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city/90559945 이글을 참고 하도록


일단은 내가 최대한 찾은 거만 올린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15830&cid=57625&categoryId=57644 예시를 올린다 광복 이후 군면리 대폐합 까지 변동을 참고 하고 글을 읽어 보도록


https://www.chuncheon.go.kr/cityhall/about-chuncheon/introduction/administrative-map/city/


七. 화천군(華川郡)


ㄴ. 사북면(史北面) 가일리(佳日里)와 송암리(松岩里)를 병합하여 가일리(佳日里)로 변경한다.


이 지도로 설명이 안 해도 이해가 가능하다



현재 위치: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https://www.yanggu.go.kr/user_sub.php?gid=www&mu_idx=203


八. 양구군(楊口郡)


ㄱ. 양구면(楊口面) 학조리(鶴鳥里)를 분리하여 학조리(鶴鳥里)와 공리(恭里)로 하고 상리(上里)를 분리하여 상일리(上一里)와 상이리(上二里)로 하고 월명리(月明里)를 분리하여 월명리(月明里)와 신당리(新堂里)로 변경한다.


1. 양구면(楊口面) 학조리(鶴鳥里)를 분리하여 학조리(鶴鳥里)와 공리(恭里)로 하고는 일단 예시에 본 글처럼 나의 뇌피셜로 설명하자면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에 소련 군정이 행정 구역을 개편할 당시에 공리를 학조리로 편입하다가 북한 당국이 다시 분리한 것 같음


2. 월명리(月明里)를 분리하여 월명리(月明里)와 신당리(新堂里)로 변경한다. 신당리로 추정하는 지명을 찾을 수가 없음



현재 위치: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ㄷ. 해안면(海安面) 후리(後里)를 분리하여 후리(後里)와 월산리(月山里)로 하고 만대리(萬垈里)을 분리하여 만대리(萬垈里)와 봉수리(烽燧里)로 변경한다.


1. 해안면(海安面) 후리(後里)를 분리하여 후리(後里)와 월산리(月山里)로 하고는 이하 광복 이후로 소련 군정이 편입하고 다시 분리한 것으로 보고 있음


2. 만대리(萬垈里)을 분리하여 만대리(萬垈里)와 봉수리(烽燧里)로 변경한다. 못 찾음



ㄹ. 동면(東面) 팔랑리(八郞里)를 분리하여 팔랑리(八郞里)와 석화리(石花里)로 변경한다. 카카오 맵에서 팔랑리 검색하면 석화교라는 작은 다리가 있는데 아마도 팔랑리 일부를 분리할 때 팔랑리 남부를 석화리(石花里)를 변경한 것 같음



ㅁ.  남면(南面) 금산리(金山里)를 분리하여 금산일리(金山一里)와 금산이리(金山 二里)로 변경한다. 못 찾음


https://www.inje.go.kr/portal/inje-news/inje/district


九. 린제군(隣蹄郡)


ㄱ. 북면(北面) 원통리(元通里)를 분리하여 원통리(元通里)와 관평리(關坪里)로 하고 월학리(月鶴里)를 분리하여 월학리(月鶴里)와 송사리(松沙里)로 하고 한계리(寒溪里)를 분리하여 한계리(寒溪里)와 풍교리(豊橋里)로 하고 룡대리(龍垈里)를 분리하여 룡대리(龍垈里)와 가평리(柯坪里)로 변경한다.


