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분쟁

최근 수정 시각:

[ 펼치기 · 접기 ]
주요 진영
 [ 범 사우디 진영 ] 
범 사우디아라비아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예멘
(하디 정부)
[1] 1990년대까지, 2010년대 이후 재합류
[2] 2017년까지
[3] 2016년부터
[4] 2021년까지
 [ 범 이란 진영 ] 
범 이란 진영
주요 국가
맹주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원 국가
기타 세력
주요 인물
[1] 2006년부터
[2] 2017년부터, 2021년까지
[3] 2011년까지
[4] 2016년까지
[5]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사건
타임라인
이란 혁명 (1978 - 1979)
레바논 내전 (1975 - 1990)
이란-이라크 전쟁 (1980 - 1988)
걸프 전쟁 (1990 - 1991)
2006 이라크 내전 (2006 - 2008)
아랍의 봄 (2010 - 현재)
튀니지 혁명 (2010 - 2011)
이집트 혁명 (2011)
예멘 민주화 운동 (2011)
예멘 내전 (2011)
바레인 민주화 운동 (2011 - 현재)
리비아 민주화 운동 (2011)
2011 리비아 내전 (2011)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1 이라크 내전 (2011 - 2013)
2013 이집트 쿠데타 (2013)
2013 이라크 내전 (2013 - 2017)
2014 리비아 내전 (2014 - 2020)
예멘 내전 (2014 - 현재)
카타르 외교 위기 (2017 - 2021)
2017 이라크 내전 (2017 - 현재)
2019 수단 쿠데타 (2019)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2021 수단 쿠데타 (2021 - 현재)
마흐사 아미니 시위 (2022 - 현재)
윤석열 UAE의 적은 이란 발언 논란 (2023)
• 사우디-이란 관계 회복 선언 (2023)
관련 문서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분쟁
صراع إيران والسعودية بالوكالة
2022년 기준 현재 상황.
붉은 부분이 이란과 그 동맹국들, 푸른 부분이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동맹국들, 그리고 분홍색은 이란의 영향을 받는 지역임을 의미한다.
기간
1979년 10월 20일 ~ (현재)
분쟁 시작으로부터 +16266일
역사
이란 혁명 (1978 - 1979)
레바논 내전 (1975 - 1990)
이란-이라크 전쟁 (1980 - 1988)
제1차 이라크 내전 (2006 - 2008)
아랍의 봄 (2010 - 현재)
튀니지 혁명 (2010 - 2011)
이집트 혁명 (2011)
예멘 민주화 운동 (2011)
예멘 내전 (2011)
바레인 민주화 운동 (2011 - 현재)
리비아 민주화 운동 (2011)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3 이집트 쿠데타 (2013)
제2차 이라크 내전 (2013 - 2017)
제2차 리비아 내전 (2014 - 2020)
예멘 내전 (2014 - 현재)
카타르 외교 위기 (2017 - 2021)
2019 수단 쿠데타 (2019)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2021 수단 쿠데타 (2021 - 현재)
마흐사 아미니 시위 (2022 - 현재)

1. 개요2. 배경3. 주요 세력
3.1. 범 사우디 세력
3.1.1. 20세기3.1.2. 21세기3.1.3. 아랍-이스라엘 동맹
3.2. 범 이란 세력
3.2.1. 저항의 축3.2.2. 시아파 초승달 지대
4. 경과
4.1. 이란 혁명4.2. 이란과 아랍권 국가들의 마찰4.3. 이란-이라크 전쟁4.4. 이라크 전쟁4.5. 이라크 내전4.6. 아랍의 봄4.7. 시리아 내전4.8. 예멘 내전4.9. 사우디-이란 외교 위기4.10. 카타르 외교 위기 사태4.11. 2020년대 이란 위기
4.11.1.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4.11.2. 이란의 핵협약 탈퇴4.11.3.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4.11.4. 마흐사 아미니 시위
5. 향후 전망6. 영향

1. 개요 [편집]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에 발생한 중동판 냉전.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함께 중동의 양대 분쟁으로, 현재 중동의 모든 정치 혼란은 이 두 분쟁에서 유래하는 거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 분쟁의 여파로 테러와의 전쟁, 아랍의 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사우디-카타르 분쟁이 발생했고, 이란-이라크 전쟁, 예멘 내전, 시리아 내전, 리비아 내전

2. 배경 [편집]

과거부터 수니파와 시아파는 상당히 관계가 좋지 못했지만, 이번 분쟁은 단순히 수니파 - 시아파만의 갈등이 아닌 각국 지도층 간의 갈등과 이해관계, 그리고 중동의 패권 문제로 대립하게 된다.

