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전광역시

최근 수정 시각:

대전, 세종, 충남의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세종시의 경우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서 세종시 산하에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한민국광역시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Daejeon Metropolitan City
서구 둔산로 100 (둔산동)
하위 행정구역
5구[1]
면적
539.5㎢
인구
1,445,875명[2]
인구밀도
2,680.39명/㎢
도지사
이장우(李莊雨)[3]
지역번호
042

1. 개요2. 역사3. 상징4. 대전의 통계5. 문화6. 스포츠7. 관광8. 정치9. 경제
9.1. 공공기관9.2. 금융
10. 교육


대전광역시 타임랩스(대전의 하루)

1. 개요 [편집]

대한민국의 중심부, 충청도 중남부에 자리한 광역시로써 충청도의 가장 큰 도시이다. 수도권, 전라도, 경상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이다. 관세청, 특허청, 통계청, 조달청, 문화재청, 산림청, 병무청, 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 등 정부대전청사와 다수의 국가기관 본사가 자리한 행정도시이기도 하며,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된 한국 최대의 과학·연구도시이고, 또한 3군 본부와 인접해 있고, 육군대학, 국방과학연구소, 해군대학, 공군대학, 국군의학연구소, 국방정신전력원, 국군대전병원,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의무학교, 합동군사대학교 등이 모여있는 자운대와 육군군수사령부가 자리해 군사도시의 기능도 수행하는 대도시이다.

2. 역사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충청남도 회덕군 (忠淸南道 懷德郡, 1895)
충청남도 진잠군 (忠淸南道 鎭岑郡, 1895)
충청남도 공주군 일부 (忠淸南道 公州郡 一部)
충청남도 대전군 (大田郡, 1914)
대전부 (大田府, 1935)
대덕군 (大德郡, 1935)
대전시 (大田市, 1949)
대덕군 (1949)
대전직할시 (大田直轄市, 1989)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1995)

3. 상징 [편집]

대전광역시의 휘장
대전광역시의 휘장. 대전의 '大'와 전국 각지로 뻗어나가는 국토의 중심, 교통의 요충지임을 이미지화했다.
  • 이 역시 대전광역시의 슬로건과 함께 다양한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전광역시의 슬로건
2020년 9월 24일부터 사용된 슬로건. ‘대전이 바로 당신입니다’ 라는 의미로, 대전시의 핵심가치가 시민임을 상징한다. 또, 이 문장을 발음하면 대전이쥬가 되는데, 이는 충청 방언 높임체인 해유체를 이용한 드립이다. [4]
2004년부터 2020년까지 쓰였던 구 슬로건.
대전광역시의 마스코트
대전광역시의 마스코트인 한꿈이꿈돌이. 한꿈이 마스코트는 2000년에 런칭되었다. 다만, 인지도는 꿈돌이가 더 높은데, 카카오톡을 통해 출시된 이모티콘도 꿈돌이로만 구성되어 있다.
한꿈이의 여성형 마스코트인 소망이다. 다만 사람들은 꿈순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공식적인 이름은 소망이다. 꿈순이는 꿈돌이의 여자 짝꿍이다. 대전광역시 공식홈페이지

4. 대전의 통계 [편집]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대전의 1인당 개인소득은 울산, 서울에 이어서 전국 3위이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의 소득이 가장 높다. 국세청이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을 토대로 분석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는 대전이 전국 3위이다.

등록 자동차 대수는 2013년 12월말 기준 606,283대로, 가구 당 1.03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 2011년 기준, 주택보급률은 102.4%이고, 자가 비율은 50.8%로 서울(41.4%)보다 높다.

2011년 미국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의 인터넷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도시별 인터넷 접속 속도 순위에서 대전은 57.6Mbps를 기록하여 1위에 자리했다.

2011년 대검찰청이 발간한 '2011년 범죄분석'에 따르면 대전의 인구 10만명당 범죄 발생비율은 1,367명으로 전국 평균인 3,750명의 36.5% 수준이었다.

2011년 보건복지부가 2011년 지역건강통계’에서 대전시민의 평균 건강수명은 72.85세로 전국 2위의 건강한 도시로 조사되었고, 흡연율(41.9%)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 현대경제연구원의 '대한민국 경제적 행복지수' 조사 결과, 대전에 사는 사람들의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높았다.

2013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와 세이브더칠드런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어린이 행복종합지수 분석에서 대전이 행복지수 전국 1위로 평가되었다.

2011년 대전에서 투자되는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다. 2007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연구개발비는 서울(1조 7,057억원), 경기(1조 1,096억원), 인천(3,151억원) 등 수도권을 합한 것보다 많고, 수도권과 대전을 뺀 지방 전체의 연구비를 합한 것(2조 1,668억원)보다 많다.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ET(환경·에너지기술), CT(문화기술) 등 미래유망 신기술 6T(6Technology)에 대한 연구비도 수도권과 12개 지자체를 합한 것보다 높은 수치이다.

