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제 정치 관련 정보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아시아3. 유럽
3.1. 서유럽3.2. 남유럽3.3. 북유럽3.4. 동유럽
4. 아메리카
4.1. 북아메리카4.2. 중앙​아메리카·카리브4.3. 남아메리카
5. 아프리카
5.1. 서아프리카5.2. 동아프리카5.3. 중앙아프리카5.4. 남아프리카
6. 오세아니아
6.1. 오스트랄라시아6.2. 멜라네시아6.3. 미크로네시아6.4. 폴리네시아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편집]

2. 아시아 [편집]

[ 펼치기 · 접기 ]
아시아 | Asia
주요 국가
대만
[2] |
대한민국
|
몽골
[3][6] |
북한
|
일본
[6][E] |
중국
[3][4][6] |
위구르
[3][6] |
티베트
[4]
주요 지역
주요 국가
주요 지역
주요 국가
주요 지역
주요 국가
주요 지역
주요 국가
주요 지역
주요 국가
주요 지역
[ 펼치기 · 접기 ]
기울임체는 미승인국이거나 괴뢰국, 임시정부 체제인 국가를 의미.
※ '주요 지역'의 기준은 독립국은 아니지만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나 상당한 수준의 자치를 누리는 지역을 포함함.

[1] 기준에 따라 동북아시아로도 분류됨.
[2] 기준에 따라 동남아시아로도 분류됨.
[3] 기준에 따라 중앙아시아로도 분류됨.
[4] 기준에 따라 남아시아로도 분류됨.
[5] 기준에 따라 서아시아로도 분류됨.
[6] 기준에 따라 북아시아로도 분류됨.

[A]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도 분류됨.
[B] 기준에 따라 아프리카로도 분류됨.
[C] 기준에 따라 북아메리카로도 분류됨.
[D] 기준에 따라 남아메리카로도 분류됨.
[E] 기준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로도 분류됨.

2.1. 동아시아 [편집]

전반적으로 유교의 영향력이 강하며, 관계가 좋지 못한 강대국, 지역강국들이 한 곳에 모여 있어 세계의 화약고로도 불린다.

북한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성장한 지역이며, 정치 수준이나 사람들의 생활 수준도 아시아 중 최상위권으로 꼽힌다. 또한 치안, 교육열도 전세계 최상위권으로 꼽힌다.

국가의 인종 구성은 대부분 단일 민족이며, 그나마 소수 민족이 많은 중국도 실질적으로는 한족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종교는 유교를 베이스로 기독교, 불교, 도교, 신토 등이 주를 이루지만 대체적으로는 세속주의의 성향이 매우 강하며, 무신론자나 무종교인의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북한중국은 대외적으로 무신론을 내세우고 있다. 예외적으로 중국 일부 지역과 위구르이슬람을 믿고, 북한주체사상이란 실질적으로 종교에 가까운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저출산 문제가 전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지역이며, 특히 한국과 동북 3성은 심각하다 못해 곧 소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받고 있다. 또한 권위주의 정부의 영향과 급격한 산업화로 많은 사회 부작용을 안고 있는 지역이다.

2.1.1. 한국 [편집]

  자세한 내용은 한국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1. 대한민국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의원내각제적 요소가 가미된 대통령제 국가. 현직 대통령은 윤석열[국가원수][정부수반]이고, 여당은 국민의힘, 의회 다수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북한과 내전을 치루고 있다. 다만 국제사회는 국가 간 전쟁으로 보고 있다.
2.1.1.2. 북한 [편집]
  자세한 내용은 북한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산주의를 빙자한 전체주의 왕정 국가 호소 단체. 최고 지도자는 김정은[국가원수][A]이고, 총리는 김덕훈[정부수반][B], 여당은 조선로동당이다.

대한민국과 내전을 치루고 있다. 다만 국제사회는 국가 간 전쟁으로 보고 있다.

2.1.2. 일본 [편집]

  자세한 내용은 일본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 현재 천황은 나루히토[국가원수][B]이고, 내각총리대신은 기시다 후미오[정부수반], 여당은 자유민주당이다.

