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집편

빙룡편                        트리톤편

코헤이편                     초코 불가사리편

호드편                        우르편
호라이즌편                  둠브링어편

뽀삐이오편                  프리가편

시라유리 화속편           샬럿 아르망편

미호 기간테스편           천아편
시티가드편                  엔젤 타이런트편

골타리온편                  에밀리편

발할라편                    스카이나이츠편


    외전 - 프리렌서편       외전 - 승급요원편



이 공략은 덱들이 굴러가는 원리를 설명하는 공략임.

라붕이들이 덱들이 돌아가는 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응용하게 하는것이 공략의 최종 목표임.

덱들은 변소를 기준으로 함.

원리만 설명하기 때문에 템셋팅, 스탯은 다른 공략을 찾는게 좋음.

그 이유는 층마다 필요한 장비, 스탯이 조금씩 변동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임.


오늘 다뤄볼 덱은 엘븐덱이다.

의외로 엘븐덱의 역사는 꽤 오래됬다.

세레스티아가 출시 되면서, 엘븐과 닼븐이 승급과 전용장비를 받았고, 이를 영전에서 굴리고자 만들었던 것이 엘븐덱의 시초다.

그 이전까지는 다크 엘븐은 쓰일 곳이 거의 없었고, 엘븐은 이벤트 재화런이나 거지런용으로 주로 썼었다.

단, 세레스티아가 약간은 엉성한 두자매를 업고가는 것이나 다름 없었고, 엘븐의 탱킹이 애매하 사실상 투탱채제로 쓰거나, 아에 엘븐을 빼버리고 다크엘븐만 쓰거나 했었다.

때문에 영전에서도 얼마 안가 자취를 감췄었다.

그리고 지금, 세크메트가 나오면서 다시 한번 덱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나사빠진 엘븐과 딜은 좋은데 유틸이 떨어지는 다크 엘븐, 보호무시가 붙었지만 딜도, 유틸도 없는 세크메트 덕분에 이륙이 불발나던 상황이였다.

엘븐과 다크엘븐의 승급, 세크메트의 상향이 있기 전 까지는 말이다.

저 모든 것을 갖춘 엘븐덱은 비로소 변소를 향해 이륙했다.

드디어 티어덱이 된 엘븐덱을 알아보도록 하자.


내가 설명할 것은 다음과 같다.


1. 덱의 원리

2. 덱 구성원들의 역할

3. 덱을 꺼내면 좋을때와 나쁠때

4. 변형 기출


그럼 시작한다.



1. 덱의 원리

내가 베이스로 잡은 엘븐덱이다.

엘븐덱은 물리덱이며, 단기전~장기전 전부 가능하다.

엘븐전용장비열보호, 세크메트에게서 행보호를 받아 탱킹을 하면, 에이미세크메트, 엘븐이 간을 치는걸 다크엘븐지원공격으로 잡아먹는 원리다.

세크메트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다른 애들에게 강력한 버프들을 뿌려 스탯을 맞춰주기 편하다.



2. 덱 구성원의 역할

먼저, 덱에 가장 핵심되는 버프를 뿌리는 다크엘븐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왜 세레스티아가 아니냐 할 수 있는데, 이 덱의 핵심은 다크엘븐이 있기 때문에 성립한다.

그러므로 다크엘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스킬이다.

계수는 특별할게 없다.

경장형/방어력 감소/회피 감소 상태피해량 29%가 증가하는 옵션이 달려있다.

까다롭다는 생각이 든다.

그나마 경장형이란 조건은 자주 볼태니 괜찮다.


2스킬이다.

계수4.35 인게 맘에 든다.

적에게 적중 40%, 치명타 20% 디버프를 건다.

치명타시, 피해량 43.5% 증가적중 강화 효과 해제가 달려있다.

치명타피해량 43.5% 증가 말고는 뭔가 애매한 조건들이다.


3스킬이다.

같은 행의 아군지원공격하며, 전투 개시아군AP를 1.45 펌핑한다.

애매하다.

내가 엘븐을 웬만하면 S승급 하고 써란 이유가 이거다.

뭔가 다 애매하고 까다롭다.


그리고 대망의 S 승급이다.

