장에 있는 인터미션 142하드도 괜찮다.


- 신규 계정 이벤트인 데빌 페스타의 경우 계정 생성하고 7일이 지나면 무조건 사라지기 때문에, 하루라도 빼먹지 말고 접속해야 상아를 얻을 수 있다. 상아는 이 게임 적폐 중의 적폐 캐릭터이므로 꼭 얻는 게 좋다.


- 5성 차일드를 6성 차일드로 진화시킬때 태생 5성 차일드를 쓸 필요도 없고 써서도 안 된다. 4성 차일드를 만렙찍고 5성으로 진화시키면 진화재료로 대체할 수 있다. 뉴비라면 초반 진화는 신중하게 선택하는 게 좋다. 처음에 주는 오르라밈, 사실 특정 이벤트가 아닌 이상에야 거의 안 나온다.


- 오닉스 추출창으로 들어가 좌측 하단에 '선택불가 차일드 숨기기'를 터치해서 해제하고 재료로 쓰려는 데 보이지 않는 차일드를 찾아보면 하단에 노란 글씨로 선택불가 사유가 적혀있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 진화하는데 소모되는 진화 보석은 뉴비때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던전 상점과 럼블 상점에 자주 들려서 진화 보석이 눈에 보인다면 사두는 게 좋다. 주로 2성 보석과 4,5성 보석이 많이 부족하다. 여유가 된다면 상점칸을 2째줄 정도까지 뚫어놓자.


- 밤세계 탐험으로 크리스탈을 수급하는 방법이 있다. 5군데 스팟이 모두 열렸을때 기준으로 2성 차일드를 5마리씩 5군데 집어넣고 12시간 6시간 1시간 동안 탐험을 보내면 만렙이 된다. 2성 이상의 차일드의 경우 만렙을 찍을 때마다 그 만렙에 해당하는 크리스탈을 우편함으로 받을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19시간마다 500크리스탈씩 수급 가능하다. 귀찮으면 12시간 2번해도 된다.


- 일일퀘스트의 크리스탈 사용하기의 최소 단위 사용 방법은, 월드맵에서 파티 전멸 후 부활하기(20크리스탈)이다. 귀찮다면 밤세계 상점에 있는 스테미너/골드탭에 들어가 27크리스탈로 3000골드를 사면 된다.


- 지갑을 제외한 가장 효율적인 스테미너 수급 방법은 골드상자를 까는 거다. 메인화면 죄측에 있는 보물상자에 들어가 왼쪽의 골드 보물상자 11회 연속열기를 이용하면 된다. 대략 100만 골드당 800~1000 가량의 스테미너를 얻는다. 덧붙여 오른쪽의 크리스탈 보물상자는 절대 크리스탈을 사용해 열면 안 된다.


- 언더그라운드 극은 6성 이상의 차일드만이 입장할 수 있다. 6성 차일드가 없거나 적다면 언더그라운드 극이 열려도 절대 들어가지 말자.


- 언더그라운드는 전투 진행중에 불리한 상황에 처할 경우 빠르게 전투를 포기하고 나가는 게 좋다. 재전투시에 차일드 상태가 처음으로 돌아와 다시 싸울 수 있다.


- 5성 무기, 방어구에는 강화할 때마다 높아지는 히든 스탯이 존재한다. 5A 15강 기준, 장비에 적힌 스탯을 제외한 나머지 스탯이 935씩 늘어난다. 등급이 높을수록 히든 스탯의 수치가 높기 때문에 무기와 방어구는 5A와 5B 사이의 격차가 큰 편이다.


- 좋지 않은 5성 장비의 보편적인 처리 방법은 골드로 판매하는 것이다. 5성 무기, 방어구 B급 이하라면 안심하고 골드로 바꿔먹으면 된다. 단, 악세사리는 제외. 악세사리는 B이하 중에서도 쓰는 경우가 있음으로 주의.

5성 A 장비의 우열 구분은 갤럼들한테 물어보거나 공략을 보자.


- 수집 이벤트 중에서 수집 아이템을 소모하는 것이 아닌 갯수를 카운트하는 형식의 이벤트가 있다. 이 경우 수집 아이템을 소모하더라도 카운트된 갯수는 줄어들지 않으므로 골드가 급하면 팔아서 이용할 수 있다. 주로 하나당 1만 골드씩 한다.

물론 모든 수집품이 그런 것은 아니니까 주의. 팔기 전에 한번씩 물어보자.


- 소울카르타는 같은 카르타라도 일반 카르타와 프리즘 카르타로 나뉜다. 프리즘 카르타가 일반 카르타보다 0.5 한계돌파 정도로 수치가 더 높다. 때문에 일반 카르타를 사용할때 한계돌파 수치를 4까지만 하고 1을 남겨두다가 프리즘 카르타가 나오면 프리즘 카르타에 일반 카르타를 먹여서 한계돌파 5 프리즘 카르타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이럴 경우 일반 카르타에 쌓은 강화 레벨은 초기화 되므로 주의.