2.1.3. 중국 [편집]

  자세한 내용은 중국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당 독재에서 일인 독재가 되어가는 공산주의 국가. 현재 주석은 시진핑[국가원수][A]이고, 총리는 리창[정부수반][B], 여당은 중국공산당이다.

대만과 내전을 치루고 있다.
2.1.3.1. 홍콩 [편집]
  자세한 내용은 홍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2. 마카오 [편집]
  자세한 내용은 마카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몽골 [편집]

  자세한 내용은 몽골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원집정부제 국가. 현재 대통령은 오흐나깅 후렐수흐[국가원수]이고, 총리는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정부수반], 여당은 몽골 인민당이다.

2.1.5. 대만 [편집]

  자세한 내용은 대만의 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원집정부제 국가. 현재 총통은 차이잉원[국가원수][정부수반]이고, 부총통은 라이칭더, 행정원장은 천젠런[정부수반], 여당은 민주진보당이다.

중국과 내전을 치루고 있다.

2.1.6. 티베트 [편집]

  자세한 내용은 티베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티베트 불교적 요소가 가미된 의원내각제 망명 정부. 현재 위치 자체는 인도에 있지만 편의상 동아시아와 함께 서술한다. 현재 달라이 라마는 텐진 갸초[국가원수]이고, 총리는 펜파 체링[정부수반]이다.

2.1.7. 위구르 [편집]

  자세한 내용은 위구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의 탄압을 피한 망명 정부. 현재 위구르 망명 정부는 자치권을 옹호하는 세계 위구르 의회와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는 동투르키스탄 망명 정부가 있다.

세계 위구르 의회의 대통령은 돌쿤 이사이고, 특별대표는 레비야 카디르, 수석 고문은 에르킨 알프테킨이다. 동투르키스탄 망명 정부의 대통령은 맘티민 알라이고, 총리는 압둘라하트 누르, 부통령은 세이라굴 수잇베이, 부총리는 미르케디르 미르자트와 살리 후다야르다.

2.2. 동남아시아 [편집]


2.2.1. 베트남 [편집]

민주집중제 공산주의 국가. 공산당 총비서는 응우옌푸쫑[A][C]이고, 국가주석은 보반트엉[국가원수][B], 정부수상은 팜민찐[정부수반][B], 여당은 베트남 공산당[D]이다.

2.2.2. 미얀마 [편집]

명목상 의원내각제인 군부 독재 국가. 대통령(권한대행) 겸 제1부통령은 민 슈웨[국가원수][B]이고, 총리 겸 국가행정위원회 위원장 겸 군 최고사령관은 민 아웅 흘라잉[A][C], 여당은 탓마도가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 미얀마 국민통합정부를 비롯한 미얀마 시민방위군, 카렌 민족해방군, 형제 동맹 등을 비롯한 반정부 세력과 내전을 치루고 있다. 자세한 건 미얀마 내부갈등미얀마 내전 문서로.
2.2.2.1. 미얀마 국민통합정부 [편집]

2.2.3. 라오스 [편집]

2.2.4. 캄보디아 [편집]

2.2.5. 태국 [편집]

2.2.6. 인도네시아 [편집]

2.2.7. 말레이시아 [편집]

2.2.8. 필리핀 [편집]

2.2.9. 동티모르 [편집]

2.2.10. 브루나이 [편집]

2.3. 남아시아 [편집]

2.4. 중앙아시아 [편집]

2.5.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편집]

북아프리카는 편의상 이쪽으로 분류.

2.5.1. 이란 [편집]

제정 일치 이슬람 시아파 국가. 현재 라흐바르는 알리 하메네이[국가원수][종교지도자][A][C]고, 대통령은 에브라힘 라이시[정부수반], 여당은 원칙파(사실상)이다.

