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하마드 슈타예

최근 수정 시각:

제2대
제3대
제4대
모하마드 슈타예
현직

모하마드 슈타예
محمد اشتية
프로필

1. 개요2. 상세3. 일생
3.1. 젊은 시절 및 학자 경력3.2. 정치 활동
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편집]

모하마드 슈타예
Mohammad Shtayyeh
모하마드 이브라힘 슈타예 (Mohammad Ibrahim Shtayyeh, 1958년 1월 17일 ~ )란, 팔레스타인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소속 정당은 파타.

공식적으로는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모두의 정부 수반이지만, 파타-하마스 내전 이후로 파타가 가자 지구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하면서 현재는 서안 지구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서 양국 방안을 강력하게 지지하며, 초강경파 반이스라엘 파벌인 하마스를 배제한 온건파 내각을 꾸렸고, 대 하마스 강경파로 꼽힌다.

2. 상세 [편집]

모하메드 슈타예 / Mohammad Shtayyeh
새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총리 '모하마드 슈타예'와의 인터뷰
새 팔레스타인 총리, '모하마드 슈타예'는 누구인가?

모하메드 슈타예는 마흐무드 압바스의 측근이자 파타의 의사결정 기구인 파타 중앙위원회의 원로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1993년 창설된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의 독립 기관인 팔레스타인 개발 및 재건 경제위원회를 창설한 뒤 직위를 맡았다.

대 하마스 강경파로 꼽히는 인물로, 슈타예의 총리 임명은 파타 지지층에게는 높게 평가받고 있지만, 파타에 동조하지 않는 이들은 슈타예 총리의 임명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분열을 영구적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파타와 하마스의 정치적 통합을 위한 길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란 것에 공통적인 공감대를 갖고 있다.

3. 일생 [편집]

3.1. 젊은 시절 및 학자 경력 [편집]

슈타예는 1958년 나블루스 텔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1년 비르자이트 대학교에서 경영학 및 경제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1989년 서식스 대학교에서 경제 개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비르자이트 대학에서 경제 개발 교수로 재직했다. 그리고 1993년까지 학생처장을 역임했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행정 및 재무 이사로 재직했고, 1996년에는 16억 달러 규모의 공공 투자 기금인 팔레스타인 개발 및 재건 경제위원회(PECDAR)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2005년부터 슈타예는 이슬람 은행의 팔레스타인 총재를 역임했다.

3.2. 정치 활동 [편집]

1991년 마드리드 회담에 팔레스타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으며, 이후에도 팔레스타인 협상 대표단의 일원으로 합류했다.

그는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팔레스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는데, 팔레스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으로서 그는 팔레스타인 대통령 선거와 입법 선거 실시에 협력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협정을 협상했다.

2005년과 2008년에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공공사업 및 주택부 장관으로 선출되었다.

2019년 4월,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대통령에 의해 라미 함달라의 후임 총리로 임명되었다. 압바스는 자신이 임명하면서도 슈타예에게 '나였다면 총리직을 맡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에 슈타예는 쓴 웃음을 지었다고 한다.

그는 하아레츠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살아남는 것조차 기적"이라며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식민지 의존에서 벗어나' 경제를 강화하고 정치적 의지를 주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5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아프리카 연합 국가 정상들이 2022년 2월 이틀 간의 정상회담을 위해 만났을 때 그는 아프리카 연합에 이스라엘의 옵서버 자격을 박탈할 것을 촉구했다.

2023년 팔레스타인을 방문한 김진표 국회의장과 환담을 가졌는데, 김 의장은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고 밝히며 차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한국을 지지해줄 것을 요청했고, 슈타예 총리도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한국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분쟁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하고, 비상임이사국에 대해서는 투표 뿐만 아니라 다른 아랍 국가들에 대한 설득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하자 슈타예 총리는 이스라엘 정착민들의 서안 지구 테러를 막기 위해 국제 사회의 개입을 요청하며 이타마르 벤그비르의 극단적 시오니즘적 발언을 비판했다. 그 동시에 마흐무드 압바스 대통령과 함께 팔레스타인 주민에게도 자위권이 있다며 이스라엘 측의 책임을 강조했다.

