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종특별자치시

최근 수정 시각:

대전, 세종, 충남의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세종시의 경우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서 세종시 산하에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한민국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世宗特別自治市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한누리대로 2130 (보람동)
하위 행정구역
1읍 9면 12동
면적
464.9㎢
인구
384,496명[1]
인구밀도
825.10명/㎢
도지사
최민호(崔旼鎬)[2]
지역번호
044[3]

1. 개요2. 역사3. 지리4. 경제
4.1. 산품4.2. 산업4.3. 출산율4.4. 금융
5. 교통
5.1. 도로5.2. 버스
5.2.1. 고속/시외버스5.2.2. 시내버스
5.3. 철도
5.3.1. 간선철도5.3.2. 고속철도5.3.3. 광역철도
5.4. 항공
6. 교육7. 의료8. 행정
8.1. 행정구역8.2. 경찰8.3. 소방8.4. 우정8.5. 세관8.6. 세무
9. 사법
9.1. 고등법원9.2. 지방법원
10. 정치11. 언론
11.1. 방송/라디오11.2. 신문
12. 종교
12.1. 천주교12.2. 성공회12.3. 조계종
13. 체육14. 관광


1. 개요 [편집]

충청남도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 충북 청원군 영역 일부를 합쳐 2012년 7월 1일 출범한 대한민국 17번째 광역자치단체.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으로는 공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쪽으로는 천안시와 접해 있다. 시청 소재지는 보람동.

2. 역사 [편집]

  • 원삼국시대 : 원삼국시대에는 삼한(三韓) 중 마한(馬韓)의 영역에 속했다.
  • 삼국시대 :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강역이었으며 전의면 일대는 대목악군(大木岳郡)[4]에 속한 구지현(仇知縣)이었고 연기면 일대는 일모산군(一牟山郡)에 속한 두잉지현(豆仍只縣)이었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백제 침공으로 개로왕이 죽고 수도 위례성이 공함된 후 고구려군이 남하해 이 일대도 지배하였고, 이후 동성왕 대 즈음에 다시 백제가 점령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성왕 대 개편한 지방구획인 5방 기준으로는 세종 일대는 북방에 속했던 걸로 추정된다.
  • 남북국시대 : 통일신라에서 9주 5소경(九州五小京)이 설치되며 구지현과 두잉지현은 웅천주에 속했으며 이후 경덕왕의 한화(漢化)정책으로 구지현은 대목악군이 개칭된 대록군(大麓郡)에 속한 금지현(金地縣)으로, 두잉지현은 일모산군이 개칭된 연산군(燕山郡)에 속한 연기현(燕岐縣)으로 개칭되면서 웅주(熊州)[5]에 속하게 된다.
  • 후삼국시대 : 후삼국시대에는 900년대 초반 태봉(泰封)이 점유한다. 918년 태조 왕건이 집권하고 고려를 세우자 당시 그 지역 호족들이 후백제(後百濟)에게 귀부하였다. 그러나 934년에 다시 고려가 수복하였다.
  • 고려시대 : 고려시대에는 금지현은 전의현(全義縣)으로 개칭되고 연기현은 그대로 이어진다. 고려 현종 대 설치된 5도 양계 기준으로 둘 다 양광도에 속했으며 청주목에 속한 속현이었다.
  • 조선시대 : 조선시대에는 양광도가 충청도가 되어 충청도에 속했다.
  • 대한제국 : 구한말에는 충청남도 전의군(全義郡), 연기군(燕岐郡)으로 승격되었고,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는 부군면 통폐합으로 연기군으로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 : 충청남도 연기군이 이어지다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로 2012년 충청남도에서 분리 독립하여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가 출범하였다.

2.1. 행정수도 [편집]

  • 1960년대 : 수도 이전에 대한 담론은 의외로 이른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도일보[6]는 이때 '비좁은 서울'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처음으로 작성하였다.#
  • 1971년 :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의 대선 후보였던 김대중이 대전으로 천도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바 있다.#
  • 1977년 : 박정희 전 대통령은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을 임시행정수도로 확정 지으며, 50만 명에서 100만 명을 수용가능한 도시를 건설하고자 했었지만[7], 2년 뒤인 1979년 10·26 사건으로 인하여 전면 백지화 되었다.
  • 2002년 :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의 대선 후보였던 노무현이 충청도에 신수도를 건설하여 청와대와 중앙부처를 옮기겠다고 공약했다.#
  • 2003년 : 대선에서 승리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신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안'을 발의했고, 동년 제16대 국회 제244회 임시회에서 재적 194인 중 찬성 167인, 반대 13인, 기권 14인으로 가결되었다.
  • 2004년 : 가결된 법률이 시행되었지만, 헌법재판소에서는 역사에 길이 남을 전대미문의 관습헌법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위헌 판결을 내렸다.

2.2. 행정중심복합도시 [편집]

2004년 이후로 행정수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이름의 신도시로 우회되어 추진되었다.