자신공격력 20%, 치명타 15% 증가와, 엘븐의 페시브를 받는 대상, 세레스티아, 세크메트, 엘븐을 지원공격하며, 전투 개시AP 1.45를 펌핑한다.

자기자신도 대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공격도 지원공격한다!

공버프도 생기고, 치명타도 늘어났고, 공격지원도 붙어서 자기 역할도 생겼다.


SS 승급 스킬이다.

라운드 개시 공격력이 470포인트 증가한다.

애매하지만 있는건 좋다.

중요한건 이 다음 옵션이다.

공격이 빗나가면, 1라운드간 적중 950%가 증가한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빨간 봄버한테 한 대 맞아주고 그 다음은 재공격으로 잘라낼 수 있다!



정리해보자.

다크엘븐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1. 엘븐, 세레스티아, 세크메트와의 조합이 요구된다.

2. 그 셋과 조합했다면, 지원공격을해 타수가 크게 늘어난다.

3. 경장형에 강하다.

4. 고회피 적을 잡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1. 공격적인 옵션(방어막/피해 감소 무시, 방어력 감소, 방어관통 등)이 부족하다.

2. 보호무시가 없다.

3. 자버프가 빈약하다.

4. 사거리가 짧다.


지금까지 봐왔던 딜러들과 다르게, 여러모로 빈약해보이는 다크엘븐이다.

이런 다크엘븐이 어떻게 변소딜러가 될 수 있을까?

우선, 자버프 빈약과 사거리가 짧다는 문제는 전용장비를 착용함으로서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다크엘븐의 전용장비다.

공격력 450, 치명타 20%, 적중 20%, 사거리 1, 방어관통 20%를 늘려준다.

부족했던 사거리와 치명타, 공격스텟이 보조됬고, 방어관통도 생겼다.


암습 OS다.

2라운드공격력 15% 증가를 걸어주고, 보호무시를 활성화 해준다.

2라운드 뿐이긴 하지만, 그거라도 어디인가?


부족한 부분을 장비로 보완했음에도, 변소의 메인딜러라기엔 뭔가 부족해 보인다.

그럴땐 경장형의 구원자 세레스티아를 쓰면 된다.

저번에도 이야기 했기 때문에, 아는 부분은 가볍게 정리하고, 시너지 나는 부분만 상세히 설명하겠다.


열보호를 하는 탱커에게 받는 피해 감소 50%를 제공한다.

이것만으로 다른덱에 쓰이기도 하기에 엄청난 장점이다.


엘븐 포레스트 메이커와 다른 경장형 아군해로운 효과를 모두 해제하고 AP 2를 증가시키며, 공격력 35%, 치명타 35%, 방어관통 15%를 제공한다.

이 스킬을 사용할때 자신을 포함한 아군에게 고정피해를 입히니 체력이 낮을땐 주의하도록 하자.


1스킬은 침수강화해제가 된다는 사실만 기억하자.


라운드 개시시, 자신행동력이 5% 증가하는 그럭럭인 스킬이다.

전투 시작시 받는 방어막 600은 보호무시가 많은 변소에서 한대 정도는 맞아도 되는 소소한 장점이다.

스쿼드에 엘븐, 다크엘븐 가 있으면 행동력 5% 추가로 증가한다.


경장형 아군의 공격력 10%, 행동력 5%, 방어관통 10%를 올려주는 좋은 자버프다.

여기에 엘븐과 다크 엘븐이 있으면 효과가 증가한다!


자, 정리해보자.

세레스티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덱에 쓰였다.

1. 엘븐, 다크엘븐을 비롯한 경장형 아군에게 강력한 버프를 준다.

2. 엘븐에게 받는 피해 감소 50%를 제공할 수 있다.

3. AP 펌핑이 가능하다. 


세레스티아를 고용함으로서 딜 포텐셜을 많이 올렸다.

그럼 이 다음으로는

엘븐을 조합해 시너지를 완성시키도록 하자.

탱커인 엘븐이다.

원래는 지원기였는데, 엘븐이 어떻게 탱커가 될 수 있을까?


우선, 엘븐의 탱킹은 전적으로 이 전용장비에 의존한다.

방어력 190, 체력 500 포인트를 제공하고, 열보호, 받는 피해 감소 15%를 제공한다.

