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베스

포모나의 상태이상 면역 매커니즘에 힐 대신 해로운 효과 피해 보호막을 달고 있다. 포모나보다 대상은 한 명 많지만 횟수제 면역 주재에 베르들레마냥 확률에 따라 면역이 주어지는 거라 생각보다 디버프 대처 능력이 크게 뛰어난 편은 아니다.

대신 면역 뒤에 스킬 게이지를 일정량 충전시켜 주는데, 면역에 지워진 디버프가 스킬 게이지가 초기화되는 무력화 계열 디버프라면 쏠쏠하게 괜찮다. 도트딜 같은 디버프라면 여타 스킬 게이지량 증가와 같이 '쿨타임일 때는 아무런 효력도 없다'는 단점을 답습한다.

해로운 효과 보호막은 대표적으로 도트딜 같은 해로운 효과에 의한 대미지 막는 보호막인데, 베스의 해로운 효과 보호막은 수치가 너무 낮아서 애매하다.


이그니션 : 이그니션 포모나와 동일하게 슬라이드의 면역이 해로운 효과가 걸린 아군이 있을시에만 발동되지 않고 상시 발동된다. 대신 무작위. 스킬 게이지 일정량 충전이 꽤나 오르지만, 단점의 한계가 명확해서 역시 별로다.


추천 스킬 예약 : S / 드라이브 지정할 필요 없음. 뉴비들이 월드맵 후반부처럼 깡딜이 쌘 곳에서 생존용으로 쓰는 정도.


총평가 : 애매한 상태이상 대처 수단. 월드맵 후반부 히드라나 바벨 같은 위협적인 디버프에 대처할때 뉴비가 쓰는 정도. 물론 포모나처럼 유용하지 않고 면역 능력도 베르들레만 못 하다.



라쿤

케모노 프렌즈2 콜라보 차일드. 지금은 얻을 수 없다.

HP가 낮은 아군 3인에게 불사, 말 그대로 죽지 않게 만드는데 지속 시간이 무려 14초다.

5성 방어형 차일드의 슬라이드 쿨타임이 7초인 걸 생각하면 가속만 받으면 아군의 불사 상태를 계속 유지 시킨는 뜻. 굉장히 파격적인 효과다.

다만 불사가 확률제 버프라 걸리지 않을 때도 있으며, 라쿤 본인이 CC에 걸리거나 보호효과 폭발이라는 카운터 스킬이 있기 때문에 꼭 유지된다고 보긴 힘들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호 계열 버프 중에선 무적과 더불어 가장 좋으며 특히 피버 대처 능력은 무적 이상이라 듀얼에서 굉장히 애용된다.

보호막 증가는 아군이 불사 상태에서 피 1로 버틸때 불사가 풀리자마자 약한 대미지로 어이 없이 죽지 않게 해주며 쏠쏠하게 도움 된다.

라쿤의 다른 장점 중 하나라면 오토 AI 수준으로, 주 사용처인 럼블이나 듀얼이 스킬 예약이 통하지 않으므로 상당히 중요한 장점이다. 노멀 스킬을 쓰는 경우는 아예 없다시피 하고 슬라이드만 곧잘 올린다.


이그니션 : 하면 안 된다. 하더라도 별 2칸 까지만 해주는 것을 추천. 그 이상 이그니션시 노멀 스킬의 회복 때문에 오토 AI가 이전처럼 슬라이드만 올리지 않고 HP가 낮은 아군이 있으면 탭힐만 주구장창 써제낀다. 이그니션을 하면 오히려 하향 되는 희귀한 사례.


추천 스킬 예약 : S / 드라이브 지정할 필요 없음.


총평가 : 럼블 및 듀얼용 불사 탱커. 최근 메타를 선도하는 버프답게 PVP에서 강세를 보인다. 스펙이 딸리는 뉴비라면 월드맵 후반부에서 의외로 유용한 편이다.



오만한 파크헤트

라쿤과 똑같은 사양의 불사 버퍼지만 보호막 대신 PVP 한정 해로운 효과 해제가 달려있다.

애초에 주 사용처가 PVP다보니 보호막보단 해로운 효과 해제가 더 쏠쏠하게 도움이 되는 편. 대신 노멀 스킬 때문에 라쿤만큼 스킬 오토 AI가 칼같지는 않다. 그렇다고 탭 장인은 아니고, 적당히 슬라이드를 잘 올린다.

럼블에선 라쿤과 경쟁하지만 듀얼에선 둘 다 같이 쓰는 게 보편화되서 듀얼 유저들 뒷목을 잡게 만든다.


이그니션 : 라쿤과 차별되는 가장 큰 장점. 라쿤과 달리 이그니션해도 오토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크게 바뀌는 건 아니고 해로운 효과 해제 타겟팅이 한명 늘어나는 소소한 변화지만, 코어 능력치를 제대로 쓸 수 있는 것 자체만으로 듀얼 상위권 유저에게는 좋다. 반대로 듀얼에 관심 없는 유저라면 후순위.


추천 스킬 예약 : S / 드라이브 지정할 필요 없음.


총평가 : 럼블 및 듀얼용 불사 탱커. 최근 메타를 선도하는 버프답게 PVP에서 강세를 보인다. 스펙이 딸리는 뉴비라면 월드맵 후반부에서 의외로 유용한 편이지만 라쿤의 보호막에 비해 아무런 유틸도 없어서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