프리즘 카르타가 얻기 어려운 편이기에, 정말 좋은 카르타라서 여러장 구비할만한 경우 처음 일반카르타를 그냥 5한계돌파까지 만들고 맘 놓고 강화한 다음 프리즘 카르타가 나오면 다시 처음부터 한계돌파와 강화를 쌓아서 2장 이상 쓰는 경우도 많다.

강화와 한계돌파가 우선시되는 소울카르타가 뭔지는 갤럼들한테 물어보거나 따로 공략을 보자.


- 온천에 처음 입장할때 받는 온천 스킨은 무조건 태생 5성 중에서 꼴리는 캐릭터로 받자.


- 온천 상점에서는 수건을 사는 게 좋다. 온천 꾸미기 장식도 마음에 드는 게 있다면 사자.


- 환생관의 소환 가능한 차일드 목록은 바꿀 수 있다. 그리고 꼭 바꿔야 한다. 디폴트값으로 설정된 차일드가 한둘 빼곤 전부 구리니까 그대로 쓰지 말자. 환생관은 꼭 소혼술만 사용하고 소혼술도 가끔씩 하는 소혼술 마일리지 2배 이벤트를 제외하고선 건드리지 않는 걸 추천한다.

무슨 차일드로 소환 가능한 차일드 목록을 꾸릴지는 갤럼들한테 물어보자.


- 밤세계 스칼렛샵은 들어가면 안 된다. 들어가더라도 절대 사지는 말자. 죄다 씹창렬 상품이다.


- 데빌패스를 블러드젬으로 뚫어서는 안 된다. 단, 자신이 과금상품인 아크데빌패스를 구매했는데 알고 보니 데빌패스 종료일이 가까워서 도저히 포인트로 마지막까지 뚫기 힘들다 싶으면 사용해도 된다.


- 이그니션 코어(증폭석)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는 무조건 태생 5성이므로 꼭 주의해야한다. 재료로 이 차일드를 써도 되는지 꼭 갤럼한테 물어보자.


- 이그니션은 3성 차일드의 경우 코어 1개 + 같은 속성 3성 차일드 5마리 소모해서 풀이그니션 할 수 있다. 죽여주는 가성비 때문에 첫 이그니션은 대부분 3성 다비를 추천하는 편이다.


- 이그니션은 맨 처음 박는 코어만 능력치를 좌우하고 그 아래로 박는 코어들은 능력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때문에 가장 처음 박는 코어를 신중하게 선택해야한다.

단, 처음 코어를 하나 박는다고해서 그 코어가 가진 능력치가 단번에 늘어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첫 코어의 능력치 종류를 기반으로 이그니션을 진행할 때마다 능력치가 오르고 스킬이 변화하는 것이므로 단순히 하나 박는다고 바로 쌔진다는 생각으로 이그니션하진 말자.

몇몇 가성비 차일드를 제외하고선 대부분의 차일드가 풀이그니션해야 투자값을 하므로 굳이 5성 이그니션을 한다면 미리 코어를 12개 만들고 그중에서 가장 좋은 코어를 메인으로 삼는 방법이 좋다.


- 5성 이그니션의 경우 코어가 12개 + 같은 속성 5성 차일드 5마리를 소모해야 풀이그니션 할 수 있다. 때문에 처음 어떤 차일드에 이그니션할지 상정하고 코어를 만들때 그 차일드의 속성은 꼭 피해서 만들어야 중간열 뚫을때 해당 속성 차일드를 코어로 괜히 만들었다고 후회하지 않을 수 있다.


- 세공은 세공 확률 3배 이벤트를 가끔씩 하기 때문에 그때만 하는 게 좋다. 덧붙여 세공 도구를 세공석으로 바꿀 때 드는 비용의 할인 이벤트, 세공 옵션을 다른 장비에 옮길 때 소모되는 세공석의 할인 이벤트 등도 있다.


- 세공 첫 입문자라면 무조건 2열부터 하는 게 좋다.


- 듀얼은 일주일 안에 세 구역을 각각 10번씩 전투하면 월요일날 최소 3천 크리스탈 750크리스탈을 수급할 수 있음으로 대충이라도 차일드를 쑤셔박고 돌리는 게 좋다.


- 월드보스나 레이드 혹은 다소 어려운 환경의 전투에선 배속을 줄이고 소리를 다 끄면 잔렉이 사라지고 오토시 차일드가 멍 때리는 행동이 줄어 수월해질 수 있다. 단, 앱등이 최신폰의 경우엔 워낙 최적화가 잘 되서 거의 상관 없는 얘기다.




쓰다가 귀찮아서 대충 여기까지.


(수정) 듀얼부분

- 럼블 최소 크리스탈이 1천 크리스탈이라 듀얼도 했갈렸네 ㅈ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