거기에 각종 속성 저항 35%도 제공해주는 필수 장비니 엘븐덱을 갖출땐 꼭 쓰도록 하자.


엘븐의 1스킬이다.

별거 없지만, 냉기피해를 주고, 침수를 걸기 때문에 불파르탄을 잡을때 유용하다.


엘븐의 패시브다.

같은 행에 배치된 아군에게 공격력 21.75%, 치명타 14.5%, 받는 피해 감소 14.5%를 준다.

나쁘진 않은데, 위치가 별로다.


S승급 스킬이다.

라운드 개시시 자신의 행동력을 19% 증가시킨다.

다크 엘븐의 페시브를 받는 대상과, 세레스티아, 세크메트, 다크엘븐공격력 21.75%치명타 14.5%증가시키고, 받는 피해 14.5%가 감소한다.

꽤 달달한 공버프다.

탱커로서 좀 쓸만한 옵션은 받는 피해 감소 14.5% 말고 없다는 건 아쉽다.


그래서 SS 승급 스킬이 중요한 것이다.

라운드 개시시, 강화 해제 저항 100%를 얻는다.

강화해제를 거는 각종 적, 악수맨 계열에게 면역이 된거나 다름없다!

거기에 스킬을 사용하면 행동력 증가를 받지 않는 모든 적받는 피해 증가 19%를 건다!


자, 정리해보자.

엘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덱에 쓰인다.

1. 전용장비를 통해 열보호가 가능하다.

2. 다크엘븐에게 부족한 공버프를 줄 수 있다.

3. 강화 해제 저항 100%가 있어 생각보다 단단하다.


이렇게 3자리를 체웠다.

체우고 보니 엘븐이 좀 아쉽다.

남은 자리는 두자리나 있는데 보호는 끝나버렸다.

거기서 세크메트가 등장한다.

세크메트는 매우 특이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엘븐덱에 부족한 것을 잘 체워준다.

본인이 좀 약해서 문제였지만, 딜 상향 패치를 받은 지금은 어느정도 쓸만해졌다.

그럼 세크메트는 어떻게 엘븐덱의 약점을 커버해줄까?


1스킬이다.

사실 이 스킬은 거의 쓰지 않는다.

목표 지점 이외에 90% 피해 감소가 붙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가치가 있다면, 목표 지점의 적을 처리한 경우 범위내의 적에게 공격력의 114% 고정 물리 피해를 주면서 3라운드 동안 방어력을 28% 감소시킨다는 점?

딸피 처리를 확실히 할 수 있는데 그 주변에 휘말릴 적이 있다면 유용한 옵션이다.


2스킬을 보자.

사실상 세크메트가 주력으로 사용해야 하는 스킬이다.

보호무시그리드 지정을 가지고 있다.

다만, 스킬을 찍는 지점맨 앞의 열로 되어있다.

뒤로 갈수록 75%, 90% 감소한 피해를 준다.

그렇다.

이거 광역기인 척 하는 기술이지 광역기가 아니다.

물론 3열 타격이 있는건 맞다.

다만, 옵션이 꽤 유용한데, 적중하면 상대의 행동력 증가 효과를 해제하고, 2라운드 동안 행동력 감소를 붙이면서 스킬을 맞은 적 수에 비례자신의 행동력을 3.6% 중가시킨다.

때문에 이 스킬을 쓰면 세크메트의 AP가 마르질 않는다.



라운드 개시시, 행동력 5%와 방어관통 19%가 증가한다.

무난하게 좋은 옵션이다.

그런데 스쿼드에 엘븐, 다크엘븐이 있으면 행동력 9%, 방어관통 19%더 증가한다!


두번째 패시브며, 세크메트가 광역기인척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광역 피해량 집중 95%를 얻는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맞는 적이 적으면 적을 수록 피해량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피격 3라운드간 공격력 28.5%가 증가한다.

아니, 공버프가 피격시에 걸린다니?

맞으면 안되는 딜러가 맞아야 강해진다고?

그런데 그거 아는가?

세레스티아 2스킬에 들어가는 고정피해도 피격판정을 가진다!

따라서 세레스티아와 조합하면 사실상 공짜로 공버프 28.5%를 얻는 것이나 다름없다!


마지막 페시브로, 이 페시브는 엘븐을 위한 페시브다.

