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조형




수면의 나이아스

수속성 전용 양날의 검.

양날의 검 답게 높은 공격력 증가 수치를 지녔지만 반대급부로 방어력 절반이 훅 날아간다. 그나마 광암 속성처럼 약점 부담 때문에 레이드에서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하필이면 레이드에서 더 유용하게 쓸 수 있게끔 스킬셋이 짜여진 사실상의 상위호환인 레오 때문에 빛이 바래진 느낌.

월드보스에서도 이점은 거의 없는데, 버프 대상이 5명으로 레오보다 많긴 하지만 어차피 월드보스에서 쓰는 공격형은 대체로 3명이라서 허울만 좋은 꼴. 그나마, 레오의 유틸이 크게 필요 없는 패턴의 월드 보스라면 순수하게 한계돌파에 따른 양날의 검 수치만 비교해서 쓰기 때문에 채용 가능성이 살짝 생긴다.

노멀 스킬의 경우 수동 조작시 피버 직전에만 양날을 사용하고 그전에 쓰는 용도인데, 상아를 사용하는 덱이면 아무런 의미도 없으며 아네모네 단독 가속덱 정도라면 그나마 쓸만한 정도.


이그니션 : 양날의 검 버프 지속 시간이 4초 증가한다. 레오는 이그니션해도 양날의 검 지속시간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차별점이라면 차별점.


추천 스킬 예약 : S / 다른 공격력 증가 드라이브에 비해 수치가 좀 빈다. 레이드에서 마땅한 공격력 증가 드라이브가 없을 때 드라이브 지정.


총평가 : 속성 월드보스용 양날의 검 버퍼. 레오와 동일 한계돌파 수치라면 밀린다. 화속성 레이드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스팩과 패턴이 받쳐줘야 하고 무엇보다 레오가 있으면 양날 수치가 나이아스가 좀 높더라도 레오를 쓰는 게 안정적이다.




양지의 상아

범용 가속.

스킬 게이지 충전량 증가와 함께 쿨타임 감소 2초를 부여한다.

그것도 지속시간이 무려 3턴이다.

3턴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대략 1분이 안 되는 시간인데, 당연히 가속 버프 중에선 제일 긴 지속 시간을 갖고 있다. 보조형 차일드가 슬라이드를 올리고 다시 쓰게 되기까지 약 16초 정도 걸리니까, 결국 지속 시간 낭비가 아닌가 생각하겠지만 상아는 노멀 스킬도 절륜하다.

슬라이드의 긴 지속시간을 이용해 버프를 걸어놓고 끝날 때까지 노멀 스킬로 스킬 게이지 완전충전을 계속 때려 넣으면, 단순히 수치로 따질 수 없는 가속 성능을 자랑한다.

여기에 화룡점정을 찍는 것이 쿨타임 감소 2. 아무리 가속 수치가 높아도 차일드가 쿨타임 상태는 공평하게 영향을 발휘 못하는데, 상아는 이러한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유닛 버프를 이용해서 추가로 쿨타임을 줄이면 공격형의 경우 쿨타임을 고작 4초 정도로 만들 만큼 슬라이드 스킬과 노멀 스킬과의 간극을 확 줄여버린다.

스킬셋 하나하나가 절묘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완벽한 메커니즘을 지닌 차일드.

유일하게 아쉬운 점은 리더 버프다.


이그니션 : 수치 정도만 조금씩 오른다. 그래도 상아만한 안전 자산이 드물어서 이그니션한 상아는 자주 보이는 편. 그래도 뉴비라면 범용성있는 딜러부터 해주자.


추천 스킬 예약 : SNNN / 유용한 CC 드라이브로 어디든 쓸만하다. 드라이브 스킬 게이지 증가 덕분에 레이드에서 피버 직전 드라이브를 제외한 중간 단계 드라이브로도 효과적이다. , 리버스 라비린스 고층에서 피해 반사 무시 딜러 없이 CC 위주 덱을 꾸린 경우, 피버를 최대한 늦게 봐야해서 쓰지 않는 게 좋다.