중국 사회과학원과 미국 벅넬(Bucknell)대학 등이 공동 작성한 ‘2008년 세계 도시경쟁력 보고서’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도시 중에는 서울(12위), 울산(162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20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대도시 중에는 인천(221위), 부산(242위), 대구(287위), 광주(295위) 등 다른 광역시보다 높은 도시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1997년 세계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평가한 결과에서 대전은 서울(19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세계 25위의 도시경쟁력을 차지했다. 2006년 산업정책연구원이 국내 7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 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대전이 서울(2위)을 제치고 미래 경쟁력 1위 도시라는 평가를 얻었다.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2019 가장 좋은 “교육도시” 랭킹(QS Best Student Cities 2019)에서 89위를 기록하여 국내안에서는 서울(10위)와 함께 유일하게 랭크되었다.

5. 문화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스포츠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스포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관광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관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정치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경제 [편집]

지역내
총생산
전체
₩42조 7,940억2019 (전국 대비 2.2%)
1인당
₩2,924만 5천
지역
총소득
전체
₩46조 7,000억2018 (전국 대비 2.4%)
1인당
₩3,073만 5천
개인
소득
전체
₩30조2018
1인당
₩1,974만 9천
성장률
3.3%2019
대전은 소비에 의존하는 서비스업이 주종인 전형적인 소비도시이다. 대전의 산업별 비중을 보면 2014년 기준으로 제조업이 17.6%, 서버스업이 83.4%로 서비스업이 압도적이다. 그렇다고 아예 제조업이 발달 안한것은 아닌데 사실 KT&G,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등 규모가 꽤 큰 기업들도 소재하고[5] 있고 또한 충청권에서 대표적인 제조업 도시이다. 실제로 대전시민들이 생각하는것 보다 많은 기업들이 사업장을 두고 있다. 단지 도시규모에 비해 제조업 비중이 적을 뿐이다.

1970년대부터 대덕연구단지를 시작으로 한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정책으로 엄청난 특혜를 받아, 다수의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들이 대전에 소재하기 시작했다. 특히 정부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한 첫 사례도 대전이 최초였다.[6]

9.1. 공공기관 [편집]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주요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정부유관기관을 보면 우선 정부대전청사에 자리한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병무청, 문화재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예정), 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 말고도 특허법원, 철도특별사법경찰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제지식재산연수원,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조폐공사, 신용협동조합중앙회, 한국연구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특허정보원,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코레일테크,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천문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천연기념물센터,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 한국발전인재개발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예정), 한국임업진흥원(예정), 한국특허전략개발원(예정) 등 약 50여개가 넘는 공공기관이나 정부유관기관들이 대전에 있어 대전 자체가 거대한 혁신도시라고 볼 수 있겠다. 또, 대전에 대전역세권지구, 연축지구가 혁신도시가 확정되었다.

2021년에는 국회도서관 분원이 도안신도시 호수공원에 건립 확정되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556027

또한 대전에는 정부출연연구소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 연구소들도 대거 소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금호석유화학, 금호폴리켐, 두산중공업, 대림산업, 대한항공, 삼성중공업, 삼양사, 롯데케미칼, 애경산업, 태광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하림, 한화, 한화솔루션, GS칼텍스, KT, KT&G,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SK C&C, LG생활건강,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LX MMA, LG U+ 등이 대전에 연구소를 두고있다.

9.2. 금융 [편집]

구분
명칭
현황
은행
중앙은행
한국은행
Ο[7]
국책은행
KDB산업은행
Ο[8]
IBK기업은행
Ο[9]
한국수출입은행
특수은행
Sh수협은행
NH농협은행
시중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지방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상호금융
수산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종합금융
우리종합금융
체신관서
우체국예금

10. 교육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교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자치구[2] 2023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국민의힘, 초선[4] 또 다른 예는 대전광역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타슈.[5] 아예 KT&G는 대전에 본사가 소재하고 있다. 재계서열에 들어가는 대기업이 비수도권에 본사가 있는 드문 케이스이다.[6] 1987년 전매청(현 KT&G)이 당시 '대덕군 신탄진읍'(현 대덕구)로 이전됐다.[7] 서구[8] 서구, 유성구[9] 대덕구, 서구, 유성구, 중구[10] 서구[11] 동구, 서구, 유성구[12]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13]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14]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15] 동구, 서구, 중구[16] 서구[17]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18]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19] 서구[20] 서구[21] 서구, 유성구[22]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23]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24]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25]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