2.5.2. 이라크 [편집]

의원 내각제 국가. 현재 대통령은 압둘 라티프 라시드[국가원수]이고, 총리는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정부수반], 여당은 이슬람 다와당이다.
2.5.2.1.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편집]
이라크시리아의 일부, 이 외에도 몇몇 낙후된 지역[40]이슬람 극단주의에 따라 통치하고 있는 단체. (자칭) 칼리파는 아부 하프스 알-하시미 알-쿠라시[국가원수][정부수반][종교지도자][A][C][E]이다.
2.5.2.2. 이라크 쿠르디스탄 [편집]

2.5.3. 시리아 [편집]

명목상의 이원집정부제 일당제 국가. 현재 대통령은 바샤르 알-아사드[국가원수][A][C]고, 부통령은 나자 알-아타르, 총리는 후세인 아르누스[정부수반][B], 여당은 바트당 (시리아)이다.
2.5.3.1. 시리아 구국정부 [편집]
2.5.3.2. 로자바 [편집]

2.5.4. 레바논 [편집]

2.5.4.1. 레바논 남부 [편집]

2.5.5. 요르단 [편집]

2.5.6. 이스라엘 [편집]

2.5.7. 팔레스타인 [편집]

2.5.7.1. 서안 지구 [편집]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아랍사회주의에 따라 통치하고 있는 지역. 명목상으로 가자 지구까지도 영토로 취급하고 있다. 대통령은 마흐무드 압바스[국가원수][A]이고, 총리는 모하마드 슈타예[정부수반], 여당은 파타이다.

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며, 양측의 평화를 지지하고 있다.
2.5.7.2. 가자 지구 [편집]
하마스이슬람주의에 따라 통치하고 있는 지역. 명목상으로 서안 지구와 이스라엘 전역을 포함한 가나안 지역 전역을 영토로 취급하고 있다. 지도자는 야히야 신와르[국가원수][정부수반][A][C][E], 여당은 하마스이다.

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도의 한 국가 해법을 지지하며, 이스라엘전쟁을 치르고 있다.

2.5.8. 쿠웨이트 [편집]

2.5.9. 카타르 [편집]

2.5.10. 바레인 [편집]

2.5.11. 사우디아라비아 [편집]

2.5.12. 아랍에미리트 [편집]

2.5.13. 오만 [편집]

2.5.14. 예멘 [편집]

2.5.14.1. 후티 반군 [편집]
2.5.14.2. 남부과도위원회 [편집]

2.5.15. 이집트 [편집]

2.5.16. 수단 [편집]

2.5.17. 리비아 [편집]

2.5.17.1. 국가협의정부 [편집]
2.5.17.2. 대표자 의회 [편집]

2.5.18. 튀니지 [편집]

2.5.19. 알제리 [편집]

2.5.20. 모로코 [편집]

2.5.21. 서사하라 [편집]

3. 유럽 [편집]

3.1. 서유럽 [편집]

3.2. 남유럽 [편집]

3.3. 북유럽 [편집]

3.4. 동유럽 [편집]

4. 아메리카 [편집]

4.1. 북아메리카 [편집]

4.2. 중앙​아메리카·카리브 [편집]

4.3. 남아메리카 [편집]

5. 아프리카 [편집]

5.1. 서아프리카 [편집]

5.2. 동아프리카 [편집]

5.3. 중앙아프리카 [편집]

5.4. 남아프리카 [편집]

6. 오세아니아 [편집]

6.1. 오스트랄라시아 [편집]

6.2. 멜라네시아 [편집]

6.3. 미크로네시아 [편집]

6.4. 폴리네시아 [편집]

7. 관련 문서 [편집]

8. 둘러보기 [편집]

[1] 4자 합당으로 잡탕밥이 되긴 했지만, 어쨌든 현재 정책 노선은 중도우파에 가깝다.[국가원수]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2.14 2.15 [정부수반]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A] 5.1 5.2 5.3 5.4 5.5 5.6 5.7 5.8 5.9 독재자로 분류됨[B] 7.1 7.2 7.3 7.4 7.5 7.6 7.7 실권 없음[C] 23.1 23.2 23.3 23.4 23.5 23.6 실권자[D] 일당제[종교지도자] 34.1 34.2 [40] 러시아 체첸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이집트 시나이 반도, 리비아, 알제리, 이란, 인도, 소말리아, 아제르바이잔, 필리핀 민다나오 섬, 모로코, 프랑스, 벨기에, 레바논, 튀르키예 등의 일부 지역.[E] 46.1 46.2 관점에 따라 반군 지도자로도 분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