총평가 : 범용 가속. 충전량 가속 계열. 단일 속성 럼블 덱에서의 면역 등 유틸 때문에 다른 가속을 쓰거나, 레이드에서 공버프와 가속을 압축한 버퍼 때문에 자리가 밀리기도 하지만, 그런 특정 컨텐츠 특화를 상대로도 티어 차이가 명확하게 난 적은 거의 없었다. 사실상 이 게임 모든 차일드 중에서 범용성이 가장 좋다고 봐도 무방. 리더 버프 하나만 아쉽다.




환생 버들도령

중독 + 지속 힐러.

보조형이지만 버퍼보단 힐러 같은 스킬셋을 갖고 있다. 회복형의 쿨타임과 지속시간이 워낙 길다보니 예전에는 레다 같은 보조형 힐러가 더 우대 받던 시절이 있었는데, 버들도령은 그때 메타를 기반해서 출시됐다.

문제는, 버들도령 출시 직전과 이후부터 회복형 차일드들이 디메리트를 감수하고도 쓸만할 만큼 힐량과 유틸이 개편되어 반대로 버들도령은 쓸 이유가 없었다는 것.

그나마 최근 월드 보스에서의 버티기 패턴에 대한 중독의 재평가로 인해 숨통이 조금 트였다.

중독 때문에 이브나, 바리 같은 공격형 딜러를 넣기엔 스노우 미쿠의 버프 타겟팅이 튀어버리고, 루인을 넣기엔 평소 공무원들로 딱 맞아 떨어지던 에포나의 목속성 5인 가속에 랜덤성이 생겨서 문제. 결국 버들도령이 월드보스에서 쓰는 중독 디버퍼로는 가장 쓸만하다.


이그니션 : 보조형이지만 힐러인데 힐러 취급은 안 해주는 건지 2인 지속 힐 타겟팅 힐러 중에서 유일하게 타겟팅이 늘어나지 않는다. 그밖에 변화도 미미한 수준.

추천 스킬 예약 : S / 유지력이 모자랄 때 드라이브를 섞어주는 것도 괜찮다. 애초에 유지력이 딸리는 이유가 버들도령 때문이겠지만. 레이드, 월드보스 제외.


총평가 : 애매한 범용 힐러. 월드보스 버티기 패턴 저격용.




여름의 아네모네

스킬 공격력 증가 버프와 가속의 압축.

상아가 없을 때는 일반 컨텐츠에서 범용 가속으로도 쓸 수 있으며스킬 게이지 충전속도 증가이기 때문에 충전량 증가인 상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큰 이점이다.

스킬 공격력 증가 버프는 표기 대미지를 증가시키는 버프라 다른 버프에 비해 효율 자체는 낮지만표기 대미지가 공격력 버프에 의해 변동 되는 퍼댐 딜러들과는 굉장히 호궁합수치 자체도 높아서월드보스에서 가속이 광청비와 겹치더라도 베르들레보단 아네모네를 더 사용하는 이유가 된다.

물론 레이드에서 실전성도 우수한 편버프를 최대한 욱여넣을때 상아 대신 단독 가속으로 쓰는 경우도 제법 많다.

노멀 스킬의 2인 힐은 겉보기엔 의미 없어 보이지만스펙만 된다면 아네모네의 탭힐만 믿고 힐러 자리를 아예 빼버리고 사용하는 극한의 덱압축을 보여줄 수 있다깊은 계곡의 함정 소울카르타를 이용하면 실용성이 괜찮은 전략이다.

드라이브의 공격력 증가 버프 역시 준수한 편이고리더 버프는 가속이 아니라 범용성은 떨어지지만 데이노보다도 높은 약점 공격력 수치를 갖고 있다.


이그니션 드라이브의 공격력 증가 버프가 180%가 된다최근 드라이브에 달린 공격력 증가 계열 버프가 죄다 180으로 나오고 있어서 150으로는 아쉬운 감이 없잖아 있었는데이그니션으로 해결할 수 있다다만사용하는 재화를 생각하면 가성비가 좋은 투자는 결코 못 된다.


추천 스킬 예약 : SN(노힐덱이나 파티 유지력이 부족할시) or S / 레이드나 월드보스에서 드라이브 지정.


총평가 레이드월드보스 스킬 공격력 증가 버퍼 겸 충전 속도 가속레이드 노힐덱 힐러애매한 범용 가속. 비레이드 컨텐츠에서는 다른 5성 가속보다 유틸이 부족해서 애매한 경향이 있다물론 4성 가속보다는 훨씬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