1. 북면(北面) 원통리(元通里)를 분리하여 원통리(元通里)와 관평리(關坪里)로 하고는 일단은 지금이랑 많이 달라서 몰랐는데 아마도 원통리에 관벌 지역이 대한민국 영토 수복 이후에 한계리로 넘어간 거 같은데 그 시기는 나도 모름



2. 월학리(月鶴里)를 분리하여 월학리(月鶴里)와 송사리(松沙里)로 하고는 이건 나도 모르겠음 송사라는 추정 하는 것이 어떤 것으로 추정 해야 하는지 모르겠음



3. 한계리(寒溪里)를 분리하여 한계리(寒溪里)와 풍교리(豊橋里)로 하고 못 찾음


4. 룡대리(龍垈里)를 분리하여 룡대리(龍垈里)와 가평리(柯坪里)로 변경한다. 저 거대한 용대리가 가평리로 분리하고 수복한 뒤에 원상 복귀함



10. 고성군 (高城郡)


ㄹ. 수동면(水洞面) 외면리(外沔里)를 분리하여 외면리(外沔里)와 불당리(佛堂里)로 하고 사비리(沙飛里)를 분리하여 사비리(沙飛里)와 월전리(月田里)로 하고 고미성리(姑味城里)를 분리하여 고미성리(姑味城里)와 원대리(院垈里)로 하고 신탄리(新炭里)를 분리하여 신탄리(新炭里)와 하탄리(下炭里)로 변경한다. -최전방이라서 자료가 없음


ㅁ.  현내면(縣內面) 마달리(馬達里)를 분리하여 마직리(馬直里)와 건달리(乾達里)로 하고 죽정리(竹亭里)를 분리하여 모정리(茅亭里)와 중평리(仲坪里)로 변경한다.


1.  현내면(縣內面) 마달리(馬達里)를 분리하여 마직리(馬直里)와 건달리(乾達里)로 하고는 자료가 없음


2. 죽정리(竹亭里)를 분리하여 모정리(茅亭里)와 중평리(仲坪里)로 변경한다. 아마도 죽정리를 분리할 때 남으로는 중평리로 북으로 모정리로 분할 한 거 같음 수복 시 죽정리로 원상 복귀함



ㅂ. 거진면(巨津面) 초계리(草溪里)를 분리하여 초계리(草溪里)와 오정리(梧亭里)로 변경한다. 이것도 광복 이후 통합 후 다시 분리



현재 위치: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ㅅ. 간성면(杆城面) 동호리(東湖里)를 분리하여 선평리(仙坪里)와 룡호리(龍湖里)로 하고 광산리(廣山里)를 분리하여 만산리(晩山里)와 부동리(釜洞里)로 하고 해상리(海上里)를 분리하여 해상리(海上里)와 팔음리(八音里)로 하고 선유실리(仙遊室里)와 탑동리(塔洞里)를 병합하여 탑동리(塔洞里)로 변경한다.


1. 간성면(杆城面) 동호리(東湖里)를 분리하여 선평리(仙坪里)와 룡호리(龍湖里)로 하고 자료가 없음


2. 광산리(廣山里)를 분리하여 만산리(晩山里)와 부동리(釜洞里)로 하고 해상리(海上里)를 분리하여 이건 북한 당국이 광산리 분리한 후 수복 시 원상 복귀함



3. 해상리(海上里)와 팔음리(八音里)로 하고는 북한 당국이 분리할 당시에 남으로는 해상리로 북으로는 팔음리로 분할 한 뒤에 수복 시 원상 복귀함



4. 선유실리(仙遊室里)와 탑동리(塔洞里)를 병합하여 탑동리(塔洞里)로 변경한다. 이건 북한 당국이 선유실리가 탑동리로 편입 하고 수복 시 원상 복귀함



현재 위치: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찾아보면 광복 이후에 변경한 지명이 있고 1949년 10월 24일에 개편한 지명도 있으면 그 뒤에 휴전 이후에 변경한 것도 있음 참 수복 지구는 변동 아주 심한 것 같아 저 당시 사는 사람들은 혼란 시기에 지명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지 일제의 신민(臣民)에서 북한의 인민(人民)으로 유엔의 주민(住民)으로 한국의 국민(國民)으로 변하면서 땅의 뿌리와 이름이 많은 변화가 저 당시에 혼란 시기를 말하는 것 같음 평화가 깃들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