8일, 가자 지구에 대한 인도적 위기 우려가 커지자,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를 통해 가자 지구에 의약품과 구호 물품을 전달하고 의료진을 파견했다. #

4. 관련 문서 [편집]

5. 둘러보기 [편집]

[ 펼치기 · 접기 ]
타임라인
주요 진영
아랍권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아랍 연맹
팔레스타인
독립 이전
파타
하마스
기타 단체
이집트
요르단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기타 국가
이스라엘
이스라엘 정부
이스라엘군
친이스라엘 민병대
국제사회
이스라엘
이스라엘
타임라인
후세인-맥마흔 서한 (1915 - 1916)
사이크스–피코 협정 (1915 - 1916)
밸푸어 선언 (1917)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 (1929)
팔레스타인 독립 전쟁 (1936 - 1939)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 (1947 - 1948)
제1차 중동 전쟁 (이스라엘 독립 전쟁) (1947 - 1948)
제2차 중동 전쟁 (수에즈 위기) (1956)
앗사무 사건 (1966)
제3차 중동 전쟁 (6일 전쟁) (1967)
골란 고원 분쟁 (1967 - )
소모전 (1967 - 1970)
검은 9월 (1970 - 1971)
신의 분노 작전 (1972 - 1979)
제4차 중동 전쟁 (욤 키푸르 전쟁) (1973)
석유 파동 (1973 - 1974)
레바논 내전 (1975 - 1990)
엔테베 작전 (1976)
바빌론 작전 (1981)
1982년 레바논 전쟁 (1982)
남부 레바논 분쟁 (1985 - 2000)
제1차 인티파다 (1987 - 1993)
제2차 인티파다 (2000 - 2005)
가자-이스라엘 분쟁 (2006 - )
이스라엘-레바논 전쟁 (2006)
가자 전쟁 (2008 - 2009)
제2차 가자 전쟁 (2012)
프로텍티브 에지 작전 (2014)
아브라함 협정 (2020)
2021년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사건 (2021)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2021)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관련 단체
아랍권
이스라엘
여파
아랍권의 대응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주요 진영
 [ 범 사우디 진영 ] 
범 사우디아라비아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예멘
(하디 정부)
[1] 1990년대까지, 2010년대 이후 재합류
[2] 2017년까지
[3] 2016년부터
[4] 2021년까지
 [ 범 이란 진영 ] 
범 이란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1] 2006년부터
[2] 2017년부터, 2021년까지
[3] 2011년까지
[4] 2016년까지
[5]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사건
타임라인
이란 혁명 (1978 - 1979)
레바논 내전 (1975 - 1990)
이란-이라크 전쟁 (1980 - 1988)
걸프 전쟁 (1990 - 1991)
2006 이라크 내전 (2006 - 2008)
아랍의 봄 (2010 - 현재)
튀니지 혁명 (2010 - 2011)
이집트 혁명 (2011)
예멘 민주화 운동 (2011)
예멘 내전 (2011)
바레인 민주화 운동 (2011 - 현재)
리비아 민주화 운동 (2011)
2011 리비아 내전 (2011)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1 이라크 내전 (2011 - 2013)
2013 이집트 쿠데타 (2013)
2013 이라크 내전 (2013 - 2017)
2014 리비아 내전 (2014 - 2020)
예멘 내전 (2014 - 현재)
카타르 외교 위기 (2017 - 2021)
2017 이라크 내전 (2017 - 현재)
2019 수단 쿠데타 (2019)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2021 수단 쿠데타 (2021 - 현재)
마흐사 아미니 시위 (2022 - 현재)
윤석열 UAE의 적은 이란 발언 논란 (2023)
• 사우디-이란 관계 회복 선언 (202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