3. 지리 [편집]

세종특별자치시의 4 극단 중 동쪽 끝은 부강면 문곡리로 동경 127° 23′이고, 서쪽 끝은 장군면 송학리로 동경 127° 10′이다. 동서 간 거리는 20.7㎞이다. 반면에 남쪽 끝은 금남면 성강리로 북위 36° 24′이고, 북쪽 끝은 소정면 대곡리로 북위 36° 43′이다. 남북 간 거리는 37.0㎞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동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서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으로는 천안시와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동서의 폭이 좁은 대신 남북 길이가 길어서 세장형(細長形)인 고구마 형태를 띠고 있다. 경부선 철도와 국도 제1호가 관통하고, 조치원이 충북선 철도 시발점이며, 경부-중부고속도로 및 천안-논산고속도로와 인접한 세종특별자치시는 교통망이 편리해 어느 지역에서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미호천과 금강이 흐르고 산은 높지 않으나 수려하여 살기 좋은 곳이다.[8]

4. 경제 [편집]

4.1. 산품 [편집]

  • 싱싱세종쌀 #
  • 조치원 복숭아 #
  • 조치원 배 #
  • 마스캇 베리A 포도 #
  • 으뜸이 고추 #
  • 토다메 감자 #
  • 딸기 #
  • 싱싱세종수박 #
  • 인삼포크진생원 #

4.2. 산업 [편집]

2020년 기준 경제활동 인구는 185,000명이었다.# 지역 특성상 공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일거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대기업 사업장은 연동면의 삼성전기 세종사업장과 부강면에 현대L&C 부강사업장과 한화솔루션 세종사업장이 있다. 삼성전기 공장 인근으로 명학산업단지가 건설 중인데 행정중심복합도시 5생활권과 바로 붙어 있기 때문에 공무원들 뿐 아니라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행정중심복합도시 입주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보쉬전장같은 유수의 외국계 기업도 소재하고 있다. 2020년 3월 31일 네이버는 4-2 생활권 도시첨단산업단지(세종테크밸리) 내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입주 계약을 체약하고 착공에 들어갔다.#

4.3. 출산율 [편집]

2021년 기준 세종의 합계출산율은 1.277명이었다.# 동년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0.808명이었고, 세종시는 전국 1위였다. 안정적인 일자리인 공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높고, 신도시이기 때문에 출산과 육아 여건이 타 시·도에 비해 양호하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존재한다.# 2022년에는 총 3200명의 아이가 태어났고 출산율 또한 역시 전국 1위였다. 그렇지만 2020년부터 시작된 인구 자연감소를 세종시 또한 피해갈 수 없었고, 세종시 또한 전년 대비 1500명이 덜 태어났다.#

4.4. 금융 [편집]

구분
명칭
현황
은행
중앙은행
한국은행
국책은행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Ο
한국수출입은행
특수은행
Sh수협은행
Ο
NH농협은행
Ο
시중은행
KB국민은행
Ο
우리은행
Ο
SC제일은행
Ο
한국씨티은행
하나은행
Ο
신한은행
Ο
지방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Ο
BNK경남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상호금융
수산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Ο
새마을금고
Ο
신용협동조합
Ο
산림조합
Ο
종합금융
우리종합금융
체신관서
우체국예금
Ο

5. 교통 [편집]

5.1. 도로 [편집]

  • 고속도로 :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남세종IC와 서세종IC가 있다.
  • 국도 : 1번 국도, 23번 국도, 32번 국도, 36번 국도, 43번 국도
  • 지방도 : 96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5.2. 버스 [편집]

5.2.1. 고속/시외버스 [편집]

대평동에 있는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타 시군으로 가는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고속버스 : 서울, 부산, 창원 등
  • 시외버스 : 서울, 수원, 평택, 안산, 인천, 안양, 의정부, 원주, 춘천, 천안, 청주, 대전, 유성, 공주, 부여, 논산, 서천, 군산, 경주, 포항, 거제, 안동, 광주, 전주 등

5.2.2. 시내버스 [편집]

세종시의 시내버스로써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가 운행 중이다.

5.3. 철도 [편집]

5.3.1. 간선철도 [편집]

옆 동네 청주시는 오송역이 세종시의 관문이라고 하지만, 사실상의 세종시 철도 관문역은 조치원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의역, 부강역에도 무궁화호가 몇 차례 정차하기는 하지만 이용하기에 다소 불편하다.

5.3.2. 고속철도 [편집]

호남고속선이 세종시의 관내를 지나가지만 역은 없다.

5.3.3. 광역철도 [편집]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 (신탄진~조치원) 구간이 계획 중이다.

5.4. 항공 [편집]

공항은 없지만 청주국제공항까지 바로타의 B3 노선이 운행 중이다.