라운드 개시시, 범위내의 아군의 적중28.5% 증가시키고, 보호기나 지원기에게 행보호를 부여한다.

지원기엘븐이 세크메트와 조합됨으로서, 이제 뒤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 정리해보자.

세크메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덱에 쓰였다.

1. 엘븐에게 행보호를 부여한다.

2. 세레스티아와 같이 써야 공버프를 받을 수 있다.

3. 애매하긴 하지만, 어쨌든 광역 타격 기술을 가지고 있다.



자, 이제 세크메트 까지 들어왔고, 엘븐은 열보호 행보호로 완전해 졌다.

그럼 이제 남은 한자리를 누가 체우면 좋을까?

지원기의 경우 세크메트의 행보호 때문에 애매하다.

공격기를 넣어야 하는데, 세레스티아가 경장이니 경장임이 좋을 것이다.

경장형 마망인 에이미를 넣자.

에이미는 저번에도 설명했다 싶이 덱에 경장형 농도가 짙으면 짙을수록 힘을 쓰는 딜포터다.

저번에 설명했으니 가볍게 필요한 부분만 다시 짚고 넘어가겠다.


우선, 보호무시 기술이 있다.


적을 처치함으로서 AP 펌핑도 할 수 있고


경장형 전투원 수에 비례공격력 5%와 치명타 10%를 올린다.

이 덱에선 공격력 20%와 치명타 40%를 받을 수 있다!


거기에 자체적으로 방어력/피해 감소 무시가 있다.

적 처치할때 아군도 AP 펌핑을 할 수 있다.

방관이 없는 에이미지만, 세레스티아에게서 방관을 받기 때문에 괜찮다.


자, 정리해보자.

에이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덱에 쓰였다.

1. 이 덱의 딜러들에게 공격력 20% 치명타 40%를 제공할 수 있다.

2. 보호무시 기술을 가지고 있다.

3. 적을 처치해 아군의 AP를 펌핑시킬 수 있다.

4. 자체적으로 방어막/피해 감소 무시를 얻는다.


자, 덱 구성원의 역할을 다 소개했다.

그런데 뭔가 부족하다 느끼지 않는가?

아니 개개인을 짚어보면 뭔가 엉성한거 투성인데, 어떻게 티어덱인거지?

자, 이 덱을 꾸렸을때 각 딜러들이 가지는 최종 공버프에 대해 이해시켜 주겠다.


1. 다크엘븐: 공격력 116.75%

2. 세크메트: 공격력 147.5%

3. 에이미: 공격력 108.5%


이 정도면 변소를 파괴하기엔 충분한 공버프라 느껴지는가?

이 다음은 상성을 알아보자.



3. 이 덱이 꺼내면 좋을때와 나쁠때


좋을때: 거의 대부분의 층, 추적자가 나오는 맵, 타수가 필요한 맵, 빨간봄버가 나오는 맵


나쁠때: 아쿠아칙 G + 디텍터 + 빨간런쳐가 나오는 맵



4. 변형기출

만약 암습 OS가 없어 다크 엘븐이 암습을 못낄경우, 철트리스 대처가 매우 어려워 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럴땐 샬럿을 투입하도록 하자.

딜 포텐셜이 뛰어난데 자체 방관도 가지고 있다.

게다가 AP 수급도 뛰어나서 여러모로 이 덱의 부족한 부분을 체워줄 수 있다.


의외로 찐우좌인 사이클롭스 프린세스도 좋다.

생각보다 딜이 쌔고, 방깎, 보호무시, 효저깍, 반격해제 등의 옵션이 있어 철트리스를 잘 뚧는다.


엘븐덱이 끝났다.

다음은 외전 3 - 변소의 히든 꿀픽들이다.

살라시아랑 피닉스뚱이 덱은 현제 내가 구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외전 3이 끝나면 이 글의 연재는 새로운 덱 타입이 나올 때 까지 끊기게 된다.

만약 페누나, 찐우좌를 이용한 아키타입이 나온다면 연재 하겠지만, 그러지 않는다면 내가 시아를 뽑고, 피닉스를 승급하기 전까진-



무기한 휴제에 들어간다.

내가 설명해줬으면 하는 덱이 있으면 지금 신청해라.

언제나 읽어줘서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