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타임라인


1997년 - 아레스 1 미션 성공, 인간이 드디어 화성에 발을 딛다.

1998년 - 국제우주정거장 "프리덤" 건설 시작

1999년 - 1979년에 종료된 아폴로 프로그램과 아레스 프로그램의 연장판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발표. 미국, 러시아 연방(독립국가연방),유럽 연합, 일본, 한국 참여.

2002년 - 아레스 2 미션 발사, 아르테미스 프로그램과 아레스 프로그램에 사용될 "넵튠 V" 로켓의 첫 시험 발사.

아르테미스 페이즈 1(2003 ~ 2010)

2003년~2005년

  • 장기 거주지 탐색을 위한 탐사기 발사( 미국 : 클레멘타인 03, 러시아 : 루나 25-1호, 유럽 : SMART-1, 일본 : 카구야(셀레네), 한국 : 계수나무 2호 )
  • 아폴로 이후 30년만의 유인 달 착륙, 그리고 장기 거주 : 아르테미스 1호
  • 달 궤도 전초기지 "게이트웨이" 착공
  • 미르1 폐기

2006년~2007년

  • 아르테미스 2호~4호 : 달 장기 거주지 건설, 년 단위로 탐사 시작
  • 달 남극 개척
  • 게이트웨이 완공
  • 최초의 달 물 시추구, 달 송수관 완공

2008년 - 세계 금융위기로 아르테미스 계획에 차질 발생, 독립국가연방의 러시아 vs 조지아간 내전으로 미러관계 불통, 아르테미스 페이즈 2 2년 연기.

2009년 ~ 2010년

  •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러시아 지분 감소
  • 포드, 폭스바겐, 도요타, 대우, 월면 자동차 개발사업자로 선정
  • NASA, 아르테미스 페이즈 2에 민간 우주기업 초청 결정
  • 1세대 우주왕복선(콜롬비아,디스커버리,아틀란티스) 퇴역
  • 3세대 우주왕복선(제네시스,데스티니) 취역

2011년 ~2012년

  •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키슬러 항공우주, 보잉, 록히드 마틴, 다이네스틱, 에어버스, 노키아, ARCA, 미쓰비시, IHI 중공업, 토요타, 현대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아르테미스 페이즈 2 파트너로 결정
  • 스페이스X, 팰컨 9 FL(페이스리프트) 시험발사
  • 달 송수관망 착공
  • 월면 헬륨-3 채굴/정제장 건설, 달~지구간 정기적 화물 수송 시작

아르테미스 페이즈 2(2013 ~ 2023)

2013년 ~2015년

  • 스페이스X, 인류 최초로 1단 Propulsive Landing 성공, 1단 재사용 성공.
  • 달 물류기지 건설
  • 고요의 바다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와 위난의 바다에 착륙한 존드 3호 보존 결정, 보호시설 건설.
  • 우주왕복선의 달 취역
  • 게이트웨이 확장공사 시작
  • 중국, 유인 달탐사 계획 타전
  • 중국, 톈궁 우주정거장 가동.

2015년 - 중국과 러시아간의 공동 달 탐사 협정 체결

2016년 ~ 2017년

  • 스페이스X, 거대 로켓 팰컨 헤비 시험발사 성공, 드래곤 우주선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보급 시작
  • 블루 오리진, 뉴 글렌 공개
  • 엔데버 퇴역
  • 중국, 창정 5호 시험발사 성공
  • 러시아, 안가라 로켓 시험발사 성공
  • 일본, 신형 로켓 H3 발사 성공
  • 한국, 신형 로켓 누리호 발사 성공

2018년 ~ 2020년

  • 스페이스X, 스타십 개발 시작, 보카 치카에 시험장 건설
  • 블루 오리진, 뉴 글렌 발사 성공
  • 미-중 무역경쟁 심화, 미+제1세계 vs 중국+러시아 우주경쟁 본격화
  • 한국-일본, 공동 달 탐사 계획 검토
  • 달 장기 상주기지 15개 돌파
  • 민간 달 상주기지 건설
  • 4세대 우주왕복선 5기 취역, 우주왕복선 운영권 민간으로 이양.

2020년 ~ 2021년 -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COVID-20(코로나20)" 전 세계 강타, 대봉쇄로 인해 모든 우주개발 일정 연기. 달 고립사태 발생. 미-중 갈등 심화로 우주 경쟁 가속화. 

2021년 ~ 2023년

  • 2020(1) 도쿄올림픽 취소로 20년만에 큰 경제위기가 닥친 일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지분 감소. 
  • 코로나20으로 큰 타격을 받은 대우자동차,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일시 철수.
  • 미국, 자국 내 자원개발기업들을 달 자원 채굴기지 건설에 초청하기로 결정, 5개의 기업 초청.
  • 중국-러시아, 공동 우주개발기구 창립
  • 유럽, 아리안 6 발사 성공, 유럽형 월면 보급선 발사 시작.
  • 스페이스X, 스타십 첫 궤도비행 성공
  • 우주정거장 프리덤, 러시아 관리 모듈과 제1세계 관리 모듈 분할, 각각의 우주정거장으로 운영 시작.
  • 러시아, 구 프리덤 러시아 관리 모듈 부분을 미르3 우주정거장으로 명명.
  • 미국+제1세계, 구 프리덤 우주정거장 트러스 재배열, 리버티 우주정거장으로 명명.
  • 스페이스X, 스타링크 시스템 완성.
  • 원웹, 원웹 인터넷망 완성.
  •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종료

2024년 ~ 2025년

  • 우주조약 만료
  • 신우주조약 체결, 우주공간에 핵무기, 미사일, 폭격 무기를 제외한 모든 무기와 군사 배치 허용
  • 미군 우주군, 달 미국 상주기지에 첫 군사기지 건설.
  • 러시아 우주군 재창설
  • 중국 로켓군, 전략우주군으로 개편, 달에 군사기지 건설.
  • 일본 우주작전자위대 창설, 미군과 월면에서의 합동 작전 개시.
  • 국군 미사일사령부와 정보통신사령부 일부 부서의 합병으로 우주공간전투사령부 창설. 국군 해병대에 우주공간 전투부대 창설.
  • 스페이스X, 미군과 군수물자 수송 계약 체결

2026년 ~ 2029년

  • 본격적인 강대국들의 월면 군사배치 시작
  • 미국, 우주전투기 개발사업 시작, 시에라네바다와 보잉 참여.
  • 스페이스X - 링크스페이스간 미-중 민간기업 우주경쟁 시작
  • 아마존, 블루 오리진 인수, 우주공간 특송 서비스 시작
  • 달 민간 여행/이주 플랜 대중화
  • 쿠팡그룹, 신규 계열사 쿠팡로켓배송 창설, 우주공간 특송 서비스 시작
  • 삼성전자, 달 생산기지 건설.
  • 우버, 월면택시사업 시작
  • BP 월면 진출
  • 자리야 우주정거장에 중국 모듈 도킹

2030년 ~

  • 달 군사기지 30개 돌파
  • 달 점유조약 체결, 각 국가들은 달의 영유권 주장 가능
  • 스페이스X, 스타십 리스 서비스 개시
  • 해병대 우주전투사령부, 스타십 SN815 인수, 장병/물자 수송용으로 활용 시작.
  • 2세대 우주왕복선 완전 퇴역
  • 우주 공간내 냉전 시작(제1세계 vs 중국-러시아)


2037년? ~ 2044년?

작품 배경년도(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