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알리 압둘라 살레

최근 수정 시각:


북예멘 대통령
알리 압둘라 살레
초대
제2대
알리 압둘라 살레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
프로필

1. 개요2. 상세3. 평가
3.1. 긍정적인 평가3.2. 부정적인 평가3.3. 총평
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편집]

알리 압둘라 살레
Ali Abdullah Saleh
의 머리 위에서 춤추는 것.
ㅡ 알리 압둘라 살레, 예멘을 다스리는 걸 뱀의 머리에 비유하며.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
알리 압둘라 살레 알-아마르 (Ali Abdullah Saleh al-Ahmar, 1942년 3월 21일 ~ 2017년 12월 4일)란, 예멘을 통일하고 안정화한 군인이지만, 한편으로는 33년간 예멘을 지배해온 독재자란 명암이 갈리는 예멘의 전직 정치인이다. 소속 정당은 국민전체회의.

본래는 사담 후세인의 정치적 동맹으로 걸프 전쟁에서도 이라크를 지지했으나, 테러와의 전쟁 이후에는 벤 알리, 모하메드 울드 압델 아지즈와 함께 서방의 주요 동맹으로 자리 잡아, 친서방 세속주의 정책을 펼쳤다. 예멘 내전 발발 직후에는 과거의 모든 동맹을 뒤엎고 이란후티 반군과 행동을 함께 하다가 이들과의 입장 차가 벌어지며 다시 사우디아라비아 지지 선언을 한 뒤 후티 점령지에서 도주하다가 사살당했다.

2. 상세 [편집]

상당한 정치력의 소유자로, 살레의 대통령 취임 직후 CIA의 예멘 지부장은 그가 6개월 안에 사망할 것이라고 예상한데 반해, 33년간 예멘을 효과적으로 지배해오며 CIA의 예측을 완전히 빗나가게 만들었다. 또한 30여년간 뛰어난 협상 능력을 보여주며 능수능란하게 정치질을 해왔던 인물이었다.

테러와의 전쟁 시점에서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진영과 긴밀하게 협력했는데, 특히 미국에게는 과거 북예멘 대통령 시절부터 많은 지원을 받아왔다. 그 덕에 독재자이긴 했어도 제1세계와 가까웠고, 친미로 분류되는 독재자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슬람 원리주의 테러리즘을 장기집권의 명분으로 삼고 이용해먹었다란 주장도 나오긴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예멘 내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억압해왔던 지도자로, 여러 차례 부정선거를 저지르며 대권을 잡았다. 또한 집권 후반기에는 여러 차례 내전을 겪은 건 물론 국민들의 가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끝내 아랍의 봄으로 축출당하며 33년간의 긴 집권을 마무리 지었다.

33년간의 폭정에 대한 재판을 받지 않는 대신 평화적인 방식으로 당시 부통령이었던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기로 했다고. 이로써 튀니지, 리비아, 이집트에 이어서 4번째로 축출당한 아랍 지도자가 되었다. 축출 이후 미국으로 출국했다. 일단 목적은 치료 목적으로 가는 듯한데 방미 일정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황.

그렇게 거기서 끝나는 듯 싶었지만.. 직후 사우디이란 등 주요 중동 국가들이 중동의 패권을 갖고 다투며 예멘에 개입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살레는 후티 반군에 합류하며 다시 집권을 시도했다. 직후 예멘 내전에서 후티 반군이 예멘의 수도 사나를 점령하는데 성공하며 살레 직후 대통령으로 선출된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가 사임하고 망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7년 12월, 그는 후티와의 연합에서 탈퇴를 선언하고 대신 그의 이전 적들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그리고 하디 대통령의 편을 들었다. 이 때문에 2017년 12월 4일 사나에서 후티와 살레의 지지자들 사이에 벌어진 전투에서 후티는 살레를 "반역"이라고 비난했고, 끝내 후티 저격수에 의해 살해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살레가 차를 타고 자신의 영내를 탈출하려다 사망했다고 한다.

3. 평가 [편집]

3.1. 긍정적인 평가 [편집]

  • 현대 예멘의 기틀을 닦음
  • 북예멘과 남예멘으로 분열되어 있던 예멘 통일
  • 세속주의 정치 추구

3.2. 부정적인 평가 [편집]

  • 33여년간의 철권 통치
  • 경제난 극복 실패
  • 부정부패 및 횡령

3.3. 총평 [편집]

예멘 내전 시기 남예멘과 북예멘을 통일하고 예멘이란 나라의 기틀을 세운 지도자이지만, 한편으로는 오랜 기간 예멘을 통치하며 철권통치를 해온 독재자이기도 하다.

나름대로 세속주의 추구하고 서방권과 협력해오기도 했으나 끝내는 아랍의 봄의 여파로 퇴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퇴임 이후 예멘 자체가 내전에 시달리게 되며 안 그래도 없는 살림에 모든 게 다 작살나게 생겼으며, 살레도 혼란 속에서 암살당하며 나라 자체가 혼란에 빠져 들어갔다.

4. 여담 [편집]

유엔은 그가 최소 20여국에 320억~600억 달러 상당의 재산을 축적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5. 둘러보기 [편집]

[ 펼치기 · 접기 ]
주요 진영
 [ 범 사우디 진영 ] 
범 사우디아라비아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예멘
(하디 정부)
[1] 1990년대까지, 2010년대 이후 재합류
[2] 2017년까지
[3] 2016년부터
[4] 2021년까지
 [ 범 이란 진영 ] 
범 이란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1] 2006년부터
[2] 2017년부터, 2021년까지
[3] 2011년까지
[4] 2016년까지
[5]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사건
타임라인
이란 혁명 (1978 - 1979)
레바논 내전 (1975 - 1990)
이란-이라크 전쟁 (1980 - 1988)
걸프 전쟁 (1990 - 1991)
2006 이라크 내전 (2006 - 2008)
아랍의 봄 (2010 - 현재)
튀니지 혁명 (2010 - 2011)
이집트 혁명 (2011)
예멘 민주화 운동 (2011)
예멘 내전 (2011)
바레인 민주화 운동 (2011 - 현재)
리비아 민주화 운동 (2011)
2011 리비아 내전 (2011)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1 이라크 내전 (2011 - 2013)
2013 이집트 쿠데타 (2013)
2013 이라크 내전 (2013 - 2017)
2014 리비아 내전 (2014 - 2020)
예멘 내전 (2014 - 현재)
카타르 외교 위기 (2017 - 2021)
2017 이라크 내전 (2017 - 현재)
2019 수단 쿠데타 (2019)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2021 수단 쿠데타 (2021 - 현재)
마흐사 아미니 시위 (2022 - 현재)
윤석열 UAE의 적은 이란 발언 논란 (2023)
• 사우디-이란 관계 회복 선언 (2023)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전개 및 현황








2011 지부티 시위


2011–2012 팔레스타인 시위 | 파타 | 하마스


2011 바레인 시위


2011–2012 쿠웨이트 시위

2011–2012 모로코 시위

2011–2013 모리타니 시위


여파

문화적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