6. 교육 [편집]

자세한 내용은 세종특별자치시/교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의료 [편집]

  • 상급종합병원
    • 없음
  • 종합병원
    • NK세종병원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2020년에 개업한 500병상 규모의 충남대학교의 대학병원이다.
  • 보건소(1) : 세종특별자치시 보건소
  • 보건지소(9) : 연기면보건지소, 연동면보건지소, 부강면보건지소, 금남면보건지소, 장군면보건지소, 연서면보건지소, 전의면보건지소, 전동면보건지소, 소정면보건지소
  • 보건진료소(7) : 응암보건진료소, 황용보건진료소, 송학보건진료소, 와촌보건진료소, 쌍류보건진료소, 양곡보건진료소, 송곡보건진료소

8. 행정 [편집]

8.1. 행정구역 [편집]

8.2. 경찰 [편집]

충청남도는 전역이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9]의 관할이다.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은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청 소속이다. (2023년 2월 2일 기준)

8.3. 소방 [편집]

충청남도는 전역이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10]의 관할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는 행정안전부 산하 소방청 소속이다. (2023년 2월 2일 기준)

8.4. 우정 [편집]

세종특별자치시는 전역이 충청지방우정청[11]의 관할이다. 충청지방우정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정사업본부 소속이다. (2023년 2월 2일 기준)
세종특별자치시
총괄우체국
관할구역
산하 우체국
비고
세종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8.5. 세관 [편집]

세종특별자치시는 전역이 서울본부세관[17]의 관할이다. 서울본부세관은 기획재정부 산하 관세청 소속이다. (2023년 2월 2일 기준)
본부세관
관할세관
세관명
관할구역
서울본부세관
천안세관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당진시(평택당진항 해상·부두지역 제외),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대산지원센터
충청남도 서산시, 당진시(평택당진항 해상·부두지역 제외), 흥성군, 예산군, 태안군
대전세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천안세관, 평택세관 및 군산세관의 관할구역 제외)

8.6. 세무 [편집]

세종특별자치시는 전역이 대전지방국세청[18]의 관할이다. 대전지방국세청은 기획재정부 산하 국세청 소속이다. (2023년 2월 2일 기준)

9. 사법 [편집]

9.1. 고등법원 [편집]

9.2. 지방법원 [편집]

10. 정치 [편집]

11. 언론 [편집]

11.1. 방송/라디오 [편집]

11.2. 신문 [편집]

  • 대전일보
  • 중도일보
  • 충청일보
  • 충청투데이

12. 종교 [편집]

12.1. 천주교 [편집]

12.2. 성공회 [편집]

  • 한국관구[26]
    • 성공회 대전교구(주교좌 대전대성당)
      관할구역[27]: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12.3. 조계종 [편집]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대한불교 조계종의 경우, 25개의 교구를 두고 있다. 그 중에서 마곡사[28]와 수덕사[29]가 해당한다.

13. 체육 [편집]

2023년 1월에 세종을 연고로 하는 K4리그 소속의 세종 바네스 FC가 창단되었다. 기업 구단이며 모기업은 ACE park이다.

14. 관광 [편집]

[1]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국민의힘, 초선[3] 금남면의 충청남도산림자원연구소는 041[4] 옛 마한의 수장국이었던 목지국(目支國)의 영역에 설치된 행정구역이다.[5] 현재의 공주시 일대[6] 대전광역시에 본사를 둔 신문사[7] 지금의 세종시 또한 계획 인구가 50만이다.[8]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9]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1978 (소담동) 소재[10]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 (보람동) 소재[11]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11 (둔산동) 소재[세종우체국] 세종금남우체국, 세종부강우체국, 세종소정우체국, 세종아름동우체국, 세종연동우체국, 세종연서우체국, 세종전동우체국, 세종전의우체국, 세종한솔동우체국, 장군우체국, 정부세종청사2우체국, 정부세종청사우체국, 조치원우체국[세종우편취급국]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우편취급국[세종군사우편] 제119군사우편출장소[15] 조치원우체국에서 조치원읍과 연서면,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의 집배업무를 담당한다.[16] 제119군사우편출장소는 시간제 우체국으로, 09:00~11:00 2시간동안만 운영한다.[17]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21 (논현동) 소재[18] 대전광역시 대덕구 계족로 677 (법동) 소재[19] 원래 연기군 일대가 대전지법 직할 구역이었다.[20] 서천군법원의 위치는 장항읍이다. 참고로 같이 있는 등기소 이름도 서천등기소가 아닌 장항등기소다.[21] 논산 시내가 아니라 강경읍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과거에는 논산지원이 아닌 강경지원으로 불렀다. 시설이 노후화되어 이전을 준비하려고 하지만, 강경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심한 상황.[22] 별도의 시군법원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23] 원래 천안시 신부동에 자리잡았지만, 2017년에 청수동 신청사로 이전.[24] 충청도 뿐 아니라 수도권, 강원, 광주, 포항, 제주도 가청취권역에 해당한다.[25] 본래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芙蓉面)이었지만,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었다. 그렇지만 아직도 청주교구 소속이다.[26] 한국 전체가 하나의 관구이다.[27] 이외에도 충청북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강원도 남부까지가 관할구역이다.[28] 제6교구[29] 제7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