많은 석유 매장량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부유해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팔리비 왕조 때부터 중동의 패권을 두고 갈등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지만, 두 국가 모두 당시에는 친미 성향에 양 국가 모두 서로와의 마찰을 최대한 피했기에 대놓고 적대하진 않았다.

그러나 이란의 팔리비 왕조가 무너지고 이란 혁명이 발생하자 상황이 바뀌게 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까지도 전제군주제 국가인데, 이란 혁명을 보고 사우디 내에서도 똑같은 일이 발생할까 두려워했다. 마치 과거 프랑스 혁명 직후 유럽의 왕국들이 자신들도 프랑스 꼴이 날까 두려워하며 프랑스 혁명 전쟁을 일으킨 것과 같다.

또한 혁명 전까지는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걸프 왕국들이 중동의 패권을 갖고 있었는데, 국력이 비슷해진 이란이 걸프 왕국 중심의 패권에서 벗어나 이에 도전하는 모양새이다. 특히나 종교도 사우디는 수니파, 이란은 시아파로 종교적인 갈등마저 발생하고 말았다.

3. 주요 세력 [편집]

3.1. 범 사우디 세력 [편집]

3.1.1. 20세기 [편집]

3.1.2. 21세기 [편집]

3.1.3. 아랍-이스라엘 동맹 [편집]

3.2. 범 이란 세력 [편집]

3.2.1. 저항의 축 [편집]

3.2.2. 시아파 초승달 지대 [편집]

4. 경과 [편집]

4.1. 이란 혁명 [편집]

"이란 혁명은...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그.. 폭동이야 그러니까 진압하지 않을 수가 없잖아?"

팔라비 2세, 이란 국왕
이란의 팔라비 2세와 팔라비 왕조는 친서방 세속주의 정책으로 미국영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의 큰 지지를 받고 있었는데, 내부에서는 반대파 탄압과 독재 정치로 상당한 저항을 받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메이니를 중심으로 이슬람주의자들이 팔라비 왕조에 대해 반발하기 시작했는데, 팔라비 2세는 호메이니를 추방하고 계속해서 마찰을 빚던 모하메드 모사데크 총리를 미국의 도움을 받아 실각시키며 이란 국민들의 반발은 더해가기 시작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1970년대 오일 쇼크가 터지며, 이란이 막대한 이득을 얻었고 잘 나가나 했지만 그럴 수록 점차 빈부격차가 증가하고 갑작스럽게 넘쳐나는 소비력을 감당할 수 없게 되버렸으며, 인플레이션까지 발생하며 경제가 박살나게 되었다.

결국 1978년 8월 20일, 렉스 극장 화재사건을 시작으로 점차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정부는 이를 과잉진압하며 점점 과열되는 시위에 기름을 부었다.

호메이니는 반정부 체제 인사들의 결집을 촉구했고, 팔라비 2세는 사방에서 압박을 받게 되었다.

결국 팔라비 2세는 1979년 1월 16일에 퇴위하게 되었고, 2월 1일 호메이니가 귀국한 뒤 2월 11일 공식적으로 팔라비 왕조가 무너지고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설립되게 되었다.

4.2. 이란과 아랍권 국가들의 마찰 [편집]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여러 아랍권 국가들은 이 혁명을 눈여겨 봤는데, 혹여나 자신들의 국가에도 이란 혁명의 여파로 이런 혁명이 발생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던 상황이었다. 특히나 이란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라크사담 후세인이 독재 정치를 펼치던 상황이었는데, 이란이 반정부 혁명을 지원해 팔라비 왕조처럼 후세인 정부가 무너지지 않을까 근심이 깊어지던 상황이었다.

4.3. 이란-이라크 전쟁 [편집]

  자세한 내용은 이란-이라크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이라크 전쟁 [편집]

4.5. 이라크 내전 [편집]

4.6. 아랍의 봄 [편집]

4.7. 시리아 내전 [편집]

4.8. 예멘 내전 [편집]

4.9. 사우디-이란 외교 위기 [편집]

4.10. 카타르 외교 위기 사태 [편집]

4.11. 2020년대 이란 위기 [편집]

4.11.1.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편집]

4.11.2. 이란의 핵협약 탈퇴 [편집]

4.11.3.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편집]

4.11.4. 마흐사 아미니 시위 [편집]

5. 향후 전망 [편집]

6. 영향 [편집]